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가는잎개별꽃 Pseudostellaria sylvatica (Maxim.) Pax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Caryophyllidae (석죽아강) > Caryophyllales (석죽목) > Caryophyllaceae (석죽과) > Pseudostellaria (개별꽃속) > sylvatica (가는잎개별꽃)
이명정보
[원기재명]
Krascheninnikovia sylvatica Maxim.
Stellaria sylvatica Maxim. ex Regel

산지 숲속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덩이뿌리는 몇 개가 있으며, 긴 난형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두 줄의 털이 있으며, 10~20cm 높이로 곧추서서 자란다. 잎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으로 마주나며, 길이 3~7cm, 폭 2~7mm이다. 위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잎끝이 좁아지며, 밑부분 이외에는 털이 없다. 꽃은 5~7월에 흰색으로 줄기 끝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핀다. 꽃잎 끝은 얕게 둘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2~3개이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15~30mm로서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폐쇄화는 줄기 아래쪽 잎겨드랑이에서 1개 또는 3~4개씩 피는데 꽃자루는 짧다. 열매는 삭과, 난상 타원형으로 4개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강원도, 함경남도, 함경북도에 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만주, 러시아 아무르, 우수리 등에도 분포한다. 숲개별꽃이라고도 한다. 이 종은 덩굴개별꽃에 비해 줄기가 덩굴지지 않으며 잎이 선형 내지 선상 피침형이라 구별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만주 [2]

    한국 [2]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7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