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Myrtales (도금양목) > Lythraceae (부처꽃과) > Lagerstroemia (배롱나무속) > indica (배롱나무)

낙엽활엽 작은 키나무로 줄기는 높이 3-7m이다. 줄기껍질은 붉은 갈색이고 벗겨진 곳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길이 3-7cm, 너비 2-4cm이다. 꽃은 7-9월에 길이 10-20cm의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지름 3-4cm이고, 붉은색, 보라색, 흰색이다. 꽃잎은 6장이고 끝이 주름진다. 꽃이 약 100일간 핀다고 하여 백일홍 또는 목백일홍이라고도 부른다. 중국 남부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 일본 등에서 관상용으로 심는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원산지), 일본(식재) [2]

    중부 이남(식재) [2]

  • 꽃은 7~9월에 피고 열매는 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4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3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4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5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6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7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균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test
    10 항균 Disc difussion assay

    논문 (총 1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ffectiveness Test of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RS-2 from Sambiloto (Andrographis paniculata) on Red Rice Media Rohmah Luqiyatur;Suryelita Suryelita;Riga Riga;Ulfah Mariam; Indonesian Journal of 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IJCST) 2023
    2 <i>Lagerstroemia indica</i> extract regulates human hair dermal papilla cell growth and degeneration via modulation of β‐catenin, Stat6, and TGF‐β signaling pathway Kim, Byung Hyun;Kim, Myong Ki;Choi, Bu Young;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Society for Cosmetic & Aesthetic Dermatology 2022
    3 Flower colour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s, antibacterial activities in <i>Lagerstroemia indica</i> L. Wei, Qiang;Liu, Rui-jie; Natural product research 2022
    4 Effect of Bio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on Bacterial Biofilm Changes in S. aureus and E. coli Hosnedlova, Bozena;Kabanov, Daniil;Kepinska, Marta;B Narayanan, Vedha Hari;Parikesit, Arli Aditya;Fernandez, Carlos;Bjørklund, Geir;Nguyen, Hoai Viet;Farid, Awais;Sochor, Jiri;Pholosi, Agnes;Baron, Mojmir;Jakubek, Milan;Kizek, Rene; Nanomaterials 2022
    5 Effect of Bio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on Bacterial Biofilm Changes in <i>S. aureus</i> and <i>E. coli</i>. [Bozena Hosnedlova, Daniil Kabanov, Marta Kepinska, Vedha Hari B Narayanan, Arli Aditya Parikesit, Carlos Fernandez, Geir Bjørklund, Hoai Viet Nguyen, Awais Farid, Jiri Sochor, Agnes Pholosi, Mojmir Baron, Milan Jakubek, Rene Kizek] Nanomaterials (Basel, Switzerland) 2022
    6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ANDROGRAPHIS PANICULATA AND VITEX NEGUNDO FOR ANALGESIC ACTIVITY SEN DIVYA;SAHU MANOJ;VERMA LOKESH;BANWEER JITENDRA; As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Clinical Research 2022
    7 The oxidative damage of the Lagerstroemia indica chlorosis mutant gl1 involves in ferroptosis. [Sumei Li, Shuan Wang, Zhenxing Song, Peng Wang, Fenni Lv, Rutong Yang, Ya Li] Journal of plant physiology 2022
    8 Lagerstroemia indica l. high potential medicinal plant in introduction conditions of kashkadarya Sharonova Mohidil Amanovna;Rashit Rakhimovich Rakhmonov;Zulfikarov Abdurayim Naimovich; Middle European Scientific Bulletin 2021
    9 Anticancer,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ssessment of Zinc Oxide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Lagerstroemia indica Behera, Ambika;Awasthi, Shruti; BioNanoScience 2021
    10 Anticarcinogenic Potentials of Silver Oxide Nanoparticles Synthesized from <i>Lagerstroemia Indica</i> Behera, Ambika;Awasthi, Shruti;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science 2021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장마가 질 때 가지를 잘라서 심고 그늘진 곳에 두면 금방 새 가지가 자라나는데, 해장죽으로 지탱하여 백양류처럼 만들면 아름답다. 안에 들여놓되 덥지 않게 하고, 마르지 않도록 물을 준다. 질그릇 화분을 사용한다.
    2 문헌 기타 한양에 있는 공후의 저택에서는 백일홍을 뜰에 많이 심어 높이가 한 길이 넘는 것도 있었다.
    3 문헌 기타 중국에서는 궁궐 안에 이 꽃을 많이 심어 옛날 문사들이 이에 관한 글을 짓고 시를 읊곤 했다. 우리나라의 궁궐에서는 이 꽃을 본 적이 없고, 몇 종류의 작약만을 보았을 뿐이다. 영남 근해의 여러 군과 촌락에서 많이 심는다.
    4 문헌 문화용 성 안에서도 많이 심었는데, 이것은 오랫동안 꽃이 만발하여 아낄 만하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5 구전 약용 백일홍(배롱나무)의 흰 꽃을 삶아서 백일기침을 하는 사람은 그 물을 마신다.
    6 구전 약용 흰접시꽃(접시꽃) 뿌리와 흰도라지(도라지) 뿌리를 채취하여 백일홍나무(배롱나무) 동쪽으로 뻗은 가지, 흰장닭(닭)을 넣어 함께 고아 불임에 먹는다.
    7 구전 약용 흰접시꽃(접시꽃) 뿌리와 백도라지(도라지)와 동쪽으로 뻗은 백일홍나무(배롱나무) 가지와 흰 닭(닭)을 함께 달여서 불임인 사람이나 아기가 안 생기는 사람이 먹어 3번해주니까 아들을 낳았다.
    8 구전 약용 백일홍(배롱나무), 흰복숭아(복사나무), 흰접시꽃(접시꽃)을 채취하여 달여서 생리불순이 있을 때 마신다.
    9 구전 약용 마을주변에서 흰접시꽃(접시꽃), 백일홍(배롱나무)을 채취하여 말린 명태와 함께 달여서 생리통이나 냉대하가 있는 사람에게 먹인다.
    10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흰접시꽃(접시꽃)의 뿌리와 마른명태(명태)와 백일홍(배롱나무)의 줄기를 함께 삶아 하혈 하는 사람에게 먹인다.
  • 표본 (총11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1077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의령... 자굴산 / 2002-07-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1301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 2002-07-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5579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태청산 / 1998-05-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5581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불갑산 / 1998-08-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5210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김해... 돗대산 / 2008-08-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5311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함안... 자양산 / 2008-08-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62009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창녕... 영취산 / 2008-08-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81323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산청... 지리산 / 2005-08-3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0183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충청남도 태안... / 2008-08-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01839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충청남도 태안... / 2008-08-2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791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부산광역시 강... / 2008-08-06 조직 1건
    NIBRGR0000414769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북도 고령... / 2017-12-10 종자 2건
    NIBRGR0000421997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전라남도 진도... / 2017-09-13 조직 1건
    NIBRGR0000422075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전라북도 무주... / 2017-07-26 조직 1건
    NIBRGR0000426286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전라북도 무주... / 2017-07-2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6287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전라북도 무주... / 2017-07-2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628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전라북도 무주... / 2017-07-26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19155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대구광역시 수... / 2019-11-10 조직 1건
    NIBRGR0000626361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778 Lagerstroemia indica L. / 배롱나무 경상남도 진주... / 2020-07-15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Lagerstroemia indica L. 배롱나무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Lagerstroemia indica L. 배롱나무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Lee M-L, Suh S-J, Hodges G, Carver M (2005) Eight species of whiteflies (Homoptera: Aleyrodidae) newly recorded from Korea.. Insecta Mundi 19 : 159 – 166

      Andong ( 19990826 M.L. Lee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