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풍접초목 십자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민가 주변 길가, 경작지 및 산지 숲 가장자리의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무리 지어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20~60cm,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며,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잎은 밑에서 모여나며, 사방으로 퍼지고, 도란형 또는 장타원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좁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3~6cm, 폭 10~25mm, 밑부분은 화살 모양으로 줄기를 약간 감싸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는데 흰색,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 장타원형으로 길이 2.0~2.5mm다. 꽃잎은 4개, 도란형으로 길이 3~5mm다. 수술은 6개, 이 중 4개가 길다. 암술은 1개다. 열매는 각과, 편평한 원형으로 길이 15mm쯤이며, 넓은 날개가 있고, 끝은 오목하다. 7~8월에 결실한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에 능선이 있으므로 냉이와 구별된다. 어린순을 식용하며, 전초와 씨를 약용한다.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전 세계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유럽(원산),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전 세계 온대지역 [2]
전국 [2]
-
두해살이풀로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8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1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항원충제 C4H5NS 764-49-8 99.156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Flow cytometric assessment of Cd genotoxicity in three plants with different metal accumulation and detoxification capacities. [M S Monteiro, E Rodriguez, J Loureiro, R M Mann, A M V M Soares, C Santos]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010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토지 이용[任地]해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늦여름 다섯 계절 동안에 식물의 생장을 보고 작물을 심고 가꾸며, 식물의 죽음을 보고 작물을 거두어들인다. 오행(五行)이 계절에 따라 움직이므로 오시(五:時)라고 한다. 이것은 농사철올 말한다. 자라는 식물을 살펴서 작물을 심는다는 말은, 살구나무의 새순이 나오는 것을 보고 밭갈이률 부지런히 하며, 창포가 나는 것을 보고 재배률 권장하는 둥의 일올 말한다. 시들어 죽는 식물을 살펴서 작물을 거두어들인다는 말은 냉이 · 꽃다지 둥의 풀이 죽고 가을에 풀과 나뭇잎들이 시들어 죽온 뒤에야 보리 싹이 피어난다는 것을말한다. 지금 생각하건대, 냉이 · 꽃다지 · 황새 둥 세 가지 식물이 말라죽고 보리를 수확할 수 있으며 씀바귀가 죽고 납가새가 나오면 삼과 콩을 심는다는 둥의 일이 바로 이것이다. 그래서 하늘은 사계절을 알리고 땅은 먹고 입을 것을 낳지만 사람들과 더불어 의논하지 않는다. 대자연의 법칙은 사람돌과 더불어 의논하지 않는다. 2 문헌 약용-초부상품-상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할 뿐 아니라 눈이 아프고 눈물이 저절로 나오는 것, 비증 등을 치료하고 오장을 보하며 정을 불리어 주고 명치 밑과 허리가 아픈 것도 낫게 한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는다. 일명 멸석, 대즙, 마신, 대제라고도 한다. 냇가나 못가, 길섶에서 자라며 음력 4∼5월에 씨를 받아 햇볕에서 말린다. 형실, 세신과 같이 쓰면 좋고 건강, 너삼과는 상오약이다. 석명자의 사약은 고삼이다. 간에 생긴 적취, 눈이 피지면서 붓는 것을 치료한다. 기타 내용은 채부 냉이조항에 썼다. (약성론) 지금은 곳곳에서 다 자란다. (도경) 석명자는 냉이와 비슷한데 잎이 가늘다. 민간에서는 노제라고 한다. (곽박) 대제라고도 하지만 석명자는 맛이 맵고 대제는 맛이 달다. (소공) 대제는 꽃다지이지 석명은 아니다. 석명은 잎이 크고 좁지만 꽃다지는 가늘고 둥글어 이 두 가지는 쉽게 가려낼 수 있다. 이아에는 정력자를 전이라 하였다. 또한 주에는 열매와 잎이 모두 겨자 비슷한데 구제라고 하였다. 대체로 이 두 가지는 다 냉이의 종류이다. 때문에 사람들은 흔히 이것들을 잘 가려내지 못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눈약으로 많이 쓴다. 최원량해상방에는 눈에 열기가 있으면서 아프고 눈물이 계속 흐를 때 석명자 한 가지를 짓찧어 보드랍게 가루내어 잠자기 전에 구리젓가락끝으로 눈에 넣으면 단눈물과 함께 궂은 것이 나온다고 하였다. 눈에 군살이 나온 데도 30∼40번 넣으면 효과가 있다. (진장기) -
표본 (총55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705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312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 / 2007-06-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621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5-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625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 / 2000-04-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626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충청남도 보령... 오서산 / 1999-04-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2104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 / 1985-05-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2105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울산광역시 울... 용곡산 / 2005-04-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2106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전라북도 장수... 장안산 / 1997-04-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5132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상북도 성주... 까치산 / 2002-05-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5133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상북도 경주... 토함산 / 2002-05-0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0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5768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전라남도 여수... 금오도 / 2010-05-17 조직 1건 NIBRGR0000094895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기도 화성시... / 2007-04-24 조직 1건 NIBRGR0000106983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상남도 거창... 기백산 / 2011-05-17 조직 1건 NIBRGR0000107438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강원도 평창군... / 2011-07-20 조직 1건 NIBRGR0000135402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상남도 창녕... / 2012-04-02 조직 1건 NIBRGR0000135410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강원도 영월군... / 2012-04-20 조직 1건 NIBRGR0000188361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인천광역시 남... / 2015-06-01 종자 3건 NIBRGR0000188528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강원도 정선군... / 2015-05-24 종자 4건 NIBRGR0000188531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충청북도 단양... / 2015-05-24 종자 5건 NIBRGR0000189322 Thlaspi arvense L. / 말냉이 경상남도 창녕... / 2015-06-22 종자 1건 -
염기서열 (5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Thlaspi arvense L. 말냉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Thlaspi arvense L. 말냉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Thlaspi arvense L. 말냉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Thlaspi arvense L. 말냉이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Thlaspi arvense L. 말냉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