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대극

Euphorbia pekinensis Boiss.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대극

Euphorbia pekinensis Boiss.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대극

Euphorbia pekinensis Boiss.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대극 Euphorbia pekinensis Boiss.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Euphorbiales (대극목) > Euphorbiaceae (대극과) > Euphorbia (대극속) > pekinensis (대극)

전국의 산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뿌리는 굵고 곧다. 줄기는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40~80cm, 위쪽에서 4~5개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몸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줄기 위쪽의 잎은 돌려난다. 꽃은 5~6월에 우산 모양의 꽃줄기 끝에 배상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익으면 3개로 갈라진다. [저작재산권자]

  • 전도 [2]

    분포: 일본, 중국 [2]

    일본, 중국, 타이완 [1]

    전국 [1]

  • 개화기: 5-7월 [2]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6), 한국생물지발간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7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리폭시게나제 억제제 C28H46O4 133882-77-6 446.669
    2
    방사선 보호기 C28H46O4 133882-77-6 446.669
    3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0H30O2 450408-55-6 302.456
    4
    항돌연변이 C16H10O8 186966-97-2 330.250
    5
    항돌연변이 C28H46O4 133882-77-6 446.669
    6
    항염증 C20H30O2 450408-55-6 302.456
    7
    항콜레스테롤혈증 C28H46O4 133882-77-6 446.669

    효능실험정보 (총 8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산화 ROS assay
    4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5 항알레르기 β-hexosaminidase assay b-hexosaminidase assay
    6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7 항염 MTS assay MTS assay
    8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zaphilones from the Fungus Penicillium multicolor LZUC-S2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Shi-Jin Shen, Zi-Yun Feng, Song-Jie Jiang, Li Liu, Shi-Jing Fu, Wan-Hong Chen, Qi-Yue Sun, Jian-Jun Chen] Chemistry & biodiversity 2023
    2 Antioxidant Role of Kaempferol in Prevent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Sharma, Nidhi;Biswas, Subhrajit;Al-Dayan, Noura;Alhegaili, Alaa Saud;Sarwat, Maryam; Antioxidants 2021
    3 De novo transcriptome analysis revealed genes involved in flavonoid biosynthesis, transport and regulation in <i>Ginkgo biloba</i> Wu, Yaqiong;Guo, Jing;Zhou, Qi;Xin, Yue;Wang, Guibin;Xu, Li-an;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018
    4 Selective oncolytic effect in Epstein-Barr virus (EBV)-associated gastric carcinoma through efficient lytic induction by <i>Euphorbia</i> extracts Kim, Dong-eun;Jung, Sunhee;Ryu, Hyung Won;Choi, Miri;Kang, Mingu;Kang, Hyunju;Yuk, Heung Joo;Jeong, Hyejeong;Baek, Jiyeon;Song, Jae-Hyoung;Kim, Janghwan;Kang, Hyojeung;Han, Sang-Bae;Oh, Sei-Ryang;Cho, Sungchan;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Nutraceuticals & Functional Foods 2018

    특허 (총 25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NOVEL PYRAZINYL-TRIAZOLE COMPOUNDS AS PESTICIDES BÄR, Robin Maximilian|CANCHO GRANDE, Yolanda|FÜSSLEIN, Martin|JESCHKE, Peter|SCHWARZ, Hans-Georg|TELSER, Joachim|WINTER, Philipp|EBBINGHAUS-KINTSCHER, Ulrich|LÖSEL, Peter|LINKA, Marc|DAMIJONAITIS, Arunas|TURBERG, Andreas|HEISLER, Iring 2022-08-19
    2 HETEROARYL-TRIAZOLE COMPOUNDS AS PESTICIDES ARLT, Alexander|CANCHO GRANDE, Yolanda|FÜSSLEIN, Martin|HAHN, Martin|JESCHKE, Peter|MÜLLER, Steffen|SCHWARZ, Hans-Georg|TELSER, Joachim|EBBINGHAUS-KINTSCHER, Ulrich|LINKA, Marc|LÖSEL, Peter|DAMIJONAITIS, Arunas Jonas|HEISLER, Iring|TURBERG, Andreas 2021-02-15
    3 NOVEL HETEROARYL-TRIAZOLE COMPOUNDS AS PESTICIDES Alexander ARLT|Yolanda CANCHO GRANDE|Peter JESCHKE|Martin FUESSLEIN|Steffen MUELLER|Hans-Georg SCHWARZ|Joachim TELSER|Ulrich EBBINGHAUS-KINTSCHER|Elke HELLWEGE|Peter LOESEL|Marc LINKA|Arunas Jonas DAMIJONAITIS|Iring HEISLER|Andreas TURBERG|Oleksandr MANDZHULO|Yuriy SHERMOLOVICH|Sergiy MYKHAYLYCHENKO 2020-11-24
    4 HETEROARYL-SUBSTITUTED PYRAZINE DERIVATIVES AS PESTICIDES Andreas TURBERG|Iring HEISLER|Joachim TELSER|Alexander ARLT|Peter JESCHKE|Hans-Georg SCHWARZ|Martin FUESSLEIN|Yolanda CANCHO-GRANDE|Peter LOESEL|Ulrich EBBINGHAUS-KINTSCHER|Bing Ashley Liang ODOWD|Arunas DAMIJONAITIS|Steffen MUELLER|Jiakang MA 2020-10-08
    5 5-AMINO-SUBSTITUTED PYRAZOLES AND TRIAZOLES AS PEST CONTROL AGENTS Markus HEIL|Robert VELTEN|Silvia CEREZO-GALVEZ|David WILCKE|Marc LINKA|Kerstin ILG|Elke HELLWEGE|Ulrich GÖRGENS|Peter LÖSEL|Philipp WINTER|Andreas TURBERG 2020-07-17
    6 METHYLATION PROCESS Guglielmo BUONAMICI 2020-01-21
    7 Substituted 2-(het)arylimidazolylcarboxyamides as pesticides Johannes-Rudolf Jansen|Markus Heil|Reiner Fischer|David Wilcke|Matthieu Willot|Kerstin Ilg|Sascha Eilmus|Peter Loesel|Wolfram Andersch 2019-10-22
    8 HETEROCYCLENE DERIVATIVES AS PEST CONTROL AGENTS Ruediger FISCHER|Matthieu WILLOT|Dominik HAGER|Laura HOFFMEISTER|Marc LINKA|Ulrich GOERGENS|Kerstin ILG 2019-09-11
    9 SUBSTITUTED 2-THIOIMIDAZOLYLCARBOXAMIDES AS PESTICIDES REINER FISCHER|MARKUS HEIL|JOHANNES-RUDOLF JANSEN|SUSANNE KUEBBELER|DAVID WILCKE|ADELINE KOEHLER|MATTHIEU WILLOT|SASCHA EILMUS|KERSTIN ILG|OLGA MALSAM|PETER LOESEL|DANIELA PORTZ|WOLFRAM ANDERSCH 2019-06-13
    10 2-(HET)ARYL-SUBSTITUTED CONDENSED BICYCLIC HETEROCYCLE DERIVATIVES AS PEST CONTROL AGENTS Ruediger FISCHER|Bernd ALIG|Kerstin ILG|Olga MALSAM|Ulrich GOERGENS|Andreas TURBERG|Jun LI|Sergey ZHERSH|Alexander ARLT 2019-04-16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성혜방》 대극독의 치료: 대두와 창포즙으로 해독한다.
    2 문헌 약용 다른 처방. 고독의 치료: 대극을 양에 상관없이 가루로 만들어 오동나무씨 크기의 면호원을 만들어 미음과 함께 먹는데, 설사 가 날 때까지 먹는다.
    3 문헌 약용 금해야 할 약물은 원청 반묘 수질 맹충 오두 부자 천웅 야갈 수은 파두 우슬 의이인 오공 삼릉 대자석 원화 사향 대극 사퇴 웅황 자황 망초 목단피 계피 괴화 견우자 조각자 반하 남성 통초 구맥 건강 뇨사 건칠 도인 모근 척촉 누고 우황 여로 금박 은박 호분 선퇴 용뇌 위피 귀전우 마도 저계 의어 신곡 규자 서각 대황 등이다.
    4 문헌 약용 문합(벌레와 흙을 버린다) 3냥, 산자고(껍질을 버리고 불에 말린다) 2냥, 대극(물에 씻어 불에 말린다) 1냥 반, 속수자(껍질과 기름을 제거한다) 1냥, 사향 3돈. 위의 약을 가루 내어 찹쌀죽에 넣고 고루 찧어 40알[錠]을 만들어 매번에 반 알씩 복용한다. 심하면 1알을 박하 끓인 물과 함께 먹는다. 뱀ㆍ개ㆍ여러 가지 독한 벌레에 상한 것은 술에 풀어서 복용하고, 또한 물에 갈아서 상처부위에 바른다. 석웅황 1냥, 주사 5돈을 더한 것을 옥추단이라 일컫는다. 다스리는 것은 위와 같다.
    5 문헌 기타 대극 원화 감수 해조는 모두 감초와 서로 반한다.
    6 문헌 기타 말의 중결 치료법[治馬中結方]곡물이나 풀이 대장 중간 부분에 쌓여 생긴 병이다. 말은 배가 팽창되어 통증이 일어나면, 엎드렸다 누웠다 하며 가슴을 발로 차며 계속 일어났다 누웠다[起臥] 하고 코로 거칠게 숨을 쉰다. 말을 묶어 넘어뜨리고 우선 따뜻한 기름과 물 3되를 항문[穀道] 속에 부어 넣은 후에, 손이 작은 사람이 다시 기름을 팔뚝 위아래에 바르고 서서히 손을 대장 속에 집어넣어 가볍게 찾아본다. 만일 미끄럽고 단단하며 마치 공 같은 것이 손에 만져진다면 이것이 뭉친 똥[結糞]이다. 그 것을 손으로 쥐어 깨뜨리면 즉시 그 효험을 보게 된다. 만일 사람의 손이 짧아 꺼내기 어려우면 마가환(馬價丸)을 가져다 먹인다. 오령지[五靈脂: 산박쥐똥]․나팔꽃[牽牛]․감수(甘遂)․대극(大戟)․속수자․대황․활석․향부자(香附子)․패랭이꽃[瞿麥]․목통각 2냥을 가루로 만들고 식초와 풀을 섞어 탄알 만하게 환을 빚는다. 매번 약 1알을 잘게 부수어 따뜻한 술과 약 1알에 생기름 4냥을 섞어 먹인다. 조리시키는 방법은 위와 같다.
    7 문헌 약용-초부하품-상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차고(몹시 차다고도 한다) 독이 좀 있다. 고독과 12가지 수종, 배가 그득하면서 갑자기 아픈 것, 적취, 중풍, 피부가 아픈 것, 토하고 구역하는 것, 목이나 겨드랑이에 생긴 옹종, 두통 등을 치료하고 땀이 나게 하며 대소변을 잘 누게 한다. 일명 공거라고도 한다. 낮은 산에서 자라며 음력 12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석창포, 노초, 서시와는 상외약이다. (당본주) 음력 5월에 싹을 뜯고 2월과 8월에 뿌리를 캔다. (촉본도경)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쓰고 매우며 독이 심하다. 갓 생겼거나 오래된 궂은피와 벽괴를 헤치고 배가 끓는 것을 멈추며 월경을 잘하게 한다. 또 어혈도 헤치고 유산시키게도 한다. (약성론) 팥을 사약으로 쓰며 마와는 상오약이다. 대극은 설사시켜 약독을 푼다. 유행성 황달과 온학도 치료하고 징결을 헤친다. (일화자) 대극은 택칠의 뿌리인데 봄에 붉은 싹이 돋아 1자쯤 자란다. 자라면서 송이를 이룬다. 갓 돋은 잎은 유엽처럼 작고 길둥글다. 음력 3∼4월에 황자색의 살구꽃처럼 둥근 꽃이 피는데 참느릅꽃 비슷하다. 뿌리는 가는 고삼근같고 껍질은 검누르며 속살은 희누르다. 가을이나 겨울에 캐어 그늘에서 말린다. 회전 지방에서 나는 것은 줄기가 둥글고 키는 3∼4자이며 꽃은 누르고 잎은 나리싹같다. 강남 지방에서 나는 것은 잎이 작약 비슷하다. 두드러기, 풍독, 다리에 생긴 종처 등의 치료에 쓰는데 물에 달여 하루 2∼3번 더운 것으로 씻으면 곧 낫는다. (도경)
  • 표본 (총34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909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남도 고흥... 좌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910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남도 고흥... 좌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911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남도 고흥... 좌도 / 2008-06-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302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충청남도 보령... / 1999-06-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1304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10-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1680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인천광역시 강... / 2005-07-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6513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남도 곡성... 고리봉 / 2007-05-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1447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경상북도 칠곡... 유학산 / 2001-06-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1450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강원도 고성군... / 2002-03-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1453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 2002-07-1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5849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전라남도 여수... 금오도 / 2010-05-17 조직 1건
    NIBRGR0000103243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강원도 영월군... 산/강 / 2010-06-02 조직 1건
    NIBRGR0000103520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강원도 영월군... / 2010-09-24 조직 1건
    NIBRGR0000107078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부산광역시 금... 금정산 / 2011-05-15 조직 1건
    NIBRGR0000115170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경상남도 거제... / 2011-06-08 조직 1건
    NIBRGR0000115451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경상남도 거제... / 2011-06-08 DNA 1건
    NIBRGR0000117813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충청남도 태안... 먼동 해수 / 2011-06-30 조직 1건
    NIBRGR0000135641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충청남도 서산... / 2012-05-26 종자 1건
    NIBRGR0000147061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강원도 영월군... / 2013-05-24 조직 1건
    NIBRGR0000150194 Euphorbia pekinensis Boiss. / 대극 충청남도 서산... / 2013-07-12 종자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Euphorbia pekinensis Boiss. 대극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uphorbia pekinensis Boiss. 대극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