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자작나무

Betula pendula Roth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자작나무

Betula pendula Roth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자작나무

Betula pendula Roth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자작나무 Betula pendula Roth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Fagales (참나무목) > Betulaceae (자작나무과) > Betula (자작나무속) > pendula (자작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Betula platyphylla (만주자작나무)
[학명이명]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 Hara (자작나무)
Betula pendula var. japonica Rehder
Betula mandshurica var. japonica Rehder
Betula japonica Thunb.
Betula latifolia Kom.
Betula pendula var. mandhshurica H.J.P.Winkl.
Betula platyphylla var. mandshurica H. Hara
Betula platyphylla subsp. mandshurica Kitag.
Betula mandshurica Nakai
Betula japonica var. mandshurica H. J. P. Winkl.
Betula japonica var. pluricostata H.J.P.Winkl.
Betula japonica var. rockii Rehder
Betula japonica var. tauschii H.J.P.Winkl.
Betula pendula var. tauschii Rehder
Betula tauschii Koidz.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높은 산의 계곡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높이 15~20m이며, 줄기껍질은 밝은 회색을 띠는 흰색이고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2.5~7.0cm, 폭 2~6cm이고, 끝은 점점 뾰족해진다. 잎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은 겹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털이 없고, 뒷면은 털이 없거나 조금 있다. 곁잎줄은 5~8쌍이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로 핀다. 수꽃차례는 아래로 처지며 길이 6cm쯤이다. 암꽃차례는 짧고 아래로 드리운다. 열매이삭은 길이 2~3cm, 폭 8~9mm다. 열매는 소견과이며, 날개가 있다. 자작나무는 성숙한 줄기가 밑으로 처지고 열매의 날개는 견과보다 약 2배 정도 넓으므로 속 내 유사종과 구별된다. 목재는 기구재, 가구재로 이용하며, 나무껍질은 약용한다. 한반도 양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등 북부지방에 자생하며,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유럽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유럽 [2]

    양강도, 함경북도, 함경남도 [2]

  • 낙엽활엽수로 꽃은 4~5월에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IL-4 분비 및 발현 억제 측정 IL-production assay
    4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6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Homalolides C-D, two new sesquiterpenoids from the rhizomes of <i>Homalomena pendula</i>. [Linh Thuy Khanh Nguyen, Hanh Nhu Thi Hoang, Thi Van Anh Tran, Hoai Thi Nguyen, Duc Viet Ho] Natural product research 2024
    2 Adaptation of <i>Betula pendula</i> Roth., <i>Pinus sylvestris</i> L., and <i>Larix decidua</i> Mill. to environmental stress caused by tailings waste highly contaminated by trace elements Świątek, Bartłomiej;Kraj, Wojciech;Pietrzykowski, Marcin;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2024
    3 Dammarane-Type 3,4-seco-Triterpenoid from Silver Birch (Betula pendula Roth) Buds Induces Melanoma Cell Death by Promotion of Apoptosis and Autophagy Szoka, Lukasz;Stocki, Marcin;Isidorov, Valery; Molecules :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2024
    4 Technological aspects of birch bark processing into a component of food systems for the population of the Arctic and the Far North Shkolnikova M. N.;Pavlov I. N.;Averyanova E. V.;Rozhnov E. D.;Chugunova O. V.; Proceedings of Universities. Applied Chemistry and Biotechnology 2024
    5 Temporal Variations in Enzymatic and Non-Enzymatic Antioxidant Activity in Silver Birch (Betula pendula Roth.): The Genetic Component Sirgedaitė-Šėžienė, Vaida;Čėsnienė, Ieva;Vaitiekūnaitė, Dorotėja; Forests 2024
    6 Antioxidant Activity of Vitex rotundifolia Seeds and Phytochemical Analysis Using HPLC-PDA Hyejin Cho;Hak-Dong Lee;Jae Min Chung;Sanghyun Lee; Natural product sciences 2023
    7 Antioxidant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transport of heavy metals from the soil to different parts of Betula pendula (Roth.) Makuch-Pietraś Iwona;Grabek-Lejko Dorota;Górka Anna;Kasprzyk Idalia; Journal of Biological Engineering 2023
    8 Novel compounds discovery approach based on UPLC-QTOF-MS/MS chemical profile reveals birch bark extract anti-inflammatory, -oxidative, and -proliferative effects. [Ting Ou-Yang, Yi Zhang, Heng-Zhen Luo, Yue Liu, Shuang-Cheng M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3
    9 An Indicating Role of Antioxidant System Enzymes at the Stage of Active Structural Anomalies Formation in Karelian birch (Betula pendula Roth var. carelica (Mercl.) Hämet-Ahti). [Kseniya Mihajlovna Nikerova, Natalia Alekseevna Galibina, Irina Nikolaevna Sofronova, Marina Nikolaevna Borodina, Yuliya Leonidovna Moshchenskaya, Tatiana Vladimirovna Tarelkina, Anna Vladimirovna Klimova, Ludmila Lyudvigovna Novitskaya] Protein and peptide letters 2023
    10 Physiological response mechanism of European birch (Betula pendula Roth) to PEG-induced drought stress and hydration Kou, Jing;Yan, Donghan;Qin, Baiting;Zhou, Qiang;Liu, Chunping;Zhang, Lijie;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3

    특허 (총 56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FLAVOR COMPOSITIONS CONTAINING IRON COMPOUNDS AND THEIR USE RATZ, Antje|ZHANG, Jian 2022-09-23
    2 FLAVOR DELIVERY SYSTEM Jiten DIHORA 2022-06-23
    3 MULTISPECIFIC FGF21 RECEPTOR AGONISTS AND THEIR USES Yang SHEN|Ann-Hwee LEE|Chia-Yang LIN|Naga Suhasini AVVARU|Samuel DAVIS 2022-05-03
    4 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LAVOR MODIFIERS FOTSING, Joseph R.|WONG, Melissa Sue 2022-04-20
    5 USE OF GINGERDIOL COMPOUNDS TO ENHANCE FLAVOR WAGNER, Robert|MUNT, Howard 2022-03-15
    6 HYDROXY- AND METHOXY-SUBSTITUTED FLAVONES AND THEIR USE XIANG, Wen-Juan|YIN, Dan-Ting|ZHU, Wen-Ting 2022-02-24
    7 HYDROXY- AND METHOXY-SUBSTITUTED FLAVONOIDS AND THEIR USE XIANG, Wen-Juan|YIN, Dan-Ting|DING, Yi-Chun 2022-02-24
    8 FIBER BLENDS, SWEETENED FIBER BLENDS, AND THEIR COMESTIBLE USE MARTINEZ-VILLAGRAN, Maria|IWANYSHYN, Wendy 2022-02-07
    9 SWEETENER COMPOSITIONS COMPRISING MOGROSIDES AND USES THEREOF MANAM, Rama|DITSCHUN, Tanya|BANAVARA, Dattatreya|JHA, Priti|FARHAT, Imad 2022-01-13
    10 COMPOSITIONS THAT ENHANCE THE COOLING EFFECT PRIEST, Chad|OUYANG, Qing-Bo|ASHOKAN, Bharani|HAINES, Thomas|MERCERET, Patrice|MITHAIWALLA, Parizad|VIGOUROUX, Florence|LEDERREY, Pauline 2022-01-06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동네주변에서 채취한 자작나무에서 수액을 받아 먹으면 몸에 좋다.
    2 문헌 문화용 무인이 숭상하는 것은 자작나무 껍질로 만든 활이다.(활은 중화의 제도에 비하면 조금 짧다. 그러나 화살은 매우 잘 나간다.)
    3 문헌 문화용 발촉이란 것은 대개 소나무를 깎아서 잔조각을 종이처럼 얇게 만들어 그 한쪽 머리에 유황(硫黃)을 녹여 바른 것인데, 발촉 또는 쉬아(焠兒)라고도 하였다. 《청이록(淸異錄)》에는, “밤에 급한 일이 있을 때 등불을 켜는데 늦어질까 염려하여, 삼나무를 깎아 유황을 칠해서 불에 대면 즉시 불꽃이 일어나게 하였으니, 이것을 인광노(引光奴)라 한다.” 하였다. 우리나라 풍속은 벚나무[樺] 껍질로 많이 만드는데, 처음에는 새벽에 일어나 글 읽는 자가 만들었던 것이다. 부싯돌에 인화(引火) 물질을 대고서 부쇠로 친 다음, 유황에 불꽃을 일으키면 등불 켜기가 쉽다는 것이다. 벚나무는 북쪽 지방에서 생산되는데, 껍질은 활에도 붙일 만하다.
    4 문헌 약용 은진증을 치료하는 방법 - 청심원(淸心元)을 월경수(月經水)에 개어 먹이면 매우 신묘하다. 또 불을 가까이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면 바로 사라진다. 자작나무껍질을 물로 달이거나 익모초(益母草)를 물에 달여 먹이면 모두 효험이 있다. 석회를 식초에 개어 발라준다. 흑색과 홍색 두 가지 색의 은진(두드러기)에는 계란노른자위 · 붉은 팥 · 형개를 짓찧어 고르게 발라준다.
    5 문헌 생활용 인광노(引光奴: 성냥개비) - 소나무를 쪼개어 작은 조각을 만들되 종이처럼 얇게 하고 유황(疏黃)을 녹여 그 끝에 발라두었다가 혹 밤에 급한 일이 생길 적에 그 끝에 화로의 숯불을 옮겨 붙이면 즉시 불이 붙는다. 이 방법은 송나라 초기에 항주(抗州) 사람에게서 나왔는데, 이름이 발촉(發燭)이다. 또 이름을 쉬아(碎兒)라고도 하였는데 송나라 한림학사 도곡(陶穀)이 인광노라고 개명하였다. 우리나라는 근래 혹 화피(澤皮: 자작나무 껍질) 방법으로 만들어 저자에서 팔았는데 이는 항주의 풍속과 같다. 그러나 화피는 불을 붙이면 너무 급히 타서 불을 옮겨 붙이기도 전에 다 타버려 불이 꺼지는 일이 있으므로 소나무조각으로 붙이는 것보다 오래가지 못한다. 불을 붙이는 법은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찬수(鐵機: 나무를 비벼 불을 붙이는 법)로, 봄에는 느릅나무 · 버드나무, 여름에는 대추나무 살구나무, 늦여름에는 뽕나무· 산뽕나무, 가을에는 떡갈나무· 졸참나무, 겨울에는 홰나무 박달나무에 구멍을 뚫고 문질러 불을 내는 것이 이것이다. 둘째는 양수(陽繼: 화경<火鏡〉으로 불을 붙이는 법)로, 수정 구슬을 해를 향하게 하고 쑥을 그 중심에 놓고 빛이 모이는 곳에서 불을 취하는 것이 이것이다. 셋째는 빙대(泳臺: 쑥에 불을 붙이는 법)로, 얼음을 깎아 둥글게 만들고는 해를 향해 들고서 쑥을 놓고 빛을 받는 것을 양수(陽繼)의 방법대로 하면 저절로 불이 붙는다. 그러므로 쑥을 또한 빙대라고 하는 것이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모두 신화(新火: 새로 붙인 불)이니, 신화이면서도 인광(引光)은 구화(舊火: 원래 있던 불)로부터 피우는 것이다.
    6 구전 약용 뼈에 좋으라고 3, 4월에 채취한 자작나무 수액을 채취해서 마신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공예 낫자루, 호미자루 용도로 1~2, 11~12월에 채취한 짜작나무 원줄기를 베어서 말린 후 껍질을 벗겨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구전 공예 성에, 도리깨자루 용도로 1~2, 11~12월에 채취한 짜작나무 원줄기를 베어서 말린 후 껍질을 벗겨 가공한다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9 구전 공예 낫자루 용도로 1~2, 10~12월에 채취한 짜작나무 가지를 베어서 가공한다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10 구전 공예 우피 용도로 1~2, 11~12월에 채취한 짜정나무 줄기를 겨울 멧돼지 사냥시 벗겨서 불을 피운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 표본 (총18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7747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영월군... 삼방산 / 2001-06-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7748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2-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7749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상북도 문경... / 2000-04-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5416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영취산 / 2003-05-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8315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 2008-10-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8316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 2008-10-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8317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기도 포천시... 한탄강 / 2008-10-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40344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8-07-16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50961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상북도 봉화... 구룡산 / 2008-07-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52437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상남도 함안... 작대산 / 2008-05-2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1340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서울특별시 관... 관악산 / 2009-11-01 조직 1건
    NIBRGR0000085827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 2010-06-28 조직 1건
    NIBRGR0000086190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 2010-07-12 조직 1건
    NIBRGR0000103812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고성군... / 2010-06-11 조직 1건
    NIBRGR0000103824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고성군... / 2010-06-10 조직 1건
    NIBRGR0000145386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경상북도 상주... 덕암산 / 2013-10-29 종자 1건
    NIBRGR0000147700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3-08-12 조직 1건
    NIBRGR0000147958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3-08-12 조직 1건
    NIBRGR0000147959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강원도 평창군... / 2013-08-12 조직 1건
    NIBRGR0000173973 Betula pendula Roth / 자작나무 전라북도 장수... 장안산 / 2014-09-24 종자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Betula pendula Roth 자작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Betula pendula Roth 자작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Betula pendula Roth 자작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Lee, Min-Woong ; Hur, Hyeon ; Chang, Kwang-Choon ; Lee, Tae-Soo ; Ka, Kang-Hyeon ; Jankovsky, L. (2008)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Mycobiology 36 (4) : 199 – 202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