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남유럽 원산이며 약용 또는 관상용으로 밭이나 화단에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50~150cm,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며 깃꼴로 가늘게 갈라지고 길이 7~25cm, 밑부분은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5~6월에 흰색, 붉은색, 보라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2장, 길이 15~20mm, 일찍 떨어진다. 꽃잎은 4장, 둥글며 길이 4~7cm, 폭 3~11cm다. 열매는 삭과, 6~7월에 갈색으로 익는데 타원형, 길이 4~9cm, 표면에 털이 없다. 씨는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 아프가니스탄, 인도, 라오스, 미얀마 등 서남아시아에서 재배하며, 남유럽에 분포한다. 약용, 관상용으로 심고, 전초를 약용한다. 아편꽃, 앵속, 약담배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남유럽, 서남아시아 [2]
북부지방(재배) [2]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2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valuation of chloroplast DNA barcoding markers to individualize Papaver somniferum for forensic intelligence purposes. [Kari Graham, Rachel Houst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gal medicine 2024 2 Assessing monofloral bee pollens from Türkiye: Palynological verification, phenolic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Duygu Nur Çobanoğlu] Journal of food science 2024 3 Comparison of direct analysis in real-time mass spectrometry, atmospheric solids analysis probe-mass spectrometry, and ion mobility spectrometry for ensuring food safety by rapid screening of poppy seeds. [Sara E Kern, Sarah E Voelker, Lisa M Lorenz, Rachel D Dicken, Megan E Sterling, Angie S Mohrhaus, Valerie M Toomey]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2024 4 New Set of EST-STR Markers for Discrimination of Related <i>Papaver somniferum</i> L. Varieties. [Šarlota Kaňuková, Katarína Ondreičková, Daniel Mihálik, Ján Kraic] Life (Basel, Switzerland) 2023 5 From genomics to metabolomics: Deciphering sanguinarine biosynthesis in Dicranostigma leptopodum. [Weixiao Lei, Hui Zhu, Man Cao, Feng Zhang, Qing Lai, Shengming Lu, Wenpan Dong, Jiahui Sun, Dafu Ru]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2023 6 Engineering biosynthesis of the anticancer alkaloid noscapine in yeast. [Yanran Li, Christina D Smolke] Nature communications 2016 7 PsAP2 an AP2/ERF family transcription factor from Papaver somniferum enhances abiotic and biotic stress tolerance in transgenic tobacco. [Sonal Mishra, Ujjal J Phukan, Vineeta Tripathi, Dhananjay K Singh, Suaib Luqman, Rakesh Kumar Shukla] Plant molecular biology 2015 8 Recessive loci Pps-1 and OM differentially regulate PISTILLATA-1 and APETALA3-1 expression for sepal and petal development in Papaver somniferum. [Sharad K Singh, Ashutosh K Shukla, Om P Dhawan, Ajit K Shasany] PloS one 2014 9 Transient Expression of cor Gene in Papaver somniferum. [Bahman Hosseini, Farajollah Shahriari-Ahmadi, Haleh Hashemi, Mohammad-Hasan Marashi, Mahdi Mohseniazar, Alireza Farokhzad, Masoume Sabokbari] BioImpacts : BI 2011 10 CYP719B1 is salutaridine synthase, the C-C phenol-coupling enzyme of morphine biosynthesis in opium poppy. [Andreas Gesell, Megan Rolf, Jörg Ziegler, María Luisa Díaz Chávez, Fong-Chin Huang, Toni M Kutchan]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009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2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양귀비 즙을 섭취하면 토사곽란 치료에 도움이 된다. 2 구전 약용 양귀비 꽃에서 진을 뽑아 섭취하여 배탈이 났을 때 지사제로 사용한다. 3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양귀비 꽃을 말려서 달여 설사, 구토, 배탈이 있을 때 섭취한다. 4 구전 약용 재배한 양귀비의 잎을 쌈싸먹거나 줄기, 잎을 삶아서 즙내어 섭취하면 토사곽란일 때 치료 효과가 있다. 5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아편(양귀비) 줄기를 삶아서 졸여 까맣게 되면 바르거나 먹는데, 배아플 때나 피부에 부스럼이 있는 것이 치료된다. 6 구전 약용 재배한 아편, 앵속(양귀비) 대를 찧어서 즙을 먹거나 삶아서 그 물을 마시면 토사곽란 치료에 효과가 있다. 7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아편(양귀비) 전체를 말려두었다 달여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할 때 먹는다. 8 구전 약용 아편(양귀비) 줄기를 삶아서 그 물을 먹으면 설사 하거나 배가 아픈것이 완화된다. 9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아편(양귀비)을 고아서 환으로 만들어 먹으면 복통 치료에 도움이 된다. 10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양귀비 줄기를 말려두었다 끓인 물을 설사가 심할 때 마신다.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apaver somniferum L. 양귀비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Papaver somniferum L. 양귀비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Papaver somniferum L. 양귀비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Papaver somniferum L. 양귀비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