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uercus bungeana F.B.Forbes
Quercus chinensis Bunge
Quercus moulei Hance
[국명이명]
물갈참나무
구도토리나무
부업나무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 25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에는 코르크가 두껍게 발달한다. 잎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8-15cm, 너비 4-7cm이며, 뒷면에 회백색의 별처럼 생긴 털들이 빽빽하게 달린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로 피는데, 수꽃 꽃차례는 길게 늘어지고, 암꽃 꽃차례는 곧추선다. 목재는 가구재, 건축재, 기구재, 펄프, 숯으로 이용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 가축먹이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베트남, 티베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3]
일본, 타이완, 베트남, 티베트, 중국 [4]
-
낙엽활엽수로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8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31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매개체 방출 억제제 C20H20O14 349498-95-9 484.370 2 매개체 방출 억제제 C20H20O14 349498-94-8 484.370 3 방사선 보호기 C20H20O14 349498-94-8 484.370 4 방사선 보호기 C20H20O14 349498-95-9 484.370 5 세포 증식 억제 C20H20O14 349498-95-9 484.370 6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0H20O14 349498-94-8 484.370 7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0H20O14 349498-95-9 484.370 8 진통제 C20H20O14 349498-95-9 484.370 9 진통제 C20H20O14 349498-94-8 484.370 10 항당뇨병 C20H20O14 349498-95-9 484.370 효능실험정보 (총 5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4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5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37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fficient flocculation pretreatment of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by halophilic bacterium Halovibrio variabilis TG-5. [Xin Sun, Gangsheng Zhang, Yamin Shi, Daling Zhu, Lin Cheng] Extremophiles : life under extreme conditions 2024 2 Five human pathogens detected by tick surveillance in New York City parks, 2014-2015. [Waheed Bajwa, Ashley Kennedy, Zachary Vincent, Garrett Heck, Shamim Riaj, Zahir Shah, Kamesan Kanapathipillai, Cory Casal, Scott Haynes, Hannah Cornman, Andrea Egizi, Ellen Stromdahl, Robyn Nadolny] Journal of medical entomology 2024 3 <i>Aquimarina aquimarini</i> sp. nov. and <i>Aquimarina spinulae</i> sp. nov., novel bacterial species with versatile natural product biosynthesis potential isolated from marine sponges. [Joana F Couceiro, Matilde Marques, Sandra G Silva, Tina Keller-Costa, Rodrigo Costa]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24 4 Entomotherapy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diseases due to Gram-negative bacteria in Burkina Faso. [Mamadou Ouango, Hama Cissé, Rahim Romba, Samuel Fogné Drabo, Rasmané Semdé, Aly Savadogo, Olivier Gnankiné] Scientific reports 2024 5 Strategies to enhance biohydrogen production from microalgae: A comprehensive review. [Hadeer A Rady, Sameh S Ali, Mostafa M El-Sheekh]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24 6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air ion and PM<sub>2.5</sub> in <i>Quercus variabilis</i> under natural conditions. [Lu-Lu Cai, Shou-Jia Sun, Guang-Yao Shi, Ling-Tong DU, Xi-Lu Ni, Jin-Song Zhang, Ping Meng] Ying yong sheng tai xue bao =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2024 7 Comparative Analyses of the Symbiotic Associations of the Host Paramecium bursaria with Free-Living and Native Symbiotic Species of Chlorella. [Yuuki Kodama, Yuuka Endoh] Current microbiology 2024 8 Isolation and In silico Study of Curcumin from Curcuma longa and Its Anti-Diabetic Activity Vaithiyalingam, Mariyappan;Sumathi, Dhivya Loganathan;Sabarathinam, Sarvesh; Applie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2023 9 Effects of zinc oxide nanocomposites on microorganism growth and protection of physicochemical quality during maize storage. [Dong-Dong Zhang, Jin-Feng Zhao, Li-Qin Tan, Qiong Wu, Hao-Xin Lv, Yu-Rong Zhang, Min Zha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2023 10 Ticks (Acari: Ixodida) on synanthropic small and medium-sized mammals in areas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infested with the Asian longhorne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Francisco C Ferreira, Julia González, Matthew T Milholland, Grayson A Tung, Dina M Fonseca] International journal for parasitology 2023 특허 (총 3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INFLAMMATORY SKIN DISEASES, CONTAINING JAPANESE PEPPER HYDROSOL AND CORDYCEPS MYCELIUM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양재경 2022-07-01 2 CHLORELLA-BASED PRO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EMBEDDED SMALL RNAs FOR BIOCONTROL APPLICATIONS NAVARRO, Lionel|ZERVUDACKI, Jérôme|FORTUNATO, Antonio Emidio|CHARVIN, Magali 2021-09-13 3 CHLORELLA-BASED PRO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EMBEDDED SMALL RNAS FOR BIOCONTROL APPLICATIONS NAVARRO, Lionel|Zervudacki, Jérôme|FORTUNATO, Antonio Emidio 2020-09-11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5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어로용 그물을 띄울 때 굴피참나무(굴참나무) 껍질을 벗겨서 사용한다. 참빗살나무와 갈나무는 껍질을 갈물을 들이는 데 사용하고 함께 삶아서 사용하면 빳빳하고 질겨진다. 2 구전 식용 묵 용도로 9, 10월에 채취한 참나무류 열매를 도토리 녹말을 가라 앉혀서 해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방충 지게 용도로 1~5, 9~12월에 채취한 참나무류 줄기를 껍질을 벗겨서 말린 후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식용 묵 용도로 9월~10월에 채취한 꿀밤 열매를 삶아 말린 것을 이틀 이상 고와서 물은 버리고 떫지 않게 고아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식용 밥 용도로 9, 10월에 채취한 꿀밤 열매를 우리고 찧어서 밥 해 먹는다는 것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식용 밥 용도로 9, 10월에 채취한 굴참나무 꿀밤(도토리) 열매를 우리고 찧어서 사카린에 섞어 밥 (묵은 지금도 해먹음)으로 먹는다는 것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식용 도토리묵 용도로 9, 10월에 채취한 굴참나무 열매를 씻어서 말린 다음, 껍질을 벗기고 우려내고 갈아서 채에 거른 것을 소금 넣고 풀쒀서 가루로 말려서 묵으로 먹거나 부침으로도 먹는다는 것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구전 식용 9~10월에 채취한 왕왕실이(구도토리, 참나무 열매) 껍질을 까서 가마솥에 넣고 우려낸 후 밥을 할 때 같이 넣어서 먹음(도토리밥)는 것을 손위동서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9 구전 공예 7월 처서 전후 3일사이에 채취한 굴참나무 수피를 굴피집 만들때 사용한다 것이 동네에서 구전되어 왔으며 직접 경험한 적 없음 10 구전 공예 대문(삽작) 양옆의 기둥을 만듦 -
표본 (총81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057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전라남도 고흥... 동래도 / 2008-06-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312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경상북도 문경... 조령산 / 2008-08-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723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79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785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북도 청주... 선도산 / 1997-06-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025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홍성... 오서산 / 1999-07-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028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경상북도 상주... 속리산 비 / 2001-05-17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01036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 / 2000-09-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135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136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8-2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2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773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충청남도 서산... 용현계곡 / 2008-10-30 조직 1건 NIBRGR0000077837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강원도 영월군... 수라리재 / 2008-07-29 조직 1건 NIBRGR0000084789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전라남도 강진... 만덕산 / 2009-09-12 조직 1건 NIBRGR0000085372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강원도 횡성군... 발교산 / 2010-05-26 조직 1건 NIBRGR0000094650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전라북도 진안... 구봉산 / 2006-08-11 조직 1건 NIBRGR0000103377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인천광역시 옹... 산 / 2010-06-22 조직 1건 NIBRGR0000104747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경상남도 진주... 오봉산 / 2010-10-09 조직 2건 NIBRGR0000104778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경상남도 진주... 장군태산 / 2010-08-05 조직 1건 NIBRGR0000104785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경상남도 진주... 장군태산 / 2010-08-05 조직 2건 NIBRGR0000105821 Quercus variabilis Blume / 굴참나무 전라북도 진안... / 2010-07-23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金智文, 權琦遠, 宋鎬京, 文興奎, 朴洪晙 (1983) 立地와 樹型級에 따른 참나무林分의 生產力 分析 (Ⅰ). 농업과학연구 10 (1) : 9 – 21
충청남도 청양군 ( )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장인수(InSoo Ja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1) : 51 – 60
충청북도 제천시 덕산면 수산리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 20140500 )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정세훈(SeHoon Ju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2) : 129 – 138
월악산국립공원 ( 201405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