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돌콩 Glycine soja Siebold & Zucc.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Fabales (콩목) > Fabaceae (콩과) > Glycine (콩속) > soja (돌콩)

들이나 벌판에 나는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가늘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길이 2m 정도이고 전 줄기에 밑을 향한 갈색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 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잎자루는 짧은 털이 나고 길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잎끝이 둔하며 잎밑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탁엽은 넓은 피침형이며 맥이 있고 소탁엽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3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나비 모양꽃이 잎겨드랑이의 짧은 총상화서에 몇 개가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갈래이다. 수술은 10개로서 각각 2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이며, 길이 2~3cm로 9월에 성숙한다. 종자는 흑갈색으로 작은 콩알 비슷하다. 우리나라 거의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 일본, 중국 [2]

    한국 [2]

  • 덩굴지어 자라는 한해살이풀로 꽃은 7~8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14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아폽토시스 작용제 C20H18O5 61080-23-7 338.359
    2
    아폽토시스 작용제 C20H18O5 57103-57-8 338.359
    3
    아폽토시스 작용제 C20H18O5 67314-98-1 338.359
    4
    아폽토시스 작용제 C21H22O5 69393-94-8 354.402
    5
    항종양(골육종) C20H18O5 61080-23-7 338.359
    6
    항종양(난소암) C20H18O5 61080-23-7 338.359
    7
    항종양(유방암) C20H18O5 57103-57-8 338.359
    8
    항종양(유방암) C20H18O5 67314-98-1 338.359
    9
    항종양(유방암) C21H22O5 69393-94-8 354.402
    10
    항종양(유방암) C20H18O5 61080-23-7 338.359

    효능실험정보 (총 7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4 항알레르기 β-hexosaminidase assay b-hexosaminidase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7 항염 MTS assay MTS assay

    논문 (총 14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Genetic basis and selection of glyceollin elicitation in wild soybean. [Farida Yasmin, Hengyou Zhang, Larry Leamy, Baosheng Wang, Jason Winnike, Robert W Reid, Cory R Brouwer, Bao-Hua Song]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4
    2 Integrated metabolomic and transcriptomic strategies to reveal alkali-resistance mechanisms in wild soybean during post-germination growth stage. [Xiaoning Wang, Yunan Hu, Yuming Wang, Yida Wang, Shujuan Gao, Tao Zhang, Jixun Guo, Lianxuan Shi] Planta 2023
    3 The Novel Effector Ue943 Is Essential for Host Plant Colonization by <i>Ustilago esculenta</i>. [Shuqing Wang, Wenqiang Xia, Yani Li, Yuyan Peng, Yafen Zhang, Jintian Tang, Haifeng Cui, Lisi Qu, Tongfu Yao, Zetao Yu, Zihong Ye] Journal of fungi (Basel, Switzerland) 2023
    4 Protective Effects of <i>Glycine soja</i> Leaf and Stem Extract against Chondrocyte Inflammation and Osteoarthritis. [Yun Mi Lee, Eunjung Son, Seung-Hyung Kim, Dong-Seon Kim]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
    5 Metabolomic Analysis Reveals Domestication-Driven Reshaping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in Soybean Seeds. [Xuetong Li, Sujuan Li, Jian Wang, Guang Chen, Xiaoyuan Tao, Shengchun Xu]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3
    6 Genome-wide signatures of the geographic expansion and breeding of soybean. [Ying-Hui Li, Chao Qin, Li Wang, Chengzhi Jiao, Huilong Hong, Yu Tian, Yanfei Li, Guangnan Xing, Jun Wang, Yongzhe Gu, Xingpeng Gao, Delin Li, Hongyu Li, Zhangxiong Liu, Xin Jing, Beibei Feng, Tao Zhao, Rongxia Guan, Yong Guo, Jun Liu, Zhe Yan, Lijuan Zhang, Tianli Ge, Xiangkong Li, Xiaobo Wang, Hongmei Qiu, Wanhai Zhang, Xiaoyan Luan, Yingpeng Han, Dezhi Han, Ruzhen Chang, Yalong Guo, Jochen C Reif, Scott A Jackson, Bin Liu, Shilin Tian, Li-Juan Qiu] Science China. Life sciences 2023
    7 QTL Mapping of Soybean (<i>Glycine max</i>) Vine Growth Habit Trait. [Jian Song, Kanglin Liu, Xuezhen Yang, Yijie Chen, Yajun Xiong, Qichao Yang, Jing Wang, Zhihao Zhang, Caiyu Wu, Jun Wang, Lijuan Qiu]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
    8 Comparative study of leaf nutrient reabsorption by two different ecotypes of wild soybean under low-nitrogen stress. [Yuan Liu, Shujuan Gao, Yunan Hu, Tao Zhang, Jixun Guo, Lianxuan Shi, Mingxia Li] PeerJ 2023
    9 Quantitative Trait Loci (QTL) Analysis of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in Wild Soybean (<i>Glycine soja</i>). [Woon Ji Kim, Byeong Hee Kang, Chang Yeok Moon, Sehee Kang, Seoyoung Shin, Sreeparna Chowdhury, Man-Soo Choi, Soo-Kwon Park, Jung-Kyung Moon, Bo-Keun Ha]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
    10 Population structure of wild soybean (<i>Glycine soja</i>) based on SLAF-seq have implications for its conservation. [Jing Meng, Guoqian Yang, Xuejiao Li, Yan Zhao, Shuilian He] PeerJ 2023

    특허 (총 726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COSMETIC USE OF ENGINEERED POSTBIOTICS COMPRISING BACTERIOCINS AND/OR ENDOLYSINS Antoine DECRULLE|Xavier DUPORTET 2023-03-17
    2 DEVICE FOR SUPPLYING A COMPOSITION TO A PRESSURIZED DEPOSITION SYSTEM Curt Binner 2023-01-06
    3 COSMETIC AND PERSONAL CARE PRODUCTS AND METHODS Jeffrey Dean Lindsay 2023-01-03
    4 USE OF PESTICIDAL ACTIVE CARBOXAMIDE DERIVATIVE IN SOIL AND SEED APPLICATION AND TREATMENT METHODS Tatjana Sikuljak|Markus Gewehr|Anil Menon 2022-12-22
    5 TYPE I COLLAGEN PEPTIDE FOR THERAPEUTIC USE HAUSMANNS, Stephan|FRECH, Hans-Ulrich|OESSER, Steffen|HAHN, Martin 2022-12-21
    6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ujatha D. SONTI|Joey Roger THOMAS|Jon LENN|Leandro SANTOS|Justin WHITEMAN|Michael Quinn DOHERTY|Mary BEDARD|Piyush JAIN 2022-12-15
    7 COMPOSITION WITH SKIN ANTI-AGING ACTIVITY GIULIANI, Giammaria|RINALDI, Fabio|PINTO, Daniela|MARZANI, Barbara 2022-12-06
    8 SOYBEAN VARIETIES `10020512713`, `10020803305`, AND `10020803330` Marcos Quiroga GUIRALDES|Jose Martin Sarinelli|Santiago Fleming|Matias Taussig|Andrei Zdziarski 2022-11-30
    9 MICROALGAE-BASED BIOPROTEC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OST PLANTS LIU, Xing Liang|CALLEJA, Carmela Perez|WAGNER, Douglas Ry 2022-11-23
    10 PAENIBACILLUS STRAINS PRODUCING LOW AMOUNTS OF DAB COMPRISING COMPOUNDS. MAY, Tobias|ZIMMERMANN, Judith|TOKOVENKO, Bogdan|HEINRICH, Daniel Christoph|STIERL, Reinhard|HEROLD, Andrea 2022-11-11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양(羊) 양이 1천 마리인 경우, 3~4월중에 콩 1경(頃: 1경은 1백묘)과 여러 곡식을 심는다. 풀과 함께 김매거나 뽑지 말고 밭에 그대로 두고는 8~9월이 끝나갈 무렵에 푸른 풀을 베어 꼴을 만든다. 만약 콩이나 곡류를 심지 않았다면 풀씨가 처음 생길 때 잡초를 베어들여 얇게 펴 말리고 눅눅해지지 않게 한다.노두( 豆: 새콩)․호두(胡豆: 잠두<蠶豆>)․쑥[蓬]․명아주[藜]․가시나무[荊]․멧대추나무[棘]가 가장 좋고, 콩이나 팥의 깍지[萁]가 그 다음이다. 고려두(高麗豆: 콩 종류) 깍지는 특히 편하다. 갈대[蘆]나 물억새[薍] 두 종류는 심지 않는다. 대개 가을에 풀을 베어 꼴을 만들어두면 단지 양을 먹이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몇 갑절의 좋은 점이 있다. 최식(崔寔)은 ‘10월 7일에 푸른 꼴을 벤다.’ 하였다. 날씨가 춥고 바람이 심하며 서리가 많이 내리는 겨울이거나 비가내리고 푸른 풀이 아직 자라지 않은 초봄에는 양에게 사료를 먹이고 밖에다 방목하지 않는다.
    2 구전 약용 감기에는 삶아서 그 물을 마심
    3 구전 약용 인동덤불, 박속, 대나무잎, 생강, 서목대콩, 대파뿌리를 함께 삶아서 그 물에 꿀을 타서 먹음
    4 구전 식용 산초 기름을 짜서 검정콩두부를 지져 먹음
    5 구전 식용 두부를 만들어 산추기름으로 튀겨먹음
    6 구전 약용 겉보리와 박속과 쥐눈이 콩(서무태)와 대파뿌리를 삶아서 먹음
  • 표본 (총83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967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70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39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849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남도 홍성... 오서산 / 1999-07-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52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53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남도 청양... 칠갑산 / 2000-09-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55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북도 제천... 월악산 / 1997-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57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충청남도 홍성... 오서산 / 1999-07-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958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강원도 영월군... 태화산 / 2001-08-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797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30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1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713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전라북도 진안... 운장산 / 2007-09-13 DNA 1건
    NIBRGR0000051736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경상남도 하동... 지리산 / 2007-10-01 DNA 1건
    NIBRGR0000069335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서... . / 2009-09-03 조직 1건
    NIBRGR0000069346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강... . / 2009-09-10 조직 1건
    NIBRGR0000069349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강... . / 2009-09-10 조직 1건
    NIBRGR0000069351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강... . / 2009-09-10 조직 1건
    NIBRGR0000069352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강... . / 2009-09-10 조직 1건
    NIBRGR0000069355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인천광역시 서... . / 2009-09-15 조직 1건
    NIBRGR0000069370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경상북도 성주... . / 2009-09-21 조직 1건
    NIBRGR0000074467 Glycine soja Siebold & Zucc. / 돌콩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 2009-09-17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Glycine soja Siebold & Zucc. 돌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