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콩목 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가 잘 비추는 숲 가장자리나 산기슭에서 자라거나 공원에 조경수로 식재하는 작은큰키나무 또는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가지가 넓게 퍼지며, 높이 5~15m 정도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2회 깃꼴겹잎, 첫 번째 갈래는 5~12쌍으로 각각에 작은잎 15~30쌍씩 붙는다. 작은잎은 자루가 없이 마주나며, 낫 모양으로 굽은 긴 타원형, 길이 6~15mm, 폭 2~4mm, 밤에 접힌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서 난 길이 3~4cm의 꽃대에 머리모양꽃 20여 개가 총상꽃차례 모양으로 달리며, 붉은색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 녹색이다. 꽃부리 아래쪽은 종 모양, 위쪽은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20~30개, 분홍색이다. 수술대는 가늘고, 길이 3~4cm, 밑이 서로 붙어서 한 뭉치로 된다. 열매는 협과이며, 납작한 긴 타원형, 길이 10~15cm, 폭 1.5~2.5cm, 9~10월에 익으며, 씨가 7~15개씩 들어 있다. 이 종은 전국에 흔하게 자라며, 작은잎은 작고, 꽃은 붉은빛이 강한 데 비해 왕자귀나무는 남부지방에 드물게 자라며 작은잎은 보다 크고, 꽃이 흰색이므로 구별된다. 조경수, 해안 사방용으로 심는다. 목재는 기구재로 이용하며, 나무껍질과 꽃은 약용한다. 한반도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이남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타이완, 중국, 인도, 히말라야 [3]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이남 [3]
-
낙엽활엽수로 6~7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8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42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3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4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5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6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7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8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ΚB Luciferase 9 항균 Disc difussion assay 10 항균 Disc difussion assay 논문 (총 1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The Potential of Medicinal Plants and Natural Products in the Treatment of Burns and Sunburn-A Review. [Weronika Skowrońska, Agnieszka Bazylko] Pharmaceutics 2023 2 Optimization of Ultrasonic-Assisted Total Flavonoids Extraction from Flower of <i>Albizia Julibrissin</i> Durazz.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r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Profile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Cheng, Yijie;Zhang, Yuwen;Sun, Hanzhang;Huang, Dongting;Jiang, Bo;Xu, Jingyuan; American journal of biochemistry & biotechnology 2022 3 Antigenotoxic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itter leaf (Vernonia amygdalina del.) accessions from different parts of Nigeria Eraga, LI;Aganbi, E;Anigboro, AA;Asagba, SO;Tonukari, NJ; African journal of food, agriculture, nutrition, and development 2022 4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identifies innate immune signatures for <i>Albizia julibrissin</i> saponin active fraction-adjuvanted avian influenza vaccine Du, Jing;Sun, Hongxiang;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21 5 Vernonia Amygdalina Chlorophyll Content Prediction by Feature Texture Analysis of Leaf Color Damayanti, R;Riza, D F A;Putranto, A W;Nainggolan, R J; IOP conference series :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2021 6 Comparison extraction methods for evaluating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Vernonia amygdalina leaves extract Muharni;Elfita;Yohandini, Heni;Valenta, Chika; Mediterranean journal of chemistry 2020 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gnans and Other Phenolic Constituents from the Stem Bark of Albizia julibrissin Durazz and Evaluation of Their Nitric Oxide Inhibitory Activity Li, Wei;Yang, Hey Jin;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2020 8 Mechanisms of Mixed Th1/Th2 Responses in Mice Induced by <i>Albizia julibrissin</i> Saponin Active Fraction by <i>in Silico</i> Analysis Du, Jing;Jin, Junjie;Wang, Juanjuan;Sun, Hongxiang; Vaccines 2020 9 Quick and improved immune responses to inactivated H9N2 avian influenza vaccine by purified active fraction of <i>Albizia julibrissin</i> saponins Sun, Hongxiang;Fei, Liyan;Zhu, Binnian;Shi, Minghua; BMC veterinary research 2020 10 Mechanisms of Mixed Th1/Th2 Responses in Mice Induced by <i>Albizia julibrissin</i> Saponin Active Fraction by i<i>n Silico</i> Analysis. [Jing Du, Junjie Jin, Juanjuan Wang, Hongxiang Sun] Vaccines 2020 특허 (총 11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SKIN CARE FORMULATIONS Patricia McGill Boland|Deborah Eileen Gregg Bouche|John Anthony Garruto|Bethany Ann McCarver 2022-08-05 2 Brightening skin care serums Patricia McGill Boland|Deborah Eileen Gregg Bouche|John Anthony Garruto|Bethany Ann McCarver 2021-05-07 3 Antidepressant compound prepara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hengcan Zou|Jiancheng Zong|Wenyu Li|Lei Zong|Zengliang Zhang|Shanglong Wang 2020-11-26 4 ALBIZIA JULIBRISSIN EXTRACT-CONTAINING COMPOSITION SUGAHARA, Tomohiro|菅原 知宏|YAMAMOTO, Shuhei|山本 周平|YAMASHITA, Chikako|山下 周子 2020-06-09 5 ANTIOXIDANT SUGAHARA, Tomohiro|菅原 知宏 2019-07-11 6 REDNESS CORRECTING SKIN CARE FORMULATIONS Patricia McGill Boland|Deborah Eileen Gregg Bouche|John Anthony Garruto|Bethany Ann McCarver 2019-04-18 7 TREATMENT OF HEPATITIS C CHENG, YungChi 2019-04-17 8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antioxidant properties Jürgen Lademann|Leonhard Zastrow|Martina Meinke|Stephanie Albrecht|Torsten Zuberbier|Alexandra Lan 2018-08-30 9 COSMETIC COMPOSITIONS HAVING ANTIOXIDANT PROPERTIES LADEMANN, Jürgen|ZASTROW, Leonhard|MEINKE, Martina|ALBRECHT, Stephanie|ZUBERBIER, Torsten|LAN, Alexandra 2018-08-30 10 PLANT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AND STRESS DOAN, Y-Nhi 2018-07-27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자귀나무, 측백나무(질경이), 상추를 발효시켜 불면증이 있을 때 먹는다. 2 구전 농사용 야생에서 채취한 자귀나무를 끓여서 그 물을 소가 날뛸 때 먹인다. 3 구전 농사용 계절에 상관없이 짜굿대(자귀나무) 뿌리를 삶아서 소가 여름에 지칠 때 먹이는데, 설사도 낫고 사람한테는 술 타 먹인다. 4 구전 약용 짜그배나무(자귀나무) 뿌리를 채취하여 달여서 그 물을 다리 아플 때 먹는다. 5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짜굿대(자귀나무)의 줄기를 채취하여 백일기침을 하는 사람은 삶아 물을 마시고 콩나물(콩)과 꿀(양봉꿀벌)을 재워두었다가 콩나물이 쪼그라들면 그 꿀을 먹는다. 6 구전 약용 음나무, 노나무, 우슬뿌리(쇠무릎), 창출, 짜구때나무(자귀나무)를 채취하여 함께 솥에 담아 푹 삶아 누룩과 버무려 팔선주를 담가 관절이 아플 때 먹는다. 7 구전 약용 짜구대나무(자귀나무) 기름을 내어 머리에 두피지루(무좀같이 생긴 딱지)에 바르면 딱지가 떨어진다. 8 구전 문화용 짜구대나무(자귀나무)를 집에 심으면 귀신을 쫓아서 우환이 들지 않는다고 한다. 9 구전 생활용 가을에 산에서 짜구대나무(자귀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긴 것으로 지게를 만든다. 10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짜구대나무(자귀나무) 줄기를 채취하여 삶은 물로 피부염증이나 가려움증에 목욕을 한다. -
표본 (총84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01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남도 고흥... 토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068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강원도 양양군... / 2008-07-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069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강원도 양양군... / 2008-07-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798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7-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234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56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00859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충청남도 보령... 대화사도 / 1999-06-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61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상남도 진주... 집현산 / 2002-07-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65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 / 2000-08-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68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상남도 의령... 자굴산 / 2002-05-2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90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701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2007-07-12 DNA 1건 NIBRGR0000051933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남도 신안... 가거도 / 2008-06-07 DNA 1건 NIBRGR000005272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전라남도 무안... . / 2008-07-12 조직 1건 NIBRGR000005873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05-09-30 조직 1건 NIBRGR0000068248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기도 용인시... 시궁산 / 2007-07-27 DNA 1건 NIBRGR000006831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상북도 상주... 백학산 / 2007-10-13 DNA 1건 NIBRGR000006853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기도 용인시... 시궁산 / 2007-07-27 조직 1건 NIBRGR0000068780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상북도 상주... 백학산 / 2007-10-13 조직 1건 NIBRGR0000071466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기도 용인시... 시궁산 / 2007-07-27 조직 1건 NIBRGR0000071517 Albizia julibrissin Durazz. / 자귀나무 경상북도 상주... 백학산 / 2007-10-13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Albizia julibrissin Durazz. 자귀나무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안태근 ; 이민웅 ; 이상선 (1992) 콩과식물 주변 토양의 내생균근균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0 (3) : 204 – 215
용인 ( 199108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