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참비름
석죽목 비름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마을 근처 길가, 빈터 등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80~15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 길이 4~12cm, 폭 3~7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3~10cm이다. 꽃은 8~10월에 암수한포기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난 이삭꽃차례에 달리고, 연한 녹색이다. 꽃받침잎은 3장, 좁은 난형 또는 피침형, 길이 3mm쯤, 끝이 길게 뾰족하다. 수술은 3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포과, 타원형, 9~11월에 익으면 뚜껑처럼 생긴 위쪽이 열린다. 씨는 1개씩 들어 있으며, 검은 갈색, 윤이 난다. 개비름은 줄기가 눕거나 비스듬하게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열매는 익어도 저절로 터지지 않으므로 다르다. 어린잎과 줄기를 식용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전 세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 세계 [2]
전국 [2]
-
한해살이풀로 꽃은 8~10월에 피며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IL-4 분비 및 발현 억제 측정 IL-production assay 4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8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Herbal Product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s Used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Antibiotics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Herman, Anna;Herman, Andrzej P.; Planta medica 2023 2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Chambirum (Amaranthus mangostanus) Kim, In Hae;Lee, Jae Hwa;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2022 3 Antibacterial and Mode of Action of Extracts from Endophytic Fungi Derived from <i>Terminalia mantaly</i> , <i>Terminalia catappa</i> , and <i>Cananga odorata</i> Mbekou, Michele Ines Kanko;Dize, Darline;Yimgang, Victorine Lorette;Djague, Fred;Toghueo, Rufin Marie Kouipou;Sewald, Norbert;Lenta, Bruno Njakou;Boyom, Fabrice Fekam;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21 4 An in silico Analysis of Protein Targeted by Glycyrrhizin in Common Dental Pathogens Balamithra S.;Girija Smiline;Priyadharsini J. Vijayashree;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International 2020 5 <i>Amaranthus mangostanus</i>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and Prevents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Jeong, Yeon-Hui;Hur, Haeng Jeon;Lee, Ae Sin;Lee, Sang Hee;Sung, Mi Jeong;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2020 6 In Silico Inhibition of BACE-1 by Selective Phytochemicals as Novel Potential Inhibitors: Molecular Docking and DFT Studies Arif, Nadia;Subhani, Andleeb;Hussain, Waqar;Rasool, Nouman; Current drug discovery technologies 2019 7 Mineral elements uptake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i>Amaranthus mangostanus</i> (L.) as affected by biochar Jia, Weili;Wang, Cuiping;Ma, Chuanxin;Wang, Jicheng;Sun, Hongwen;Xing, Baoshan;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019 8 Effects of biochar on 2, 2′, 4, 4′, 5, 5′-hexabrominated diphenyl ether (BDE-153) fate in <i>Amaranthus mangostanus</i> L.: Accumulation, metabolite form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 Jia, Weili;Ma, Chuanxin;White, Jason C.;Yin, Mengfei;Cao, Huimin;Wang, Jicheng;Wang, Cuiping;Sun, Hongwen;Xing, Baosha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9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식용 금해야할 음식은 당나귀 개 토끼 등의 고기, 비늘 없는 생선, 게, 양의 간, 자라고기, 맥아 마치현 마늘 메기와 오리 달걀, 달걀과 찹쌀을 섞어 먹는 것 등이다. 참새고기를 술과 함께 먹는 것을 피하고, 또한 모든 버섯은 아이가 경풍(驚風)으로 오래 살지 못하게 한다. 2 문헌 기타 약재에 별갑이 들었으면 비름나물을 먹지 말아야 한다. 3 구전 약용 여름(8월 경)에 비린(비름) 잎을 채취하여 생으로 찧은 물을 관절 안 좋을 때마신다. 4 구전 약용 여름에 비름 전체를 채취하여 술 담그거나 설탕에 절여 강장제로 이용한다. 5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여름에 채취한 참비듬 잎, 줄기를 데쳐서 양념에 무쳐먹는다는 것을 어머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4~5월, 10월에 채취한 비름(비림) 지상부 줄기를 삶아서 무쳐서 먹는다는 것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7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한 참비름 줄기, 잎을 데쳐서 같이 먹거나 밥을 해먹는다는 것을 책에서 봤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8 문헌 식용 적로는 나물의 이름이다. 꽃도 없고 열매도 없다. 잎 위에 괸 이슬이 땅에 떨어져서 났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을 지었다. 가지와 잎이 영롱해서 구슬과 같다. 나물로 만들어 먹으면 맛이 좋으니 이상한 나물이다. 그러나 본초(本草) 의방(醫方)에는 아직 실려있지 않는다. 9 구전 약용 참비름을 먹으면 속이 편안해짐 10 구전 약용 캐다가 찧어서 붙이면 고름을 제거함 -
표본 (총8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7963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상남도 함안... / 2001-07-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4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평창군... / 1998-10-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5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정선군... 두위봉 / 2000-09-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6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기도 포천시... 명성산 / 1999-08-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7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춘천시... 대룡산 / 2002-07-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8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2002-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69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 1998-09-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970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함백산 / 1999-10-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8125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전라북도 남원... 천황봉 / 1999-07-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8126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기도 가평군... / 2006-09-2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18028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전라북도 전주... 전주천 / 2011-09-24 조직 1건 NIBRGR0000120827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상북도 의성... 청화산 / 2010-09-02 조직 1건 NIBRGR0000135202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상남도 하동... 지리산 / 2011-10-26 종자 1건 NIBRGR0000415543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 2017-10-28 종자 1건 NIBRGR0000598472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원주시... / 2018-10-16 조직 1건 NIBRGR0000604735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기도 파주시... / 2018-10-1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04737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경기도 파주시... / 2018-10-1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04753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원주시... / 2018-10-1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04755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강원도 원주시... / 2018-10-1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57327 Amaranthus mangostanus L. / 비름 전라남도 신안... / 2022-11-12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maranthus mangostanus L. 비름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maranthus mangostanus L. 비름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maranthus mangostanus L. 비름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