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Urticales (쐐기풀목) > Cannabaceae (삼과) > Humulus (환삼덩굴속) > japonicus (환삼덩굴)
이명정보
[학명이명]
Humulus japonicus var. minor Nakai
Humulus scandens Merr.
Humulus scandens var. variegatus Moldenke

쐐기풀목 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길가, 들, 빈터 등에서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네모가 지며, 길이 2~4m에 이르고, 밑을 향한 거친 가시가 있다. 잎은 마주나며, 5~7갈래로 깊게 갈라져 손바닥 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5~12cm이다. 갈래는 난형 또는 피침형,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고, 양면에 거친 털이 난다. 꽃은 7~10월에 암수딴포기에 핀다. 수꽃차례는 길이 15~25cm, 수꽃은 황록색이고 꽃받침잎수술이 각각 5개씩 있다. 암꽃은 짧은 총상꽃차례에 달리는데, 꽃싸개잎은 꽃이 진 후에 크게 자란다. 열매는 수과, 난상 원형, 길이와 폭이 각각 4~5mm, 9~11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삼베와 대마초의 원료가 되는 삼은 줄기가 똑바로 서며 가시가 없고, 잎은 아래쪽에 달린 것이 5~9갈래로 완전히 갈라진 겹잎이므로 다르다. 맥주의 원료가 되는 호프는 환삼덩굴과 같은 속에 속하는 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며, 잎은 보통 3갈래로 갈라지므로 다르다. 열매와 전체를 약용한다. 한삼덩굴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동아시아 [2]

    전국 [2]

  •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꽃은 7~10월에 피고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4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5H32O10 1013648-95-7 492.522
    2
    항당뇨병 C25H32O10 1013648-95-7 492.522
    3
    항염증 C25H32O10 1013648-95-7 492.522
    4
    항콜레스테롤혈증 C25H32O10 1013648-95-7 492.522

    효능실험정보 (총 17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4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5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6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7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바이러스 IF assay SARS-CoV-2 IF assay
    10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논문 (총 2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주요 생태계 교란 외래식물의 생리활성 비교 평가 및 유효성분 김소진;김민건;부경환;김창숙;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023
    2 Ethnopharmacology of solanum nigrum: A review SD Keerthana;Philip Ashna;Abdul Rehman;M Rupesh Kumar;Syed Sagheer Ahmed;Syed Afrid;DR Bharathi; World Journal of Current Medical and Pharmaceutical Research 2022
    3 Anticancer L-Asparaginase and Phytoactive Compounds From Plant <i>Solanum nigrum</i> Against MDR (Methicillindrug resistant) <i>Staphylococcus aureus</i> and Fungal Isolates Aisha, Ambreen;Zahra, Saba;Tahir, Imtiaz M.;Hussain, Asim;Bano, Naheed;Roobi, Alishbah;Afsheen, Nadia;Saleem, Yasir; Dose-response a publication of International Hormesis Society 2022
    4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d Chemopreventive Properties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Solanum nigrum L. Aerial Parts and Root Extracts Gębarowska, Elżbieta;Łyczko, Jacek;Rdzanek, Maciej;Wiatrak, Benita;Pląskowska, Elżbieta;Gołębiowska, Hanna;Kuźniarski, Amadeusz;Gębarowski, Tomasz; Applied sciences 2022
    5 The Traditio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Solanum nigrum: a Review Mani Rupesh Kumar;J B Paramashree;D R Bharathi;Ahmed Syed Sagheer;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genous Herbs and Drugs 2022
    6 Ameliorative Effects of <i>Humulus japonicus</i> Extract and Polysaccharide-Rich Extract of <i>Phragmites rhizoma</i> in Rats with Gastrointestinal Dysfunctions Induced by Water Avoidance Stress Thein, Wynn;Choi, Won Seok;Po, Wah Wah;Khing, Tin Myo;Jeong, Ji Hoon;Sohn, Uy Dong;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2022
    7 Humulus japonicus attenuates LPS-and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Go, Jun;Park, Hye-Yeon;Lee, Da Woon;Maeng, So-Young;Lee, In-Bok;Seo, Yun Jeong;An, Jin-Pyo;Oh, Won Keun;Lee, Chul-Ho;Kim, Kyoung-Shim; Laboratory animal research 2022
    8 The Aqueous Extract of <i>Humulus japonicus</i> Ameliorates Cognitive Dys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Models via Modulating the Cholinergic System Kang, Chang Muk;Bang, Joon Seok;Park, Seung Yeon;Jung, Tae Woo;Kim, Hyoung-Chun;Chung, Yoon Hee;Jeong, Ji Hoon; Journal of medicinal food 2022
    9 Ameliorative Effects of <i>Humulus japonicus</i> Extract and Polysaccharide-Rich Extract of <i>Phragmites rhizoma</i> in Rats with Gastrointestinal Dysfunctions Induced by Water Avoidance Stress. [Wynn Thein, Won Seok Choi, Wah Wah Po, Tin Myo Khing, Ji Hoon Jeong, Uy Dong Soh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2022
    10 The Aqueous Extract of <i>Humulus japonicus</i> Ameliorates Cognitive Dys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Models via Modulating the Cholinergic System. [Chang Muk Kang, Joon Seok Bang, Seung Yeon Park, Tae Woo Jung, Hyoung-Chun Kim, Yoon Hee Chung, Ji Hoon Jeong] Journal of medicinal food 2022

    특허 (총 19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TOPICAL ANTIBIOTIC Tony LaRosa|Robert Davidson|David Reid 2023-03-20
    2 BIPOLARIS YAMADAE (Y. NISIK.) SHOEMAKER, AND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Sheng QIANG|Min TAN 2022-10-17
    3 HUMULUS SPECIES AS INDUSTRIAL CHEMICAL FEEDSTOCKS Patrick FOLEY 2022-08-18
    4 COMPOSITION FOR ENHANCING ENERGY CONTAINING DIPSACI RADIX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박상재 2021-08-10
    5 A STANDARDIZED BIOFLAVONOID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HOMEOSTASIS OF HOST DEFENSE MECHANISM YIMAM, Mesfin|HORM, Teresa|BROWNELL, Lidia|O'NEAL, Alexandria|JIA, Qi 2021-07-29
    6 Standardized Bioflavonoid Composition for Regulation of Homeostasis of Host Defense Mechanism Mesfin Yimam|Teresa Horm|Qi Jia|Lidia Brownell|Alexandria O'Neal 2021-07-29
    7 METHOD OF FIXATING AND STABILIZING NITRIC OXIDE METABOLITES THROUGH FERMENTATION OF NITROGEN-CONTAINING NATURAL SUBSTANCE Hyun-Soo CHUN 2020-10-29
    8 Food composition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Filipendula glaberrima extract for lowering blood cholesterol levels and for ameliorating atherosclerosis Hyoung Ja Kim|Chang Bae Jin|Hyun Beom Lee|Hyun Soo Choi|You Bin Cho 2020-09-17
    9 Topical antibiotic Tony LaRosa|Robert Davidson|David Reid 2020-07-14
    10 GENETICALLY MODIFIED HOST CELLS PRODUCING GLYCOSYLATED CANNABINOIDS Nicholas Stuart William MILNE|Camilla Knudsen BADEN|Nethaji Janeshwari GALLAGE 2020-05-26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환삼덩굴 줄기를 달여서 그 물을 섭취하면 당뇨가 있을 때 치료 효과가 있다.
    2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환삼덩굴을 찧어서 상처 환부에 붙이고, 보약으로 먹으면 죽은 사람도 일어난다고 한다.
    3 문헌 약용-초부하품-하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5림을 치료하고 소변을 잘 누게 하며 심한 설사와 이질, 학질, 허열, 갈증 등도 치료하는데 생즙이나 즙을 끓여 먹는다. 오랜 빈집터나 길섶에서 자란다. 지금은 어느 곳에서나 다 자란다. 잎은 피마자엽 비슷하나 좀 작고 엷다. 덩굴이 뻗고 가는 가시가 있으며 희누른 꽃이 피며 마인 비슷한 씨가 앉는다. 음력 4∼5월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민간에서는 갈률만, 갈륵만이라고 한다. (도경)
    4 구전 약용 당뇨에는 찍게덤불을 삶아서 먹음
    5 구전 세제 가시가 있어서 쓸모가 없으나 잔 씻을 때 가시랑쿨을 쓰면 깨끗함
    6 구전 약용 무좀에 꺼그랭이 지상부를 찧어서 즙을 내서 바름
    7 구전 방충 자리젓, 멸젓의 장독 둘레에 둘러서 구데기가 생기는 것을 막음
    8 구전 방충 멸젓이나 자리젓 항아리 입구 주변에 둘러치면 환삼덩굴의 가시 때문에 파리가 없어짐
  • 표본 (총77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678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843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858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907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974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108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7-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251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405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고창... / 2007-09-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12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충청남도 공주... / 2000-05-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15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충청남도 보령... 횡견도 / 1999-06-1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7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863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69507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강원도 춘천시... 대룡산 / 2009-10-20 조직 1건
    NIBRGR0000077302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충청북도 영동... / 2007-10-30 조직 1건
    NIBRGR0000078024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경상북도 경주... . / 2008-10-16 조직 1건
    NIBRGR0000079519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 2008 종자 1건
    NIBRGR0000084708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충청남도 태안... 신진도 / 2009-10-10 조직 1건
    NIBRGR0000095023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경기도 안성시... / 2007-10-23 조직 1건
    NIBRGR0000103029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남도 화순... 백아산 / 2010-09-01 조직 1건
    NIBRGR0000104572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경상남도 고성... 송구산 / 2010-10-09 조직 1건
    NIBRGR0000106095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 환삼덩굴 전라북도 진안... 마이산 / 2010-08-18 조직 1건
  • 염기서열 (5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환삼덩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선미(SeonMi Lee), 명현호(HyeonHo Myeong) (2015) 내장산국립공원 입암습지의 식생 및 경관 변화와 관리방안. 생태와 환경 48 (1) : 26 – 31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봉덕리 ( 19760000 )
    • 원병오(Won Pyong Oh),박진영(Park Jin Young),김은영(Kim Eum Young),김화정(Kim Hwa Jung) (1993) 한강의 수조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83 – 94

      밤섬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