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Thunb.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Thunb.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Lamiales (꿀풀목) > Verbenaceae (마편초과) > Callicarpa (작살나무속) > japonica (작살나무)
이명정보
[원기재명]
Callicarpa japonica var. glabra C. P’ei (민작살나무)
[학명이명]
Callicarpa japonica f. leucocarpa (흰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var. angustifolia Sav.
Callicarpa japonica f. latifolia Miq.
Callicarpa japonica f. parvifolia Miq.
Callicarpa japonica f. rugosior Miq.
Callicarpa longifolia var. subglabra Schauer
Callicarpa japonica f. taquetii (H.Lév.) Ohwi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주변, 길가 등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2~3m이다. 어린가지는 둥글고, 별 모양 털이 있으나 자라면서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긴 타원형, 길이 5~15cm, 폭 2~6cm,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0.2~1.0cm다. 꽃은 6~8월에 피는데 잎겨드랑이취산꽃차례에 많이 달리며, 연한 자주색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 끝이 4갈래로 얕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꽃부리는 끝이 4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핵과이며, 둥글고, 지름 3mm쯤, 자주색으로 익는다. 씨는 4개씩 들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중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제주도와 남부지방의 섬에서 자라는 송금나무는 작살나무보다 잎이 작은 특징으로 구분되고, 울릉도를 비롯해 해안가에서 자라는 왕작살나무는 겹취산꽃차례를 갖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한편, 중부 이남에 분포하는 좀작살나무는 잎 아래쪽에는 톱니가 없으며, 꽃차례잎겨드랑이에서 1~4mm 위쪽에 나므로 다르다. 관상용, 생울타리용으로 심는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중부) [2]

    전국 [2]

  • 꽃은 6~8월에 핀다. 낙엽활엽수와 침엽수가 혼재해 있는 혼합림의 수림이 비어있는 곳, 길가 등에 개척자 종으로 들어가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곳뿐만 아니라 반그늘, 그늘에서도 자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7),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