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멍덕딸기

Rubus ida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멍덕딸기

Rubus ida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멍덕딸기

Rubus ida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멍덕딸기 Rubus idaeus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Rosales (장미목) > Rosaceae (장미과) > Rubus (산딸기속) > idaeus (멍덕딸기)
이명정보
[학명이명]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Turcz.

산과 들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1m, 바늘 모양의 가는 가시가 있다. 잎은 3장의 작은잎으로 된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4.5~7cm, 폭 3~4.5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톱니 모양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잔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백색의 짧은 솜털이 있다. 잎자루에 짧은 털과 작은 가시가 나 있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서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피침형으로 끝은 뾰족하며, 꽃잎은 주걱 모양으로 길이 5~7mm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잎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취과, 둥글며, 7~8월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거지딸기에 비해서 줄기에 바늘 모양의 가시가 많으며, 잎 뒷면에 흰 털이 빽빽하게 나므로 구별된다. 열매를 식용, 약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러시아 극동지방, 중국 동북지방, 중앙아시아 [2]

    강원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북부지방 [2]

    러시아, 일본, 중국 [3]

    강원도 이북 [3]

  • 낙엽 떨기나무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0건)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mpacts of cultivar and management practices on the diversity and population dynamics of mites in soybean crops. [Marliza Beatris Reichert, Julia Renata Schneider, Wesley Borges Wurlitzer, Noeli Juarez Ferla] Experimental & applied acarology 2024
    2 Compositional Features of the "Kweli" Red Raspberry and It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na Luísa Vara, José Pinela, Maria Inês Dias, Jovana Petrović, António Nogueira, Marina Soković, Isabel C F R Ferreira, Lillian Barros] Foods (Basel, Switzerland) 2020
    3 Can Leaves and Stems of <i>Rubus idaeus</i> L. Handle <i>Candida albicans</i> Biofilms? [Clément Bernard, Camille Juin, Marine Vitry, Van Thanh Danh Le, Julien Verdon, Anne-Solène Toullec, Christine Imbert, Marion Girardot] Pharmaceuticals (Basel, Switzerland) 2020
    4 Rapid Identification of Flavonoid Constituents Directly from PTP1B Inhibitive Extract of Raspberry (Rubus idaeus L.) Leaves by HPLC-ESI-QTOF-MS-MS. [Zhuan-Hong Li, Han Guo, Wen-Bin Xu, Juan Ge, Xin Li, Mireguli Alimu, Da-Jun He] Journal of chromatographic science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식용 관동(關東)에서 나는 흑앵도와 흑복분자(黑覆盆子)는 그 맛이 매우 달다. 정경산(鄭經山 정원용(鄭元容))이 강원도 관찰사가 되어 선왕고(先王考)에게 인사하러 들렀을 때 왕고께서 술잔을 주고받으면서 반드시 그것을 구해 맛보라고 권하셨다. 뒤에 경산이 돌아와 찾아뵙고 말하기를, “흑복분자는 과연 구해 맛보았는데, 흑앵도는 끝내 맛볼 수 없었습니다.” 하였다. 이 이야기는 내가 어렸을 때 곁에서 모시면서 들은 것이다. 뒤에 호남을 유람하면서 흑복분자는 보았지만 앵도는 역시 볼 수 없었다.
    2 구전 식용 멍덕딸 열매를 따서 먹음
  • 표본 (총1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205596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전라남도 해남... . / 2008-04-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35128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 / 2013-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70644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 / 2013-08-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96836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14-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96837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14-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96838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14-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534543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15-08-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39574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21-09-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45745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경상남도 고성... 안장섬(마 / 2013-06-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45746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경상남도 고성... 안장섬(마 / 2013-06-2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040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전라남도 해남... . / 2008-04-29 조직 1건
    NIBRGR0000052041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전라남도 해남... . / 2008-04-29 DNA 1건
    NIBRGR0000139170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 / 2013-06-04 조직 1건
    NIBRGR0000153422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 / 2013-08-22 조직 1건
    NIBRGR0000153601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 / 2013-08-22 DNA 1건
    NIBRGR0000186265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15-08-15 종자 1건
    NIBRGR0000408478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 / 2013-06-04 DNA 1건
    NIBRGR0000408479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강원도 정선군... 함백산 / 2013-06-04 DNA 1건
    NIBRGR0000675521 Rubus idaeus L. / 멍덕딸기 / 2021-09-17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Turcz. rbcL 국립생물자원관
    Rubus idaeus L. 멍덕딸기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