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알팔파
콩목 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지중해 연안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알팔파’라는 이름의 목초로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되어 햇볕이 잘 드는 들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옆으로 눕거나 곧게 자라며, 높이 30~100cm,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고, 작은잎은 도피침형 또는 도란형,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2cm, 턱잎은 피침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7~8월에 붉은 자주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5갈래로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 통부보다 길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 길이 9~13mm다. 열매는 협과로 나선형으로 말리며 편평하고, 8월에 익으며, 여러 개의 씨가 들어 있다. 개자리에 비해 꽃이 자주색이고, 열매에 가시가 없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목초용, 사료용으로 식재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지중해 지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지중해(원산)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23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균 Disc difussion assay 3 항균 Disc difussion assay 4 항균 Disc difussion assay 5 항균 Disc difussion assay 6 항균 Disc difussion assay 7 항균 Disc difussion assay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균 Disc difussion assay 10 항균 Disc difussion assay 논문 (총 88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The functional divis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earthworm to efficient cooperation on phytoremediation in molybdenum (mo) contaminated soils. [Dongguang Yang, Jiazhi Fan, Li Wang] Environmental research 2024 2 Characterization of phyllosphere endophytic lactic acid bacteria reveals a potential novel route to enhance silage fermentation quality. [Hongzhang Zhou, Shangang Jia, Yu Gao, Xiaomei Li, Yanli Lin, Fuyu Yang, Kuikui Ni] Communications biology 2024 3 Zinc oxide nanoparticles alleviate cadmium toxicity and promote tolerance by modulating programmed cell death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Zhao Chen, Yuxi Feng, Zhipeng Guo, Mengli Han, Xuebing Ya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4 4 Integrated physiological and transcriptomic analyzes reveal the duality of TiO<sub>2</sub> nanoparticles on alfalfa (Medicago sativa L.). [Zhao Chen, Zhipeng Guo, Mengli Han, Yuxi Feng, Jin Ma]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024 5 The chromosome-level assembly of the wild diploid alfalfa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the full landscape of genomic variations between cultivated and wild alfalfa. [Kun Shi, Hongbin Dong, Huilong Du, Yuxian Li, Le Zhou, Chengzhi Liang, Muhammet Şakiroğlu, Zan Wang] Plant biotechnology journal 2024 6 Novel underlying regulatory mechanism of the MsDAD2-mediated salt stress response in alfalfa. [Xiaoyan Wang, Haoyan Tang, Tongchen Lu, Peihan Shen, Jifeng Chen, Wei Dong, Yuguang Song]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24 7 Effects of SNP marker density and training population size on prediction accuracy in alfalfa (Medicago sativa L.) genomic selection. [Hu Wang, Yuguang Bai, Bill Biligetu] The plant genome 2024 8 Alfalfa weevils (Coleoptera: Curculionidae) in the western United States are resistant to multiple type II pyrethroid insecticides. [Erika A Rodbell, Christopher G Caron, Silvia I Rondon, M Umer Masood, Kevin W Wanner] Journal of economic entomology 2024 9 Enhancement of salt tolerance of alfalfa: Physiological and molecular responses of transgenic alfalfa plants expressing Syntrichia caninervis-derived ScABI3. [Yigong Zhang, Yi Zhang, Chun Wang, Jiangyuan Xiao, Mingqi Huang, Lu Zhuo, Daoyuan Zhang]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 PPB 2024 10 FtsH proteases confer protection against salt and oxidative stress in Medicago sativa L. [Mingna Li, Xiaoxi Zhu, Qianwen Yu, Andong Yu, Lin Chen, Junmei Kang, Xue Wang, Tianhui Yang, Qingchuan Yang, Ruicai Long] Plant science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plant biology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식용 잡채. 오이채, 무, 댓무, 참버섯, 석이, 표고, 송이, 숙주나물은 생으로 하고, 도라지, 거여목, 박고지, 냉이, 미나리, 파, 두릅, 고사리, 승검초, 동아, 가지와 꿩고기를 삶아 실실이 찢어 놓는다. 생강이 없으면 건강, 초강, 후추, 참기름, 진간장, 밀가루 갖가지 재료를 가늘게 한 치씩 썰어 각각 기름간장에 볶아 섞거나 또는 분리하기를 임의로 한다. 큰 대접에 담아 즙을 뿌리되 알맞게 하고 위에 천초, 후추, 생강을 뿌린다. 즙은 꿩고기를 다져서 하고, 된장을 걸러 삼삼하게 하고, 참기름과 멀가루를 넣되 국맛이 맞으면 밀가루국에 타서 한 번 솟구도록 끓여 즙을 걸게 만다. 동아는 날 것을 물에 살짝 데쳐서 하되, 빛깔을 우려하거든 도라지와 맨드라미로 붉은 물을 들이고, 없거든 머루물을 들이면 붉어진다. 이것이 부디 갖가지 재료를 다 하란 말이 아니니 구할 수 있는 대로 하면 된다. 2 문헌 식용 당귀경[當歸莖] : 움에서 기르다가 노란 싹이 나면 먹는데, 적(炙)으로 만들기도 하고 무김치에 함께 넣기도 하여 어디든지 다 쓸 수 있다. 여름철에 산에 자라는 당귀 줄기를 가져다가 기름, 간장, 밀가루를 섞어 즙을 만들고 발라서 적(炙)을 만들어도 맛있다. 3 문헌 생활용 홍화(紅花) - 또 : 향택(香澤: 머리에 바르는 향유) 만드는 법 : 계설향(鷄舌香: 정향나무〈丁香〉)세간사람들은 그것이 올챙이[丁子] 비슷하기 때문에 정자향(丁子香)이라 한다. 곽향(藿香)․거여목[苜蓿]․광명자[羅勒] 등 모두 4종을 새 헝겊으로 싸서 담근다. 여름에는 하룻밤을 담가두고, 봄가을에는 이틀 밤, 겨울에는 3일 밤을 담가둔다. 4 문헌 식용 목숙(苜蓿) - 초봄에 이미 날로먹고 국을 끓이면 매우 향기롭다. 이 거여목은 오래 살기 때문에 심는 자는 한번 수고하고 오래 편안하니, 도읍의 성곽을 등진 곳에 심는 것이 좋다. 5 문헌 농사용 목숙(苜蓿) - 맛은 쓰고 평이하며 독이 없으며 속이 편안하고 오장(五臟)을 이롭게 하며 비장과 위장 사이의 여러 나쁜 열과 독을 씻어준다. 자란 것은 사료로 적합하며 말이 이 거여목을 더욱 좋아한다. 6 문헌 농사용 거름하기[淤蔭] 또: 녹비(苗糞)로는 잠두(蠶豆)와 보리[大麥]도 모두 좋다. 초분(草糞)은 교요(翹義)와 능초(陵苕) 같은 것들이다. 강남에서는 모두 이 풀들을 특별히 심어서 밭에 거름으로 쓰는데 들풀이 아니다. 아마도 게여목[ ]도 역시 벼에 주는 거름으로 쓸 수 있다. 털과 깃은 뜨거운 물과 서로 섞어 쌓아두고 오랜 시간이 지나게 되면 썩어 문드러진다. 만약 빨리 썩히려면 부추[韭菜]를 한 움큼 집어다가 그 속에 두게 되면 그 다음날에 모두 썩어버린다. 낮은 지대의 논[下田]은 물이 냉(冷)할 수 없다. 오직 산간의 논[山田]에 있는 샘물만이 햇빛을 보지 않으면 물이 차다. 복건(福建)과 광동(廣東) 지역에서는 뼈나 민물조개[蚌蛤]를 태운 재로 논에 거름을 주는데 역시 산지의 논물이 냉하기 때문이다. 7 문헌 식용 장건이 이것을 따가지고 돌아와서 심었더니 가을이 지난 뒤에 열매를 맺는데 검은 것이 여러 겹이었다. 세속에서는 이것을 '수율미(木栗米)라고 한다'라고 하였다. 술밥을 쪄도 좋다. 또 이것은 나물이름이다. 옛 시에 "반 위에 무엇이 있는 가, 목숙이 길게 어지러이 놓여 있네"라고 했으며 이것은 대개 세속에서 말하는 목숙나물이다. 그래서 풀이름은 목숙과는 같지 않다. -
표본 (총21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0088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0089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2397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충청남도 아산... 영인산 / 2001-06-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2398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경상북도 안동... / 2003-06-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9898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옹... 영흥도 / 2007-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825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옹... 영흥도 / 2007-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826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옹... 영흥도 / 2007-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0304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6-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0305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6-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0306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계양산 / 2008-06-1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4787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남... . / 2008-07-10 DNA 1건 NIBRGR0000071296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대구광역시 달... 낙동강 / 2009-06-29 조직 1건 NIBRGR0000103311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인천광역시 계... 산 / 2010-06-16 조직 1건 NIBRGR0000105614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대구광역시 달... 낙동강 / 2010-07-17 조직 1건 NIBRGR0000188415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경기도 의왕시... / 2015-11-05 종자 1건 NIBRGR0000189337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경상북도 포항... 월포해수욕 / 2015-07-02 종자 1건 NIBRGR0000189649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대구광역시 동... / 2015-12-01 종자 1건 NIBRGR0000406507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경기도 김포시... / 2015-08-18 건조시료 1건 NIBRGR0000594504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경기도 김포시... / 2015-08-18 추출물 2건 NIBRGR0000616537 Medicago sativa L. / 자주개자리 대구광역시 달... 낙동강 / 2009-06-29 DNA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Medicago sativa L. 자주개자리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