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Polygonum heterophyllum Lindm.
Polygonum monspeliense Thiéb.-Bern. ex Pers.
Polygonum planum Skvortsov
Polygonum aviculare var. vegetum Ledeb.
길가, 경작지 주변, 빈터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조금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0~40cm,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 길이 1.5~4cm, 폭 0.5~1.2cm, 양 끝이 둔하고, 마르면 녹색이다. 잎자루는 짧다. 턱잎은 잎집 모양, 막질, 길이 5~10mm, 2갈래로 크게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진다. 꽃은 5~10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5개씩 피며,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화피는 중앙까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8개, 암술은 3갈래다. 열매는 수과, 세모진 난형, 길이 3mm쯤, 7~11월에 검은 갈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북반구 온대와 아열대에 분포한다. 바닷가에 분포하는 이삭마디풀은 전체가 분을 칠한 듯한 흰색이고, 줄기 위쪽의 잎이 쉽게 떨어져서 꽃은 이삭꽃차례를 이루어 핀 것처럼 보이므로 다르다. 돼지풀, 옥매듭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북반구 온대와 아열대 [2]
전국 [2]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5~10월에 피며 열매는 7~11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9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2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VCAM1 발현 억제제 C26H26O12 457624-79-2 530.484 2 방사선 보호기 C20H18O11 572-30-5 434.356 3 세포 증식 억제 C20H18O11 572-30-5 434.356 4 세포 증식 억제 C26H26O12 457624-79-2 530.484 5 유전독성 C20H18O11 572-30-5 434.356 6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6H26O12 457624-79-2 530.484 7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0H18O11 572-30-5 434.356 8 진경제 C26H26O12 457624-79-2 530.484 9 항당뇨병 C20H18O11 572-30-5 434.356 10 항돌연변이 C26H26O12 457624-79-2 530.484 효능실험정보 (총 21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ELISA TNF-a ELISA 3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4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5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6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7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8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9 항균 Disc difussion assay 10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논문 (총 22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xploration of Succinimide Derivative as a Multi-Target, Anti-Diabetic Agent: In Vitro and In Vivo Approaches. [Mater H Mahnashi, Waqas Alam, Mohammed A Huneif, Alqahtani Abdulwahab, Mohammed Jamaan Alzahrani, Khaled S Alshaibari, Umar Rashid, Abdul Sadiq, Muhammad Saeed Jan]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3 2 Antioxidant Molecules Isolated from Edible Prostrate Knotweed: Rational Derivatization to Produce More Potent Molecules. [Mater H Mahnashi, Bandar A Alyami, Yahya S Alqahtani, Ali O Alqarni, Muhammad Saeed Jan, Fida Hussain, Rehman Zafar, Umer Rashid, Muhammad Abbas, Muhammad Tariq, Abdul Sadiq]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22 3 Antioxidant Molecules Isolated from Edible Prostrate Knotweed: Rational Derivatization to Produce More Potent Molecules Mahnashi, Mater H.;Alyami, Bandar A.;Alqahtani, Yahya S.;Alqarni, Ali O.;Jan, Muhammad Saeed;Hussain, Fida;Zafar, Rehman;Rashid, Umer;Abbas, Muhammad;Tariq, Muhammad;Sadiq, Abdul;Sun, ChongDe; Oxidative medicine and cellular longevity 2022 4 Comparative Study of the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Effects of <i>Polygonum aviculare L. herba</i> Extract-Entrapped Liposomes versus Quercetin-Entrapped Liposomes on Doxorubicin-Induced Toxicity on HUVECs Mureşan, Mariana;Olteanu, Diana;Filip, Gabriela Adriana;Clichici, Simona;Baldea, Ioana;Jurca, Tunde;Pallag, Annamaria;Marian, Eleonora;Frum, Adina;Gligor, Felicia Gabriela;Svera, Paula;Stancu, Bogdan;Vicaș, Laura; Pharmaceutics 2021 5 Protective effects of halophyte complex extract against UVB-induced damage in human keratinocytes and the skin of hairless mice Shin, Jae Young;Park, Ji Hyeon;Che, Denis Nchang;Kang, Hyun Ju;Cho, Byoung Ok;Lim, Yi Teak;Jang, Seon Il;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21 6 Analysis of <i>Polygonum Aviculare</i> and <i>Polygonum Maritimum</i> for Minerals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FAAS), Polyphenolic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 Mass Spectrometry (HPLC-ESI-MS), and Antioxidant Properties by Spectrophotometry Mahmoudi, Maher;Abdellaoui, Raoudha;Feki, Eya;Boughalleb, Fayçal;Zaidi, Slah;Nasri, Nizar; Analytical letters 2021 7 Eco-friendly and high-efficient extrac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i>Polygonum aviculare</i> leaves using tailor-made deep eutectic solvents as extractants Wu, Lingfeng;Chen, Zhaonan;Li, Songjie;Wang, Lu;Zhang, Jiachao;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2021 8 Nrf2 mitigates prolonged PM2.5 exposure-triggered liver inflammation by positively regulating SIKE activity: Protection by Juglanin Ge, Chenxu;Tan, Jun;Zhong, Shaoyu;Lai, Lili;Chen, Geng;Zhao, Junjie;Yi, Chao;Wang, Longyan;Zhou, Liwei;Tang, Tingting;Yang, Qiufeng;Lou, Deshuai;Li, Qiang;Wu, Yekuan;Hu, Linfeng;Kuang, Gang;Liu, Xi;Wang, Bochu;Xu, Minxuan; Redox biology 2020 9 Juglanin administration protects skin against UVB-induced injury by reducing Nrf2-dependent ROS generation Kong, Ying-Hui;Xu, Su-P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020 10 Production of Antioxidant Molecules in <i>Polygonum aviculare</i> (L.) and <i>Senecio vulgaris</i> (L.) under Metal Stress: A Possible Tool in the Evaluation of Plant Metal Tolerance Salinitro, Mirko;Hoogerwerf, Sara;Casolari, Sonia;Zappi, Alessandro;Melucci, Dora;Tassoni, Annalisa;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0 특허 (총 23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WOUND, COMPRISING INDIRUBIN DERIVATIVE AS ACTIVE INGREDIENT Kang-Yell CHOI|Eunhwan KIM|Seol Hwa SEO|Minguen YOON 2022-10-14 2 STABILIZED HYDROGEN PEROXIDE VERBURG, Thomas Hendrik Johannes 2022-09-22 3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VARIAN AGING, OVARIAN DISEASES AND CONDITIONS, AND SYMPTOMS THEREOF SINGH, Keshav, K. 2022-09-07 4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OVID-19 AND SYMPTOMS THEREOF Keshav K. Singh|Leopoldo Aguilera Aguirre 2022-06-08 5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VITAMIN C COMPOUNDS AND USES THEREOF Arthur Pellegrino|Fred Khoury|Ellen Delisle 2022-05-20 6 ORAL FORMULATIONS OF PSYCHOTROPIC MACROFUNGUS BOTANICAL EXTRACTS WITH MOUTHFEEL EXPERIENCE ENHANCERS Eric GREENBAUM|Justin BUENO 2022-03-25 7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MITOCHONDRIAL FUNCTION SINGH, Keshav, K.|AGUILERA AGUIRRE, Leopoldo|SCHMERGEL, Greg 2022-03-18 8 HERBICIDAL COMPOSITIONS BASED ON A HYDROSOL AND AN OIL FROM A PLANT OF THE MYRTACEAE FAMILY FOR USE IN SYNERGISTIC COMBINATION WITH A SYNTHETIC HERBICIDE FOR WEED CONTROLHERBICIDAL COMPOSITIONS BASED ON A HYDROSOL AND AN OIL FROM A PLANT OF THE MYRTACEAE FAMILY FOR USE IN SYNERGISTIC COMBINATION WITH A SYNTHETIC HERBICIDE FOR WEED CONTROL ALISTER HERDENER, Claudio 2021-10-22 9 HERBID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TO CONTROL WEEDS IN ORGANIC CROP PRODUCTION ALISTER HERDENER, Claudio 2021-10-22 10 SKIN CARE PRODUCT WITH PROTEIN MATRIX Tony Nakhla 2021-05-18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빈속에 복용한다. 노인이나 허약한 사람이 소변이 막히면 인삼 적복령 달인 물에 호박가루를 타서 복용한다. 또한 지부초(地膚艸)를 그대로 즙내어 복용한다. 2 문헌 약용-초부하품-하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침음창, 옴으로 가려운 것, 저, 치질 등을 치료하고 3충을 죽이며 여자의 음식창도 치료한다. 산골에서 자라며 음력 5월에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다. 잎은 죽엽같고 줄기에 마디가 있으며 비녀처럼 가늘다. 낮은 습지대에서 자라며 음력 2월과 8월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 말린다. (촉본도경) 편축은 사약으로 쓰이며 맛이 달다. 삶은 즙을 소아 회충증에 쓴다. 즉 소아가 회충이 있어 명치 밑을 아파하고 얼굴이 파래지며 입으로 거품침을 토하면서 몹시 괴로워할 때 이 약 6㎏을 잘게 썰어 물 10말에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엿처럼 졸여 공복에 먹이면 회충이 나온다. 다 나오면 그만 먹인다. 치질에는 잎을 짓찧어 즙을 짜서 늘 먹으면 좋다. 열황에는 즙을 내어 한번에 1되를 먹는다. 여러 해동안 앓았으면 한번 더 먹는다. 편축근 한 줌을 깨끗이 씻어 짓찧어 즙을 짜서 1되를 먹으면 광물성 약독으로 눈이 붓고 아픈 것이 낫는다. 또한 열이 나는 종처에 붙여도 효과가 있다. (약성론) 편축을 일명 편죽이라고도 하는데 곳곳의 길섶에서 자란다. 봄에 뿌리로 퍼지는데 싹은 구맥 비슷하고 잎은 가늘며 죽엽처럼 푸르다. 줄기는 벌거면서 비녀같고 마디사이에 몹시 작고 약간 푸르면서 누런 꽃이 핀다. 뿌리는 다북쑥뿌리같다. 음력 4∼5월에 새로 돋은 줄기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도경) 3 구전 약용 신장염에 차전자와 목통을 함께 달여 마심 -
표본 (총65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863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83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099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강원도 영월군... 태화산 / 2001-09-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201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346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360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475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677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기도 연천군... 동막골 / 2007-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244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기도 연천군... / 2007-07-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245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기도 연천군... / 2007-09-11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861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77801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강원도 태백시... / 2008-07-28 조직 1건 NIBRGR0000077881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당진... / 2008-08-02 조직 1건 NIBRGR0000085132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강원도 태백시... / 2008-07-28 DNA 1건 NIBRGR0000086047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기도 양평군... 삼각산 / 2010-06-17 조직 1건 NIBRGR0000094930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경기도 안성시... / 2007-08-05 조직 1건 NIBRGR0000106116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태안... / 2010-08-13 조직 1건 NIBRGR0000106117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태안... / 2010-08-13 조직 1건 NIBRGR0000106118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충청남도 태안... / 2010-08-13 조직 1건 NIBRGR0000106533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15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Polygonum aviculare L. 마디풀 rbcL rbcL aF-1379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김홍식 ; 조광현 (1980) 편축 추출물(抽出物)의 항진균작용(抗眞菌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8 (1) : 1 – 5
강원도 ( 19790500 ) -
원병오(Won Pyong Oh),박진영(Park Jin Young),김은영(Kim Eum Young),김화정(Kim Hwa Jung) (1993) 한강의 수조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83 – 94
밤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