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Kuntz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Kuntz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Kuntz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차나무 Camellia sinensis (L.) Kuntze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Dilleniidae (딜레니아아강) > Theales (차나무목) > Theaceae (차나무과) > Camellia (동백나무속) > sinensis (차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Thea sinensis L.

차나무목 차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기슭이나 민가, 농경지 주변에 식재하는 상록성 활엽 큰키나무 또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1~2m이다. 잎은 어긋나며, 가죽질로 두껍고,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5~9cm, 폭 2~4cm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이고 윤이 나며, 뒷면은 회색이 도는 녹색이다. 잎맥이 튀어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3~7mm이다. 꽃은 10~11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1~3개씩 달리며, 지름 3~5cm이다. 꽃자루는 밑으로 구부러지며, 1.2~1.4cm이다. 꽃받침잎은 5장이다. 꽃잎은 6~8장, 넓은 도란형이다. 열매는 삭과로 둥글납작하고, 지름 1~2cm로 이듬해 10~12월에 갈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 등에서 주로 심어 기르거나 야생 상태로 자란다. 동백나무에 비해서 작은떨기나무이며, 꽃은 흰색이고 작으며, 꽃자루가 있으므로 다르다. 어린잎을 차로 만들고, 열매는 기름을 짜며, 약용한다. 중국 서남부 원산이며 인도, 일본, 중국 등 전 세계 온대에서 식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인도, 일본, 중국; 전 세계 온대(식재) [2]

    남부지방, 제주도(식재, 야생화) [2]

  • 떨기나무이다. 꽃은 10~11월에 피고 열매는 이듬해 10~12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18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n Vitro Bactericidal Activity of Biogenic Copper Oxide Nanoparticles for <i>Neisseria gonorrhoeae</i> with Enhanced Compatibility for Human Cells Santana, Bianca de Melo;Armentano, Giovana Marchini;Ferreira, Dayana Agnes Santos;de Freitas, Camila Simões;Carneiro-Ramos, Marcela Sorelli;Seabra, Amedea Barozzi;Christodoulides, Myron;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24
    2 The use of Phytochemical, GC-MS Analysis and Hepatoprotective Effect of the Methanol Leaf Extract of Camellia Sinensis (L.) Kuntze on Paracetamol-Induced Liver Injury in Wistar Rats Ukwubile Cletus Anes;Gangpete Semen Ibrahim; Qeios 2024
    3 Freeze drying and spray drying for the retention of the active components, L‐theanine and caffein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ea‐based ingredients Allameh, Mina;Orsat, Valéri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2024
    4 THE EFFECT OF GREEN TEA INFUSION (CAMELLIA SINENSIS) ON THE DIAMETER OF THE SPLEEN LYMPHATIC NODULUS OF MICE (MUS MUSCULUS) EXPOSED TO ELECTRIC CIGARETTE Sidauruk, Dona Uli;Wahyuniari, Ida Ayu Ika;Linawati, Ni Made;Arijana, I Gusti Kamasan Nyoman; E-jurnal medika udayana 2024
    5 The Changes in Metabolites, Quality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ea (<i>Camellia sinensis</i>) Infected with <i>Exobasidium vexans</i> by Applying UPLC-MS/MS-Based Widely Targeted Metabolome and Biochemical Analysis Zhou, Xiaolu;Hu, Liuhong;Hoang, Nguyen Huy;Thanh, Toan Le;Zhou, Caibi;Mei, Xin;Buensanteai, Kumrai; Phytopathology 2024
    6 ANTIOXIDANT ASSESSMENT OF SOME THERAPEUTICALLY IMPORTANT PLANTS AS ANTI-AGING AGENTS UROOJ F;IFTIKHAR A;MAZHAR K;ALTAF R;GONDAL M;RAFAQAT A;SHABBIR N; Biological and Clinical Sciences Research Journal 2024
    7 Characterization of A Mixed Tea Formulation of Mangosteen Peel, Cinnamon, and Clovers Rahmawati, Rahmawati;Satya Pratiwi, Yunita;Aristina Sanjaya, Yushinta;Amalia, Tania; Agroindustrial technology journal 2024
    8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Camellia sinensis on Cisplatin-Induced Acute Liver Injury Yilmaz, Adnan;Dizman, Fatih;Akyildiz, Kerimali;Mataraci Karakas, Sibel;Mercantepe, Tolga;Uydu, Huseyin Avni;Tumkaya, Levent;Ozturk, Koksal; Life 2024
    9 COVID-19 Pandemisine Etki Potansiyeli Olan Tıbbi Bitkiler Üzerine Bir Derleme Nizamoğlu, Ali Eren;Kökdil, Gamze; Mersin üniversitesi tip fakültesi lokman hekim tip tarihi ve folklorik tip dergisi = Mersi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Lokman Hekim Journal of History of Medicine and Folk Medicine 2024
    10 Green Synthesis of Manganese Dioxide Nanoparticles and its Biological Shanshool, Sabeeha K.;Shanan, Zainab J.; Baghdad science journal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경험방》 어린아이의 나력 치료: 발과 날개를 없앤 반묘(가뢰) 1냥과 속미(좁쌀) 1되를 같이 볶아서 속미는 없애고 곱게 간 다음 박하 4냥을 넣고 오계의 알로 녹두 크기의 청환을 만들어 공복에 납차(작설차)와 함께 1~9알을 먹는다.
    2 구전 식용 녹차(차나무)와 연꽃차(연)를 만들 때, 연꽃은 개화 초기에 채취하여 밤에 꽃봉오리가 닫히기를 며칠 반복하여 꽃이 지기 전에 채취하여 냉장 보관한다.
    3 문헌 약용 백과인 8냥, 포도 8냥, 박하엽 1냥, 측백엽 1냥, 세신 5푼, 조뇌 5푼, 세다 4냥, 당귀 5돈, 정향 5푼, 관계 5푼, 사인 1냥, 감송향 1냥. 이상을 곱게 가루 내어 끓인 꿀로 검실만 하게 환을 짓고 매회 1환씩 잘게 씹어 맑은 차로 넘기면 주독을 잘 푼다.
    4 문헌 약용 대황(술에 찐다) 황금(속이 썩은 것은 버린다) 각 8냥, 청몽석 1냥(함초 1냥과 같이 관에 넣고 소금을 섞은 진흙으로 뚜껑을 막고 볕에서 말린 후 불꽃으로 벌겋게 달군 후 식혀서 사용하는데 청몽석이 금색으로 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침향 5돈.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물을 조금씩 부어가며 벽오동씨만 하게 환을 짓는다. 한번에 40-50알씩 찻물이나 따뜻한 물로 먹는다. 약을 먹는 것은 반드시 잠자리에 들기 전 삼키고 목구멍에 이르면 바로 누워서 약이 인후와 흉격의 사이에서 천천히 내려가게 하면 나쁜 것들이 점차 쫓겨서 배로 가고 장으로 가므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한 가지 처방은, 주사 2냥으로 옷을 입힌다.
    5 문헌 농사용 차가루 2냥에 물 2되를 부어 사용한다.
    6 문헌 약용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멈추지 않으면 작설차(雀舌茶)를 가루 내어 우물물에 타서 복용한다.
    7 문헌 약용 황백 인진 형개 총백 곽향. 달인 물로 씻는다. 애엽 세차 총백 류지 도지 천초를 진하게 달인 물에 소금을 넣어 씻는다.
    8 문헌 약용 아조 천초 각 2돈, 곱게 갈은 세차 수은 각 1돈. 위의 약을 가루 내어 기름에 개어 헌데를 문지른다.
    9 문헌 식용 다(茶)란 것은 맨 처음 생겼을 때는 물에 끓여서 먹게 되었다. 《가례(家禮)》에서 쓰는 점다(點茶)는 다를 가루로 만들어서 잔 속에다 넣고 끓는 물로 축인 다음, 솔[筅]로 휘휘 젓는 것인데, 지금 일본(日本) 다(茶)가 모두 이와 같다.
    10 구전 약용 4월에서 8월 사이에 차나무 잎을 따서 덕석(도리방석, 멍석)에 깔고 그늘에서 비비고 말린 잎을 삶은 물로 애기들 피부병이 있을 때 목욕을 시킨다.
  • 표본 (총14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9445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장성... 불태산 / 2004-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9619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경상남도 남해... 금산 / 2006-09-24 건조표본 10건
    NIBRVP0000129620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06-08-30 건조표본 3건
    NIBRVP0000133329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북도 정읍... 천태산 / 2006-10-01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91016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제주특별자치도... 안덕계곡 / 2001-02-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04052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 2005-09-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04508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경상남도 하동... 지리산 / 2007-10-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30844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군유산 / 1998-06-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30847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백룡산 / 2002-04-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30850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담양... 추월산 / 2004-05-11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95430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경상남도 하동... / 2007-10-01 조직 1건
    NIBRGR0000113621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북도 정읍... 백양산 / 2011-08-20 종자 3건
    NIBRGR0000132277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장성... / 2012-10-05 종자 1건
    NIBRGR0000138337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강진... 월출산 / 2012-05-27 조직 1건
    NIBRGR0000186461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북도 완주... 모악산 / 2015-10-10 종자 1건
    NIBRGR0000400856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강진... 월출산 / 2012-05-27 DNA 1건
    NIBRGR0000400857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강진... 월출산 / 2012-05-27 DNA 1건
    NIBRGR0000615517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경상남도 하동... / 2019-11-03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19200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전라남도 구례... / 2019-09-25 조직 1건
    NIBRGR0000619904 Camellia sinensis (L.) Kuntze / 차나무 경상남도 하동... / 2019-11-03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amellia sinensis (L.) Kuntze 차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Camellia sinensis (L.) Kuntze 차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