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무환자나무 Sapindus mukorossi Gaertn.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Sapindales (무환자나무목) > Sapindaceae (무환자나무과) > Sapindus (무환자나무속) > mukorossi (무환자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Sapindus abruptus Lour.
[학명이명]
Sapindus axuminata Wall. ex Royle
Sapindus detergens Roxb.

사찰이나 마을 주변에 식재하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까지 자란다. 가지는 털이 없고 녹색을 띤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 9~13장으로 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상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7~14cm, 폭 3.0~4.5cm, 끝은 길게 뾰족해지고, 밑은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지름 4~5mm, 붉은색을 띤 갈색이며, 가지 끝에서 길이 20~30cm의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잎난형으로 길이 2mm쯤이다. 꽃잎은 5장, 피침형으로 길이 2.5mm쯤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열매는 노란색을 띤 갈색, 둥글며 지름 2.0~2.5cm, 털이 없고, 9~10월에 익는다.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라도, 경상도 이남 및 제주도에서 식재하며, 인도,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모감주나무에 비해 작은잎이 어긋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어 구분된다. 목재는 기구재, 열매의 껍질을 끓인 물은 세제로 사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제주 [2]

    분포: 대만, 인도, 일본, 중국; 열대 및 아열대 지역 [2]

    인도, 일본, 중국, 대만 [3]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3]

  • 개화기: 5-6월 [2]

    낙엽 큰키나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6),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223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6H74O16 . 883.081
    2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6O17 1033414-95-7 925.118
    3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3H74O13 857859-23-5 799.050
    4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6O17 1033414-93-5 925.118
    5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6H74O16 84607-60-3 883.081
    6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6H74O16 . 883.081
    7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6O17 87733-78-6 925.118
    8
    간 장애 치료 C42H72O14 857859-21-3 801.022
    9
    간 장애 치료 C46H74O16 . 883.081
    10
    간 장애 치료 C43H74O14 857859-22-4 815.049

    효능실험정보 (총 13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면역증진 MTT assay MTT assay
    4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5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6 항균 Disc difussion assay
    7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8 항산화 ABTs assay ABTS assay
    9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10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논문 (총 4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fficacy of Adjunctive Fotoenticine Photodynamic Therapy and <i>Sapindus mukorossi</i> Therapy on Clinical, Radiographic, and Cytokine Profile of Diabetics with Peri-Implantitis. [Mohammed N Alasqah] Photobiomodulation, photomedicine, and laser surgery 2024
    2 Physiology and transcriptome of Sapindus mukorossi seeds at different germination stages. [Jia Liu, Sumei Qiu, Tingting Xue, Yingdan Yuan] Genomics 2024
    3 Porous superabsorbent composites prepared from aqueous foam template and application evaluation. [Yan Liu, Fangzhi Duan, Yongfeng Zhu, Xicun Wang, Li Zong, Aiqin Wang] Soft matter 2024
    4 Sapindus mukorossi modified palygorskite particles for stabilizing Pickering emulsions and enhancing antibacterial activities Hui Aiping;Duan Fangzhi;Zhu Yongfeng;Yang Hao;Wang Aiqin;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Communications 2023
    5 Identification of Small-Molecule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Vaccinium bracteatum Confirms It as a Potential Functional Food with Health Benefits Wang, Yin-Yin;Zhang, Jun-Sheng;Wang, Xin-Xin;Tian, Lin-Lin;Li, Yu-Peng;Wang, Chao;Ma, Ren-Fen;Yin, Yi-Ke;Bao, Jie;Zhang, Hua; Foods 2023
    6 <i>Bletilla striata</i> Polysaccharide Nanoparticles Improved the Therapeutic Efficacy of Omeprazole on the Rat Gastric Ulcer Induced by Ethanol. [Lisu Li, Jincheng Jing, Shanshan Yang, Shumei Fang, Wenting Liu, Cong Wang, Ruixi Li, Ting Liu, Lin Zheng, Chang Yang] Molecular pharmaceutics 2023
    7 Green removal of unpleasant volatiles from soapberry (<i>Sapindus mukorossi</i>) extracts by two-phase microbial fermentation fortified with pomelo peel waste. [Quoc-Duy Nguyen, Quoc-Duy La, Nhu-Ngoc Nguyen, Thi-Ngoc-Lan Nguyen] RSC advances 2023
    8 Rumex japonicus Houtt. Extract Suppresses Colitis-Associated Colorectal Cancer by Regulating Inflammation and Tight-Junction Integrity in Mice Kim, Hee-Young;Seo, Ji Eun;Lee, Hanul;Bae, Chang-Hwan;Ha, Ki-Tae;Kim, Seungtae; Frontiers in pharmacology 2022
    9 Ameliorative impact of herbal formulation -Majoon-Dabeed-ul-ward and Sharbat-e-Deenar against CCl4 induced liver toxicity via regulation of antioxidant enzymes and oxidative stress Shakya, Arvind Kumar;Sharma, Neetu;Bhadauria, Monika;Nirala, Satendra Kumar;Shrivastava, Sadhana;Shukla, Sangeeta; Toxicology research 2022
    10 고란초 생물 전환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이경미;최병민;박태진;홍혜현;김승영;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22

    특허 (총 17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LAUNDRY COMPOSITION RAJANARAYANA, Venkataraghavan|RAMESH, Apeksha 2022-10-07
    2 FOOD PREPARATION MADE WITH PLANT EXTRACTS ROMANÒ, Ingeborg|ROMANÒ, Carlo Luca 2022-06-17
    3 Disinfecting Composition and Related Methods Arash Mirzaei 2021-11-04
    4 ORGANIC WATER-BASED RELEASE COATING Roja Ergun|Gina Carretta 2021-05-26
    5 BIODEGRADABLE ADHESIVE COMPOSITION FLYNN, Joanna|HAWKINS, Geoffrey, Robert, Victor 2021-05-17
    6 CLEANSING COMPOSITION EARLY, James, Andrew|PEREIRA, Daniel, Filipe 2021-03-22
    7 HAIR CARE COMPOSITION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PANDEY, Shruti|MAJUMDER, Suman|AGRAWAL, Tanu 2021-01-29
    8 ANTIDANDRUFF COMPOSITION Joshua Ryan Carew|Adam James Simkins|Amy Elizabeth Vanvelsor 2020-06-24
    9 COMPOSITIONS COMPRISING BIOLOGICALLY ACTIVE AGENTS AND BILE SALTS John Docherty|Christopher Andrew Bunka 2020-05-19
    10 NANOEMULSION COMPOSITIONS COMPRISING B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John Docherty|Christopher Andrew Bunka 2020-05-19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5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문화용 세초: 백랍 24편, 새 표고버섯 1말 2되, 궤자의 장포, 원포 각각 32오리, 노루가죽 11령, 치자 160근, 이른 미역 132접, 진피 48근, 청피 30근, 귤씨 7냥, 귤잎 6근, 기각 22근, 향부자 78근, 무환자 8냥, 석곡 11냥, 기실[탱자씨] 6근, 연근 1근 4냥, 연실 4냥, 후박 32근, 목환자(목환자는 4년에 한번씩 진상한다.) 4402개를 진상한다.
    2 문헌 문화용 세초: 백랍 24편, 새 표고버섯 1말 2되, 궤자의 장포, 원포 각각 32오리, 노루가죽 11령, 치자 160근, 이른 미역 132접, 진피 48근, 청피 30근, 귤씨 7냥, 귤잎 6근, 기각 22근, 향부자 78근, 무환자 8냥, 석곡 11냥, 기실[탱자씨] 6근, 연근 1근 4냥, 연실 4냥, 후박 32근, 목환자(목환자는 4년에 한번씩 진상한다.) 4400개를 진상한다.
    3 문헌 문화용 먹 잘 보관하기[墨妙收藏] - 동파(東波)의 시에서, 먹은 족히 30년을 지탱할 만하다고 하였는데, 먹이 오래 가는 것은 비록 제조를 잘하는데 달려있기도 하지만 역시 저장하는 방법이 올바르게 되어야 하는 것이기도 하다. 먹을 잘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표범가죽 주머니에 넣어두되 습기를 멀리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고, 둘째는 숙애(熟文: 오래 묵은 쑥)에 섞어서 간수하되 매월(梅月 : 음력 4월)을 만났을 때는 석회(石灰) 속에 저장하는 것이다. 먹을 갈 때 비조(肥후: 무환자나무 열매 육질)에 담갔던 물로 갈면 유지(油紙) 위에다가도 글씨를 쓸 수 있다.
    4 문헌 약용-목부하품 독이 약간 있다. 때와 얼굴에 난 기미를 없앤다. 후비때 갈아서 목안에 바르면 곧 열린다. 비시도 치료하는데 열매속의 씨를 태우면 향기로 해서 나쁜 기운을 없앤다. 씨는 칠주와 비슷하다. 산에서 자란다. 큰 나무를 일명 금루환이라고도 한다. 무환자나무껍질은 성질이 평하다. (일화자) 무환자나무껍질의 잎은 유엽같고 속씨가 검고 딴딴하다. 끈을 만드는 데 쓰며 나쁜 기운을 막고 때를 없애는 데도 쓴다. (박물지) 무환자나무를 금루라고도 하는데 열매는 때를 잘 없앤다. 지금은 중들이 열매를 꿰서 염주를 만든다고 한다. (찬문)
    5 구전 약용 무환자나무 열매를 벗겨서 빨래를 함 무환자나물 열매는 목걸이를 만들어 하고 다님
  • 표본 (총2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96874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전라남도 완도... 소안도 / 2008-06-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34569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충청남도 태안... / 2009-09-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46521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09-10-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87235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화학산 / 2002-08-02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87236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화학산 / 2002-05-05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87237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화학산 / 2002-08-02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87238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영취산 / 2003-05-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87241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05-05-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13027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2-12-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13028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2-12-1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30533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2-12-14 종자 2건
    NIBRGR0000130534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2-12-14 종자 1건
    NIBRGR0000188299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화순 곶자 / 2015-09-29 종자 4건
    NIBRGR0000387848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곶자왈 / 2016-10-03 종자 1건
    NIBRGR0000427436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6-25 조직 1건
    NIBRGR0000427553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6-2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7554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6-2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27555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6-2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430693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8-21 조직 1건
    NIBRGR0000432023 Sapindus mukorossi Gaertn. / 무환자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18-08-21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Sapindus mukorossi Gaertn. 무환자나무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Sapindus mukorossi Gaertn. 무환자나무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Sapindus mukorossi Gaertn. 무환자나무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