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으름덩굴

Akebia quinata (Houtt.)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으름덩굴

Akebia quinata (Houtt.)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으름덩굴

Akebia quinata (Houtt.)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으름덩굴 Akebia quinata (Houtt.) Decne.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Magnoliidae (목련아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Lardizabalaceae (으름덩굴과) > Akebia (으름덩굴속) > quinata (으름덩굴)
이명정보
[원기재명]
Rajania quinata Houtt.
[학명이명]
Akebia sempervirens Nakai

낙엽활엽 덩굴나무로 길이 10-20m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5장으로 이루어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길이 3-6cm, 너비 1-2cm이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로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 또는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잎꽃잎처럼 보이며, 3장이다. 암꽃수꽃보다 크고, 꽃차례 아래쪽에 달린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열매를 식용, 뿌리와 가지를 약용, 줄기를 세공재로 이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2]

    황해도 이남 [2]

  • 낙엽 덩굴나무로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숲속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다른 나무를 기어오르며 자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13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Total phenolic contents
    3 항산화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4 항산화 Reducing power Reducing power
    5 항산화 ABTs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 항산화 DPPH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7 항산화 Flavonoids content
    8 항산화 Total anthocyanin content
    9 항알레르기 MTT assay Viability test
    10 항암 MTT assay MTT assay(A549 cell)

    논문 (총 27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으름덩굴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김유진;권순현;송지현;이소미;김용민;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024
    2 Effect-Directed Profiling of <i>Akebia quinata</i> and <i>Clitoria ternatea</i> via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Planar Assays and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Hanna Nikolaichuk, Irena M Choma, Gertrud E Morlock]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3
    3 Effect-Directed Profiling of Akebia quinata and Clitoria ternatea via High-Performance Thin-Layer Chromatography, Planar Assays and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Nikolaichuk Hanna;Choma Irena M.;Morlock Gertrud E.; Molecules 2023
    4 Pharmacognostic standardization and machine learning-based investigations on <small>AKEBIA QUINATA</small> and <i>Akebia trifoliata</i> Qiu, Junjie;Shi, Menglin;Shi, Senlin;Wu, Suxiang; Biomedical chromatography : BMC 2023
    5 Systematic characterization of the effective constituen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rdisiae Japonicae Herba using UPLC-Orbitrap Fusion MS and network pharmacology Feng, Suxiang;Yuan, Jie;Zhao, Di;Li, Rongrong;Liu, Xuefang;Tian, Yange;Li, Jiansheng;Wang, Chun-Hua; PLoS ONE 2022
    6 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Seul Gi Lee, Eunbi Lee, Jongbeom Chae, Jin Soo Kim, Han-Saem Lee, Yu-Mi Lim, Jai-Hyun So, Dongyup Hahn, Ju-Ock Nam] Nutrients 2022
    7 Bioconverted Fruit Extract of Akebia Quinata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Lee, Seul Gi;Lee, Eunbi;Chae, Jongbeom;Kim, Jin Soo;Lee, Han-Saem;Lim, Yu-Mi;So, Jai-Hyun;Hahn, Dongyup;Nam, Ju-Ock; Nutrients 2022
    8 Anti-Obes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Desalted <i>Salicornia europaea</i> L. Fermented by <i>Bacillus velezensis</i> K26 Lee, Hyunjin;Kim, Wooki;Jang, Sungho;Seo, Myung-Ji; 산업식품공학 = Food engineering progress 2021
    9 연복자 추출물의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의 조성 및 화장품 항산화 활성 장아람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
    10 <i>Akebia quinata</i> and <i>Akebia trifoliata -</i> a review of phytochemical composition, ethnopharmacological approaches and biological studies Maciąg, Daria;Dobrowolska, Ewa;Sharafan, Marta;Ekiert, Halina;Tomczyk, Michał;Szopa, Agnieszk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특허 (총 1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Method for rapid testing allergy Hirotomo Shibaguchi|Yuki Yasutaka|Kojiro Futagami 2019-04-24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0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으름나무(으름덩굴) 씨는 한약방에서 한약재로 사용한다.
    2 구전 식용 으름나무(으름덩굴) 꽃과 열매는 식용으로 사용한다.
    3 구전 식용 으름덩굴을 채취하여 먹는다.
    4 구전 약용 으름덩굴을 약주로 만들어 오줌 소태 있을 때 섭취한다.
    5 구전 식용 으름덩굴 열매를 달과리 등과 함께 삶아서 먹는다.
    6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으름덩굴 전체를 삶아서 섭취하면 오줌소태 완화에 좋다.
    7 구전 약용 봄 3월에 야생에서 으름(으름덩굴) 순을 채취해 자른 후 줄기에서 나오는 물을 받아서 먹는데 물이 많이 나오는 날은 두 대 이상 나오며 이 물은 당뇨병에 걸렸을 때 마시면 좋다.
    8 구전 약용 가을에 야생에서 으름나무(으름덩굴) 줄기를 캐서 삶아 오줌소태 있을 때 먹는다.
    9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인동덩굴(인동)의 줄기, 으름나무(으름덩굴)의 줄기, 보래둥나무(보리수나무)의 줄기를 함께 달인 물을 감기 걸렸을 때 마신다.
    10 구전 약용 인동덩굴(인동) 뿌리, 줄기와 어름나무(으름덩굴) 뿌리, 줄기를 함께 달여 기침할 때 먹는다.
  • 표본 (총1,04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567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제주특별자치도... / 2008-05-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410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63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5-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64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66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남도 보령... 오서산 명 / 1999-05-04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00767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 2000-06-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69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경상남도 의령... 자굴산 / 2002-05-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70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강원도 영월군... 태화산 / 2001-04-21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00771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경상남도 진주... 집현산 / 2002-05-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72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남도 보령... 불모도 / 1999-06-1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3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657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2007-07-12 DNA 1건
    NIBRGR0000051773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2007-07-12 DNA 1건
    NIBRGR0000052077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남도 해남... 내변산 / 2008-04-29 조직 1건
    NIBRGR0000052078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남도 해남... 내변산 / 2008-04-29 DNA 1건
    NIBRGR0000077336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충청남도 공주... / 2007-10-27 조직 1건
    NIBRGR0000077741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경상남도 거제... 산방산 / 2008-04-04 DNA 1건
    NIBRGR0000078442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2007-07-12 DNA 1건
    NIBRGR0000078443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남도 해남... 내변산 / 2008-04-29 DNA 1건
    NIBRGR0000083801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전라남도 해남... 두륜산 / 2009-04-16 조직 1건
    NIBRGR0000086178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으름덩굴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 2010-05-07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