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비술나무

Ulmus pumil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비술나무

Ulmus pumil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비술나무

Ulmus pumil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비술나무 Ulmus pumil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Urticales (쐐기풀목) > Ulmaceae (느릅나무과) > Ulmus (느릅나무속) > pumila (비술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Ulmus manshurica Nakai
[학명이명]
Ulmus pumila var. microphylla Pers.
Ulmus campestris var. pumila Maxim.
Ulmus turkestanica Regel
[국명이명]
느릅나무
떡느릅나무
개느릅

산기슭, 냇가에서 높이 15~20m, 지름 1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회색, 세로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7cm, 폭 2~2.5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겹톱니와 외톱니가 섞여 있다. 잎 양면에 털이 없으며, 측맥은 보통 10~17쌍이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잎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린다. 화피는 4~5갈래로 갈라진다. 꽃밥은 보라색을 띤다. 열매는 시과, 둥글며, 털이 없다. 5월에 익으며, 씨는 열매의 중앙에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세계적으로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등에 분포한다. 참느릅나무에 비해 잎의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고, 열매는 봄에 익으므로 구분된다. 어린순과 잎을 식용하며, 목재는 기구재로 이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극동), 몽골, 중국(동북부) [2]

    중부 이북 [2]

    러시아(극동), 중국 [3]

  • 산기슭, 계곡 주변에 자란다. 꽃은 3~4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2]

    낙엽 큰키나무이다. 꽃은 3~4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9),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3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균 Disc difussion assay
    3 항균 Disc difussion assay
    4 항균 Disc difussion assay
    5 항균 Disc difussion assay
    6 항균 Disc difussion assay
    7 항균 Disc difussion assay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균 Disc difussion assay
    10 항균 Disc difussion assay

    논문 (총 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Indicates that Hub Genes Related to Photosynthesis and Starch Synthesis Modulate Salt Stress Tolerance in <i>Ulmus pumila</i>. [Panfei Chen, Peng Liu, Quanfeng Zhang, Chenhao Bu, Chunhao Lu, Sudhakar Srivastava, Deqiang Zhang, Yuepeng So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
    2 Neuroprotective activity of <i>Ulmus pumila</i> L. in Alzheimer's disease in rats; role of neurotrophic factors. [Rehab A Hussein, Ahmed H Afifi, Ahmed A F Soliman, Zeinab A El Shahid, Khairy M A Zoheir, Khaled M Mahmoud] Heliyon 2020
    3 Reactive oxygen species-provoked mitochondria-dependent cell death during ageing of elm (Ulmus pumila L.) seeds. [Yu Wang, Ying Li, Hua Xue, Hugh W Pritchard, Xiaofeng Wang] The Plant journal : for cell and molecular biology 2015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그밖에 어장, 하장, 전장, 작약장 등과 같은 이름이 여러 책에 많이 나온다.
    2 문헌 식용 유면<느릅나무의 흰 껍질을 벗겨서 이를 만든다.>
    3 문헌 식용 卷 19 구황(救荒) - 느릅나무 속껍질[楡白皮] : 느릅나무 속껍질가루 1되와 쌀가루 1홉과 솔잎 가루 1홉을 끓는 물에 골고루 섞어서 떡을 만들어 끓는 물속에 넣고 익힌 다음 냉수에 넣었다가 건져 먹는다. 혹 껍질가루 1되와 쌀가루 1홉을 끓는 물에 떡을 만들어 삶아먹거나 혹 기름으로 조금 지져서 전병(煎餠)을 만들어 먹는다. 기름이 없으면 밀랍[蠟]으로 지져도 좋다.
    4 문헌 식용 卷 19 구황(救荒) - 느릅나무껍질[楡皮] : 흉년든 해에 사람들이 먹어서 식량을 삼을 만하다. 속껍질[白皮]을 채취하여 찧어 가루로 만들어서 물에 타서 먹는다. 성질이 미끄러우며 오랫동안 먹으면 배고프지 않다. 가루는 겉껍질 속의 속껍질을사용하는데, 만들기가 즙을 내는 것처럼 쉽고 좋지는 않다. 그 열매와 잎도 채취하여 복용한다. 껍질을 취할 때 쇠거나 여리거나 가리지 않고 채취하여 찧어 부수고는 도자기나 나무 그릇에 담아서 물에 담갔다가 즙을 짜서 즙을 복용한다. 즙이 없어지면 물을 더 부어 휘저었다가 짜면 즙이 끝없이 나온다.
    5 문헌 식용 卷 19 구황(救荒) - 솔잎[松葉] : 오장(五臟)을 굶주리지 않게 한다. 솔씨[松子]와 송진[松脂]․소나무뿌리․소나무껍질은 모두 벽곡(辟穀)161)할 수 있다고 하지만, 솔잎이 곡식을 끊는 일을 가장 쉽게 해준다. 그러나 반드시 느릅나무껍질[楡皮] 즙(汁)을 섞어서 먹어야 변비에 걸리는 근심이 없게 된다.
    6 문헌 식용 무이[造蕪荑法] : 느릅나무 열매[楡錢: 느릅나무 열매.]를 분량에 관계없이 햇볕에 잘 말리고 자기 그릇에 느릅나무 열매를 한 겹 흩어놓고 또 소금 한 겹을 뿌린다. 이와 같이 한 겹 한 겹 뿌리고 나서 장수(漿水)조밥을 지어 뜨거울 때에 차가운 항아리에 쏟아 붓고 5~6일 동안 담가놓았다가 맛이 시어지면 바로 사용하는데 바로 이것을 장수라고 한다.를 가져다가 뿌린 뒤에 열매가 부드러워지면 떼어 내어 밀가루에 반죽하여 뚜껑을 덮고 합황(盒黃) 위에서 햇볕에 말린다.
    7 문헌 식용 큰 양념 만들기[造大料物法]: 느릅나무 열매[蕪荑仁]바로 유인(楡仁)이다, 좋은 생강 ‧ 비발(萆發) ‧ 팥 ‧ 사인 ‧ 천초 ‧ 말린 생강 ‧ 볶은 관계(官桂) ‧ 시라(蒔蘿) ‧ 회향 ‧ 귤껍질 ‧ 살구나무 열매 이 재료를 똑같은 양으로 가져다가 가루를 내고 물에 개어 마치 새총알처럼 동그랗게 알을 만들어 쓴다.
    8 문헌 식용 유인장[楡仁醬法](이 장은 폐를 돕고, 여러 벌레를 죽이고, 마음을 가라앉힌다.) : 느릅나무 열매는 물에 깨끗하게 일어 하루 동안 담갔다가 손으로 비벼 씻어 뜨는 껍질을 버리고, 다시 포대에 담아 물 속에서 느슨하게 풀어놓고 주물러 씻으면서 끈끈한 물질을 빼고 쏟아 부어 말린다. 여뀌즙[蓼汁]을 뿌려 축축하게 하고 함께 햇볕에 말린다. 이와 같이 7차례를 하고 띄운 밀누룩과 함께 면장(麪醬)을 만드는 방법대로 하고 소금으로 담근다. 느릅나무 열매 1되에 띄운 밀누룩 4근, 소금 1근을 섞어 방법대로 만든다. 먹으면 매우 향기롭고 맛있다.
    9 문헌 농사용 생심균법(生蕈菌法) 민간방법 : 느릅나무 ‧ 버드나무 ‧ 뽕나무 ‧ 홰나무 ‧ 닥나무는 목이버섯을 키우는 다섯 가지 나무이다. 미음바로 좁쌀죽이다.을 끓여서 나무 위에 얹고 풀로 덮어주면 바로 목이버섯이 난다. 썩은 나무를 가져다가 잎과 함께 땅에 묻고 항상 쌀뜨물을 뿌려주어 축축하게 하여 두면 2~3일 뒤에 바로 버섯이 난다. 이 썩은 나무에서 난 버섯은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다.
    10 문헌 생활용 버드나무[柳] - 성류(檉柳: 개버들) 목재로 전부 사용되는 버드나무[楊]․홰나무[槐]․느릅나무[楡]․버드나무[柳] 4종은 사람들이 많이 심는 것이다.
  • 표본 (총9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88768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경기도 포천시... 죽엽산 / 1962-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7179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 2000-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7181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충청북도 진천... 무제산 / 2004-04-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1579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인제군... 방태산 / 2010-05-15 건조표본 3건
    NIBRVP0000284476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삼척시... 도화산 / 2011-04-26 건조표본 3건
    NIBRVP0000307495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영월군... 완택산 / 2010-06-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7540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영월군... 완택산 / 2010-06-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7541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영월군... 완택산 / 2010-06-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24527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전라남도 영광... / 1993-10-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53375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전라북도 전주... 기린봉 / 2011-05-0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6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3782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영월군... 완택산 / 2010-06-01 조직 1건
    NIBRGR0000113580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전라북도 전주... 기린봉 / 2011-05-09 종자 1건
    NIBRGR0000114264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정선군... / 2011-05-22 종자 2건
    NIBRGR0000136115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2-06-15 종자 2건
    NIBRGR0000150140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정선군... / 2013-05-18 종자 1건
    NIBRGR0000150141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정선군... / 2013-05-18 종자 1건
    NIBRGR0000174071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삼척시... / 2014-04-29 종자 1건
    NIBRGR0000411459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7-09-07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11460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7-09-07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7843 Ulmus pumila L. / 비술나무 충청북도 단양... / 2020-05-02 조직 1건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Ulmus pumila L. 비술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Ulmus pumila L. 비술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Ulmus pumila L. 비술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Ulmus pumila L. 비술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