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Thumbnail 23
Thumbnail 24
Thumbnail 25
Thumbnail 26
Thumbnail 27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Thumbnail 23
Thumbnail 24
Thumbnail 25
Thumbnail 26
Thumbnail 27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Fagales (참나무목) > Fagaceae (참나무과) > Quercus (참나무속) > mongolica (신갈나무)
이명정보
[학명이명]
Quercus crispula var. mandshurica Koidz.
Quercus mongolica var. mandshurica Nakai

참나무목 참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발고도 100~1,800m의 산 중턱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로, 줄기는 곧추서서 30m까지 자라나, 밑에서부터 여러 개의 줄기가 한꺼번에 자라기도 한다. 잎은 서로 엇갈려 달리며, 길이 7~20cm, 폭 6~12cm의 도란형으로 끝은 다소 둥글고, 잎자루가 2~5mm 정도로 짧아 잎 아래쪽이 줄기를 감싸는 것처럼 보인다. 잎 앞뒷면에 털이 없다. 물결 모양의 톱니가 3~17쌍 정도 잎 가장자리에 달린다. 꽃은 암꽃수꽃이 한 개체에서 4~5월에 서로 다른 꽃차례에 무리 지어 피는데, 수꽃 꽃차례는 길게 늘어지고, 암꽃 꽃차례는 곧추선다. 열매는 도토리로 길이 6~25mm, 너비 6~21mm 정도의 타원형인데, 도토리집에 1/2~1/3가량 들어가 있다. 9~10월에 결실한다. 우리나라에 자라는 낙엽성 참나무 종류의 대표적인 종으로, 잎이 도란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있는 톱니는 물결 모양, 잎자루는 매우 짧으며, 잎 앞뒷면에 털이 없어 구분된다. 갈참나무와 비슷하나, 잎자루가 짧고, 잎 뒷면이 하얀색이 아니며, 잎 아래쪽이 줄기를 감싸는 것처럼 되어 구분된다. 목재는 기구재, 건축재, 펄프, 숯, 표고버섯 원목으로 이용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물갈나무, 돌참나무, 재라리나무, 털깃옷신갈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과 러시아 극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극동지방), 중국 [2]

    전국 [4]

  • 낙엽활엽수로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9),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7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5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4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5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1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TMT-Based Proteomic Analysis Reveals the Molecular Mechanisms of Sodium Pheophorbide A against Black Spot Needle Blight Caused by <i>Pestalotiopsis neglecta</i> in <i>Pinus sylvestris</i> var. <i>mongolica</i>. [Yundi Zhang, Jing Yang, Shuren Wang, Yunze Chen, Guocai Zhang] Journal of fungi (Basel, Switzerland) 2024
    2 Integrated physiological and transcriptomic analyses reveal the molecular mechanism behind the response to cultivation in Quercus mongolica Jiang, Min;Li, Xinman;Yuan, Yangchen;Zhang, Guowei;Pang, Jiushuai;Ren, Junjie;Wang, Jinmao;Yang, Minsheng;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2
    3 Integrated physiological and transcriptomic analyses reveal the molecular mechanism behind the response to cultivation in <i>Quercus mongolica</i>. [Min Jiang, Xinman Li, Yangchen Yuan, Guowei Zhang, Jiushuai Pang, Junjie Ren, Jinmao Wang, Minsheng Yang]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2
    4 Catechin, rutin and quercetin in Quercus mongolica Fisch leaves exert inhibitory effects on multiple cancer cells. [Linmei Wang, Xingfan Du, Dongmei Yue, Xinghe Chen]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2022
    5 <i>Andrographis paniculata</i> (Burm.f.) Nees and its major constituent andrographolide as potential antiviral agents Jiang, Maoyuan;Sheng, Feiya;Zhang, Zhen;Ma, Xiao;Gao, Tianhui;Fu, Chaomei;Li, Peng;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6 An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Essential Oils against SARS-CoV-2 from In Silico Studies through the Systematic Review Using a Chemometric Approach Torres Neto, Luiz;Monteiro, Maria Lúcia Guerra;Galvan, Diego;Conte-Junior, Carlos Adam; Pharmaceuticals 2021
    7 Anti-Acne Vulgaris Effects of Pedunculagin from the Leaves of <i>Quercus mongolica</i> b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5α-Reductase Inhibition Kim, Min;Yin, Jun;Hwang, In Hyeok;Park, Dong Hui;Lee, Eun Kyeong;Kim, Min Ji;Lee, Min Won;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2020
    8 Anti-Acne Vulgaris Effects of Pedunculagin from the Leaves of <i>Quercus mongolica</i> by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5α-Reductase Inhibition. [Min Kim, Jun Yin, In Hyeok Hwang, Dong Hui Park, Eun Kyeong Lee, Min Ji Kim, Min Won Lee]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0
    9 Bio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oak cup crude extract and its four partially purified fractions by HPD-100 macroporous resin chromatography Yin, Peipei;Yang, Lingguang;Li, Ke;Fan, Hang;Xue, Qiang;Li, Xiang;Sun, Liwei;Liu, Yujun; Arabian journal of chemistry 2019
    10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on UVB-Irradiated Human Skin Cells Yin, Jun;Kim, Han Hyuk;Hwang, In Hyeok;Kim, Dong Hee;Lee, Min Won;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2019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생활용 인광노(引光奴: 성냥개비) - 소나무를 쪼개어 작은 조각을 만들되 종이처럼 얇게 하고 유황(疏黃)을 녹여 그 끝에 발라두었다가 혹 밤에 급한 일이 생길 적에 그 끝에 화로의 숯불을 옮겨 붙이면 즉시 불이 붙는다. 이 방법은 송나라 초기에 항주(抗州) 사람에게서 나왔는데, 이름이 발촉(發燭)이다. 또 이름을 쉬아(碎兒)라고도 하였는데 송나라 한림학사 도곡(陶穀)이 인광노라고 개명하였다. 우리나라는 근래 혹 화피(澤皮: 자작나무 껍질) 방법으로 만들어 저자에서 팔았는데 이는 항주의 풍속과 같다. 그러나 화피는 불을 붙이면 너무 급히 타서 불을 옮겨 붙이기도 전에 다 타버려 불이 꺼지는 일이 있으므로 소나무조각으로 붙이는 것보다 오래가지 못한다. 불을 붙이는 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찬수(鐵機: 나무를 비벼 불을 붙이는 법)로, 봄에는 느릅나무 · 버드나무, 여름에는 대추나무 살구나무, 늦여름에는 뽕나무· 산뽕나무, 가을에는 떡갈나무· 졸참나무, 겨울에는 홰나무 박달나무에 구멍을 뚫고 문질러 불을 내는 것이 이것이다. 둘째는 양수(陽繼: 화경<火鏡〉으로 불을 붙이는 법)로, 수정 구슬을 해를 향하게 하고 쑥을 그 중심에 놓고 빛이 모이는 곳에서 불을 취하는 것이 이것이다. 셋째는 빙대(泳臺: 쑥에 불을 붙이는 법)로, 얼음을 깎아 둥글게 만들고는 해를 향해 들고서 쑥을 놓고 빛을 받는 것을 양수(陽繼)의 방법대로 하면 저절로 불이 붙는다. 그러므로 쑥을 또한 빙대라고 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모두 신화(新火: 새로 붙인 불)이니, 신화이면서도 인광(引光)은 구화(舊火: 원래 있던 불)로부터 피우는 것이다.
    2 구전 식용 묵 용도로 9, 10월에 채취한 참나무류 열매를 도토리 녹말을 가라 앉혀서 해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방충 지게 용도로 1~5, 9~12월에 채취한 참나무류 줄기를 껍질을 벗겨서 말린 후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공예 긁쟁이(쟁기), 쓰래(써래)-이빨 용도로 1~2, 10~12월(물 오르기 전)에 채취한 참나무 줄기를 말려서 껍질을 벗긴 후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식용 묵 용도로 9월~10월에 채취한 참나무 열매를 삶아 말린 것을 이틀 이상 고와서 물은 버리고 떫지 않게 고아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약용 이질병 용도로 9~11월에 채취한 도토리 열매를 찌고 빻아서 가루를 내(설탕이나 사카린) 그냥 먹기도 하고 울궈서 먹는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식용 묵 용도로 10월에 채취한 신갈나무(도토리) 열매를 묵으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구전 식용 도토리묵 용도로 가을에 채취한 신갈나무 도토리를 껍질을 까서 물에 울궜다가 갈아서 묵을 쑤어 먹는다는 것을 선대(할머니, 할아버지)에서 구전되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9 구전 식용 9월에 채취한 도토리를 우려서 되팥과 섞어 밥을 지어 먹는다는 것을 큰어머니댁에서 모친과 먹어봤으며 직접 경험한 적 없음
    10 구전 식용 9-10월에 채취한 참나무 열매(도토리)를 생으로 맷돌에 갈은 다음 포대기에 담아 문지르고 묵을 만들어 먹는다는 것을 친정 어머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 표본 (총1,03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987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전라남도 고흥... 항도 / 2008-06-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365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경상북도 상주... 청화산 / 2008-09-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440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경상남도 양산... 천성산 / 2008-07-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298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7-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122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153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71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77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82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04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5-1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7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308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충청남도 서산... 용현계곡 / 2008-10-30 조직 1건
    NIBRGR0000069538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강원도 양구군... 대암산 / 2009-07-22 조직 1건
    NIBRGR0000069627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강원도 홍천군... 운무산 / 2009-09-04 조직 1건
    NIBRGR0000074704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전라남도 화순... 백아산 / 2009-08-26 조직 1건
    NIBRGR0000077908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경상남도 김해... . / 2008-08-06 조직 1건
    NIBRGR0000077929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강원도 춘천시... / 2008-08-17 조직 1건
    NIBRGR0000078255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강원도 평창군... 청옥산 / 2008-08-30 조직 1건
    NIBRGR0000094911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경기도 화성시... / 2007-08-05 조직 1건
    NIBRGR0000095127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울산광역시 울... / 2007-08-27 조직 1건
    NIBRGR0000101006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 신갈나무 경상남도 산청... 지리산 / 2010-09-25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장인수(InSoo Ja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1) : 51 – 60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 20140500 )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정세훈(SeHoon Ju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2) : 129 – 138

      월악산국립공원 ( 20140500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