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도금양목 마름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호수나 연못 등 고인 물이 있는 곳에서 한해살이풀로 흔하게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다. 물속의 잎은 깃꼴로 가늘게 갈라진다. 물 위에 뜬 잎은 줄기 위쪽에 모여난다. 잎자루는 연한 털과 공기주머니가 있고, 8~14cm다. 공기주머니는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 길이 1~3cm다. 잎몸은 난상 마름모꼴, 길이 3~4cm, 폭 3~5cm다. 잎 앞면은 윤기가 있고, 뒷면은 잎줄 위에 긴 털이 많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물 위로 나온 꽃자루 끝에 1개씩 7~9월에 피며, 흰색, 지름 1cm쯤이다. 꽃자루는 짧으나 나중에 길게 되며, 겉에 털이 난다. 꽃받침잎, 꽃잎, 수술은 각각 4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핵과이며, 겉이 딱딱하고, 납작한 역삼각형, 높이 1.2~1.7cm, 폭 2.9~4.4cm, 검은색, 양쪽에 길이 1.2~1.6cm의 뿔이 2개 있다. 이 종은 가시가 옆이나 위쪽으로 비스듬히 서는 반면, 유전마름은 가시가 밑을 향하는 점에서 구별된다. 또한 열매는 위쪽의 양 끝에 2개의 가시만 있는 데 비해 애기마름은 열매의 위아래에 각각 2쌍씩 4개의 가시가 있으므로 다르다. 종자는 식용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대만, 일본, 중국 [2]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3]
전국 [3]
-
호수나 연못 등의 고인 물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물풀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6),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5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마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암세포증식 억제 활성 한혜민;권용수;김명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모두 식량을 대신[休]할 수 있다. 2 문헌 기타 능면<월령 광의에서>, 3 문헌 식용 연육, 백복령, 산약초, 의이인 각 4냥, 맥아초, 능인, 백변두 각2냥, 시상1냥, 사탕(설탕)20냥, 가루 만들어 쌀가루 5되에 섞어 떡을쪄서 널어 말린다. 마르거든 찧어 쳐서 의이를 쑤면 위를 보호하고 기를 더하여 노인에게 매우 좋다.켜를 안쳐 떡을 쪄 먹으면 맛이 달고 향긋하여 매우 아름답고 원기를 보하고, 볶아서 미숫가루에 만들어 꿀물에 타 먹으면 갈증이 풀린다. 4 문헌 식용 卷 19 구황(救荒) - 연근(蓮根)․연자(蓮子)․능인(菱仁)․검인(芡仁) : 모두 양식을 대신할 만하다.채취하는 방법은「섭생(攝生)」에 나온다. 5 문헌 식용 마니병자[麻膩餠子方] 살찐 거위[鵝] 1마리를 삶아 익혀 뼈를 없애고 살과 비계는 각각 칼로 가늘게 길게 썬다. 데친 부추 ‧ 생강채 ‧ 마름채 ‧ 데친 목이버섯채 ‧ 마른 죽순채를 각각 주발에 차례차례 펴 놓는다. 고기는 삶아 익히고 마니(麻膩)와 고기 국물을 펄펄 끓여 쏟아 붓는다. 떡은 춘병(春餠)108)처럼 만드는데 조금 두껍고 작게 만든다. 하나하나 앞의 양념을 말아 먹는다. 6 문헌 식용 마름죽[菱角粥] 마름 열매를 잘 다듬어 가루를 내고 죽을 만드는 것은 위에서 말한 방법대로 한다. 위의 세 가지 죽은 사람에게 매우 이롭다. 7 문헌 식용 육미죽(肉米粥) 흰쌀을 먼저 끓여 부드러운 밥을 만들고 닭집과 고기집, 새우집탕 등을 섞어 맑게 익힌 후 고기를 콩알만 하게 잘게 썰어 넣고 마름순․생강․송어 등을 잘게 썰어 넣어 끓여 함채(鹹菜)와 같이 먹으면 그 맛이 심히 좋다. 8 문헌 식용 능(蔆: 마름) - 야릉(野蔆) : 연할 때 껍질을 벗겨서 먹으면 달고 맛있으며 쇠하면 쪄서 먹는다. 시골사람들은 볕에 말려서 잘게 만들어 밥을 하거나, 죽을 끓이거나, 떡을 만들거나, 말린 과일을 만드는데 모두 양식을 대신할 수 있다. 그 줄기 역시 급히 거두어서 쌀과 섞어 밥을 지으면 기근이나 흉년을 구제할 수 있다. 못[澤] 농사짓는데 있어 유리한 식물이다. 9 문헌 식용 능(蔆: 마름) - 연할 때 벗겨서 먹는데 껍질이 무르고 속살이 맛있다. 쇠하면 껍질이 검고 단단해진다. 물속으로 떨어져 들어간 것을 ‘오릉(烏蔆)’이라 한다. 겨울철에 거두어서 바람에 말린 과실을 만든다. 날 것이든 익히든지 모두 맛있다. 10 문헌 식용 卷 8 작물의 기타 농사[農餘] 휘고(彙考) 【소】 응소(應)는 “나무 열매를 ‘과(果)’라 하고 풀 열매를 ‘라( )’라 한다”고 하였다. 장안(張晏)은 “씨가 있는 과일을 ‘과(果)’라 하고 씨가 없는 과일을 ‘라( )’라 한다”고 하였다. 신찬(臣瓚)355)은 “나무 위에 달린 것을 ‘과(果)’라 하고 땅 위에 있는 것을 ‘라( )’라 한다. 온갖 풀들 가운데에는 뿌리를 얻기도 하는데 마름[菱]과 가시연[ ] 따위를 말하고356), 또 열매를 얻기도 하는데 개암나무[榛]와 밤나무[栗] 따위를 말한다. 모두 먹을 수 있는 뿌리열매이다”라고 하였다. -
표본 (총72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796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2802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경상북도 구미... 꺼먼재산 / 2004-08-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195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277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경기도 연천군... 장못 / 2007-07-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278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경기도 연천군... 장못 / 2007-07-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1279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경기도 연천군... 장못 / 2007-09-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9546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전라남도 영광... 불갑산 / 2007-08-20 건조표본 6건 NIBRVP0000129547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연못 / 2006-08-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9548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남생이못 / 2006-08-30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31221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경기도 여주시... / 2003-07-2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8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8529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전라남도 강진... / 2006-08-10 조직 1건 NIBRGR0000081076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10-08-26 조직 1건 NIBRGR0000081084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 2010-08-27 조직 1건 NIBRGR0000088804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강원도 철원군... / 2010-06-10 조직 1건 NIBRGR0000094766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 2007-08-17 조직 1건 NIBRGR0000094849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인천광역시 강... / 2007-08-09 조직 1건 NIBRGR0000094877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 2007-08-21 조직 1건 NIBRGR0000094879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제주특별자치도... / 2007-08-22 조직 1건 NIBRGR0000094882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충청남도 태안... / 2007-08-24 조직 1건 NIBRGR0000094893 Trapa japonica Flerow / 마름 강원도 고성군... / 2007-08-27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Trapa japonica Flerow 마름 rbcL TR_rbcL_F1/TR_rbcL_R1 국립생물자원관 Trapa japonica Flerow 마름 rbcL TR_rbcL_F1/TR_rbcL_R1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임정철(Jeong-cheol Lim), 안경환(Kyung-whan An), 이창우(Chang-wo Lee), 이정현(Jeong-hyun Lee), 최병기(Byeong-ki Choi) (2016) 우포늪 목포습지 수심 분포에 따른 수생식물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30 (3) : 308 – 319
경상남도 창녕군 우포늪 목포습지 ( 20140728 ) -
유영현 ; 이명철 ; 김종국 (2015) 낙동강 지류의 하천 습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다양성.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3 (1) : 13 – 19
경북 고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