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목형 bookmark_add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관상용 및 약용으로 심어 기르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다. 줄기는 높이 2.5~3.0m, 여러 개가 모여난다. 잎은 마주나며, 3~5개의 작은잎으로 된 손바닥모양겹잎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 뒷면에 짧고 거센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보라색으로 피며, 가지 끝에 여러 개가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다. 꽃부리는 콩팥 모양으로 꽃받침의 2배 정도로 길다. 열매는 핵과, 둥글며 9~10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재배한다. 네팔,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순비기나무에 비해 3~5개의 작은잎으로 되어 있으며,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으므로, 좀목형은 작은잎이 피침형으로 좁으므로 구분된다. 열매와 뿌리는 약용한다. 목향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네팔,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2]

    남부지방(재배) [2]

  • 낙엽 떨기나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ytotoxic, clonal fidelity, and antioxidant evaluation of in vitro propagated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Meng, Xue;Mu, Fangfang;Zhang, Zeyu;Wu, Xinru;Gao, Tiantian;Zhao, Fenglan;Xue, Jianping;Duan, Yongbo;Zhang, Haijun;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2021 조회
    Anti-inflammatory ursane- and oleanane-type triterpenoids from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Man-Man Li,Xiao-Qin Su,Jing Sun,Yu-Fan Gu,Zheng Huang,Ke-Wu Zeng,Qian Zhang,Yun-Fang Zhao,Daneel Ferreira,Jordan K Zjawiony,Jun Li,Peng-Fei Tu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14 조회
    Antiseptic activity and phenolic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Tie-Jun Ling,Wei-Wei Ling,Yuan-Jun Chen,Xiao-Chun Wan,Tao Xia,Xian-Feng Du,Zheng-Zhu Zhang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10 조회
    [GC-MS analysis of essential oils from four Vitex species]. J G Pan,Z L Xu,J F Fan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1989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3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뼈에 한사나 열사가 있는 것을 없애며 위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며 기를 내린다. 산골이나 높은 언덕, 또는 들판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창출, 백자인, 청상자와 섞어 쓰면 두풍증이 낫는다. 방기를 사약으로 쓰며 석고와는 상오약이다. 속에서 번열이 나는 것, 두풍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한 것, 가슴이 할래발딱거리면서 토할 듯한 것, 갑자기 목이 쉰 것, 소아의 심열, 경간 등을 치료하는데 일엽추를 잘라 불에 태울 때 흐르는 진을 받아서 마신다. 또한 소갈도 멈추고 가래도 삭이며 잠이 오지 않게도 한다. (진장기본초) 채찍으로 쓰는데 민간에서는 황형이라고 한다. 가지와 줄기는 굳다. 한 곳에 모도록하게 나며 덩굴이 뻗지 않기 때문에 모형이라고 했다. 잎은 피마자잎 같지만 드물고 길쭉하며 붉은 이삭꽃이 핀다. 열매는 작고 누른 것이 마인만하다. 일명 소형이라고도 한다. 푸르고 붉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푸른 것이 좋다. 도은거의 등진음결에는 형목의 꽃과 잎은 정신을 맑게 하고 헛것이 보이게 한다고 하였고 주해에는 일엽추의 종류에 3가지가 있다고 하였으며 직에는 지금 채찍을 만들어 쓰는 것이 형목이라고 하였다. 잎은 향기롭고 또 꽃과 씨가 있는데 씨는 약으로 쓰지 않았다. 방술에도 모형을 썼다. 북쪽지방 사람들은 일엽추씨를 약으로 쓰는 것을 알지 못한다. 육갑음부설에서는 양로, 공소라고 하였다. 겉은 희고 속이 비었으며 가지를 잘라 심어도 살아난다. 지금은 양로를 잘라 심기도 한다. 꽃과 열매가 조금 작으며 약으로 쓰지 않는다. 천감 3년에 신선음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고 일엽추에 대해 썼는데 거기에는 일엽추의 꽃은 희고 씨는 굵고 많으며 줄기는 드물게 돋아나서 2∼3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흔히 둥글지 않고 납작한 것이 마치 죽엽마디같기도 하다. 잎은 다른 형목과 같다. 벌이 흔히 일엽추를 따른다. 일엽추즙은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다른 형목들은 태우면 연기가 독하나 일엽추는 무르고 걸쭉한 즙이 있으므로 불이 잘 붙지 않는다. 일엽추는 심풍에 제일 좋다. 없으면 잎도 쓸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뼈에 한사나 열사가 있는 것을 없애며 위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며 기를 내린다. 산골이나 높은 언덕, 또는 들판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창출, 백자인, 청상자와 섞어 쓰면 두풍증이 낫는다. 방기를 사약으로 쓰며 석고와는 상오약이다. 속에서 번열이 나는 것, 두풍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한 것, 가슴이 할래발딱거리면서 토할 듯한 것, 갑자기 목이 쉰 것, 소아의 심열, 경간 등을 치료하는데 일엽추를 잘라 불에 태울 때 흐르는 진을 받아서 마신다. 또한 소갈도 멈추고 가래도 삭이며 잠이 오지 않게도 한다. (진장기본초) 채찍으로 쓰는데 민간에서는 황형이라고 한다. 가지와 줄기는 굳다. 한 곳에 모도록하게 나며 덩굴이 뻗지 않기 때문에 모형이라고 했다. 잎은 피마자잎 같지만 드물고 길쭉하며 붉은 이삭꽃이 핀다. 열매는 작고 누른 것이 마인만하다. 일명 소형이라고도 한다. 푸르고 붉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푸른 것이 좋다. 도은거의 등진음결에는 형목의 꽃과 잎은 정신을 맑게 하고 헛것이 보이게 한다고 하였고 주해에는 일엽추의 종류에 3가지가 있다고 하였으며 직에는 지금 채찍을 만들어 쓰는 것이 형목이라고 하였다. 잎은 향기롭고 또 꽃과 씨가 있는데 씨는 약으로 쓰지 않았다. 방술에도 모형을 썼다. 북쪽지방 사람들은 일엽추씨를 약으로 쓰는 것을 알지 못한다. 육갑음부설에서는 양로, 공소라고 하였다. 겉은 희고 속이 비었으며 가지를 잘라 심어도 살아난다. 지금은 양로를 잘라 심기도 한다. 꽃과 열매가 조금 작으며 약으로 쓰지 않는다. 천감 3년에 신선음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고 일엽추에 대해 썼는데 거기에는 일엽추의 꽃은 희고 씨는 굵고 많으며 줄기는 드물게 돋아나서 2∼3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흔히 둥글지 않고 납작한 것이 마치 죽엽마디같기도 하다. 잎은 다른 형목과 같다. 벌이 흔히 일엽추를 따른다. 일엽추즙은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다른 형목들은 태우면 연기가 독하나 일엽추는 무르고 걸쭉한 즙이 있으므로 불이 잘 붙지 않는다. 일엽추는 심풍에 제일 좋다. 없으면 잎도 쓸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소문사설 금을 무르게 하는 법 선경(仙經: 도교의 경전)에서 식초, 꿀 및 돼지기름, 모형주(牡荊酒)로 불리면 아주 물러진다고 하였다. 그 방법은 돼지의 부혁방(負革肪: 목 아래 기름)등에서 제거한 기름과 고주(苦酒: 식초의 옛 이름)로 불린다. 백여 차례 불리면 물러진다. 또는 가죽나무껍질[樗皮]로 무르게 하거나 모형주(牡荊酒)나 자석(磁石)으로 무르게 하면 물이 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소문사설 취어초(醉魚草)는 대부분 도랑이나 □가에서 자란다. 작은 그루가 높이 3~4자로 뿌리는 구기나무[枸杞]와 같고 줄기는 광대싸리[黃荊] 모양이며 약간 모서리가 있고 바깥에는 얇은 누런 껍질이 있다. 가지는 무성하고 잎은 수양(水楊)과 비슷하며 대절(對節)로 자란다. 겨울이 지나 시들지 않으며 7~8월에 꽃이 피고 홍자색의 이삭이 달린다. 모양이 완화(莞花)와 같다. 작은 씨를 맺는다. 어부들은 꽃과 잎을 따다가 물고기를 중독 시켜 다 잡지만 잡으면 죽는다. 완화도 망초와 함께 그렇게 쓴다. 또 쥐를 중독 시켜 껍질을 얻는데도 그렇게 한다.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섭생_신침법 5월 5일, 7월 1일에 산중의 잣나무를 베어다 목침(木枕)을 만들되, 길이는 1척 2촌, 높이는 4촌으로 하며, 그 속에는 1말 2되가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잣나무의 붉은 속심으로 뚜껑을 만들되, 두께는 2푼으로 한다. 이는 대개 긴밀(緊密)하게 둘 수 있고 또는 열어서 쓸 수 있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에다 세 줄로 한 줄에 40개의 구멍을 뚫어 모두 1백 20개가 되게 하며, 좁쌀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 그리고는 궁궁(芎藭)ㆍ당귀(當歸)ㆍ백지(白芷)ㆍ신이(辛夷)ㆍ두충(杜沖)ㆍ백출(白朮)ㆍ고본(藁本)ㆍ목란(木蘭)ㆍ촉초(蜀椒)ㆍ관계(官桂)ㆍ건강(乾薑)ㆍ방풍(防風)ㆍ인삼ㆍ길경(桔莄)ㆍ백미(白薇)ㆍ형실(荊實)ㆍ비렴(飛廉)ㆍ백실(柏實)ㆍ백복령(白茯苓)ㆍ진초(秦椒)ㆍ미무(蘼蕪)ㆍ육종용(肉蓯蓉)ㆍ의이인(薏苡仁)ㆍ관동화(款冬花) 등 24가지를 사용하여 24절기에 응하게 하고, 거기에다 오두(烏頭)ㆍ부자(附子)ㆍ여로(藜蘆)ㆍ조협(皂莢)ㆍ감초ㆍ반석(礬石)ㆍ반하(半夏)ㆍ세신(細辛) 등 여덟 가지를 더하여 8방(方)의 바람에 응하게 한다. 이상의 32가지를 각각 한 냥씩을 잘게 썰어서 여덟 가지 약은 밑에 놓고 나머지 약은 위에 놓이도록 목침 속에 가득 채우고 베로 주머니를 만들어 목침에 입히고, 다시 가죽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이중으로 싸 두었다가 잠자리에 들 때는 가죽주머니는 벗겨 버린다. 이는 대개 약 기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를 1백 일을 베고 자면 얼굴에 광택이 나고, 1년이 되면 모든 병이 다 낫고 온몸에는 향기가 가득하며, 4년이 되면 흰 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졌던 이가 다시 나며, 이목(耳目)이 총명해진다. 약용 비공개
    산림경제 선택_잡방_배게와 요를 만든는 법 신침(神枕)을 만드는 방법은,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1척 2촌의 길이와 4촌의 높이로 잘라 1말 2되의 곡식이 들어갈 수 있도록 그 속을 파내고서 잣나무의 붉은 속으로 덮개를 만들되 2푼을 두께로 한다. 그리하여 덮개를 빽빽하게 맞추되 또한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다.그리고 덮개 위를 세 줄로 뚫되, 한 줄에 40구멍씩 무릇 1백 20구멍을 좁쌀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뚫는다. 그 다음 궁궁(芎藭)ㆍ당귀(當歸)ㆍ백지(白芷)ㆍ신리(辛夷)ㆍ두형(杜蘅)ㆍ백출(白朮)ㆍ고본(藁本)ㆍ목란(木蘭)ㆍ촉초(蜀椒)ㆍ관계(官桂)ㆍ건간(乾干)ㆍ방풍(防風)ㆍ인삼(人蔘)ㆍ길경(桔梗)ㆍ백미(白薇)ㆍ형실(荊實)ㆍ비렴(飛廉)ㆍ백실(柏實)ㆍ백술(白術)ㆍ진초(秦椒)ㆍ미무(糜蕪)ㆍ육종용(肉蓯蓉)ㆍ의이인(薏苡仁)ㆍ관동화(款冬花) 등 무릇 24가지의 약물을 사용하여 24기(氣)를 응하고, 오두(烏頭)ㆍ부자(附子)ㆍ여로(藜蘆)ㆍ조협(皁莢)ㆍ감초(甘草)ㆍ반석(礬石)ㆍ반하(半夏)ㆍ세신(細辛) 무릇 8가지 약물을 더하여 팔풍(八風)에 응한다. 이상의 32가지의 약물을 각각 1냥씩 하여 모두 썰어서 24가지를 먼저 넣고, 다음 8가지를 위에 덮어 베개 속을 가득히 채운다. 그리고 포낭(布囊 베로 만든 주머니)으로 베개에 입히고 다시 가죽 주머니를 만들어 거듭 씌워 놓았다가 누울 때에 임하여 벗겨내고 베는데, 그것은 대개 약기운이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려는 것이다.그 베개를 1백 일 동안 베고 나면 얼굴에는 광택(光澤)이 있게 되고, 1년을 베고 나면 모든 병이 다 낫는가 하면 온몸에서 향기가 난다. 4년을 베면 흰 머리가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며 눈귀가 밝아진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의림촬요 반신불수(半身不遂)는 대체로 담(痰)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반신불수가 왼쪽에 있는 것은 사혈(死血 어혈(瘀血))과 혈(血)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사물탕(四物湯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천궁(川芎), 당귀(當歸)로 만든 탕제)에 도인(桃仁)ㆍ홍화(紅花)ㆍ죽력(竹瀝)ㆍ생강즙〔薑汁〕을 첨가한다. 반신불수가 오른쪽에 있으면 담(痰)과 기허(氣虛 기가 허한 상태)에 해당하므로 이진탕(二陳湯)에 사군자탕(四君子湯)을 넣고 죽력(竹瀝)ㆍ생강즙〔薑汁〕을 첨가한다. 뚱뚱한 사람은 몸에 습기〔濕〕가 많으므로 부자(附子)를 약간 첨가하여 경락을 운행시킨다. 식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죽력(竹瀝)을 빼고 형력(荊瀝)으로 대신한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위장에 화사(火邪)가 있고 횡격막 위에 담음(痰飮)이 있어서 뱃속이 아프고 메스꺼우며 멀건 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피(陳皮) - 흰 속을 제거한 것 - ㆍ복령(茯苓)ㆍ치자(梔子) - 볶은 것 - ㆍ천궁(川芎)ㆍ백출(白朮)ㆍ창출(蒼朮)ㆍ향부자(香附子) - 각 1돈 -, 황련(黃連) -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것 - ㆍ모형자(牡荊子) - 볶아서 따로 간 것 - ㆍ반하(半夏) - 각 1돈 반 -, 건강(乾薑) - 볶은 것, 5푼 -, 감초(甘草) - 구운 것, 3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만들어 생강〔薑〕 3쪽과 함께 물 2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 조금 뜨겁게 해서 먹는다. ○허증(虛證)이 있으면 인삼(人蔘) 1돈을 더하여 쓴다. 뱃속이 아픈 데는 생강즙 1홉을 넣어 쓴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죽력(竹瀝) 담음(痰飮)이 위로 거슬러 올라서 정신을 잃어버려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열담(熱痰)을 잘 치료하고 혈(血)을 보태주고 가래를 삭여서 정신을 잃고 쓰러졌던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힘이 있다. 기운이 허약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경우는 죽력(竹瀝)을 더하여 쓰고, 기운이 튼실하여 음식을 잘 먹는 경우는 형력(荊瀝)을 더하여 쓴다. 약용 비공개
    고사신서 신침(神枕)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에서 잣나무를 취해 목침을 만든다. 길이는 1자 2치, 높이는 4치, 빈 공간은 1말 2되를 집어넣을 수 있다. 속이 붉은 잣나무로 덮게를 만드는데 두께는 2푼으로 한다. 덮개 위로 구멍을 3줄로 뚫는데, 줄마다 40개의 구멍을 꿇는다. 모두 120개의 구멍이다. 좁쌀과 쌀을 집어넣는다. 대개 약초(藥草)를 사용하는데 궁궁(芎藭), 당귀(當歸), 백지(白芷), 신이(辛夷), 두형(杜蘅, 족두리풀), 백출(白朮), 고본(藁本), 목란(木蘭), 천초(蜀椒), 계피(桂皮), 건강(乾薑), 방풍(防風), 인삼(人蔘), 길경(桔梗), 백복령(白茯苓), 형실(荊實), 육종용(肉蓯蓉), 비렴(飛廉), 백실(柏實), 의이인(薏苡仁), 관동화(款冬花), 백미(白薇), 진초(秦椒), 미무(糜蕪), 오두(烏頭), 부자(附子), 여로(藜蘆), 조협(皁莢), 망초(芒草), 반석(礬石), 반하(半夏), 세신(細辛) 등으로 8풍(八風)과 응한다. 모두 32가지 약재는 각각 1냥 씩이다. 모두 썰어서 독약을 위로 놓고 베개 속에 그것을 채우는데, 베주머니를 사용하여 천으로 덮고 다시 가죽주머니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싼다. 누울 때에는 주머니를 쓴다. 대개 약기운이 바깥으로 새는 것을 막는다. 베개를 벤지 100일이면 얼굴에 광택이 있고, 1년이면 몸 속의 병이 모두 낫는다. 몸에 진향 향기가 가득 차고 4년이면 백발이 모두 흑색이 된다. 빠진 이가 새로 생겨나고 눈과 귀가 총명해진다.신통한 방법과 비방은 그사람이 아니면 전하지 못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ytotoxic, clonal fidelity, and antioxidant evaluation of in vitro propagated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Meng, Xue;Mu, Fangfang;Zhang, Zeyu;Wu, Xinru;Gao, Tiantian;Zhao, Fenglan;Xue, Jianping;Duan, Yongbo;Zhang, Haijun;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2021 조회
    Anti-inflammatory ursane- and oleanane-type triterpenoids from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Man-Man Li,Xiao-Qin Su,Jing Sun,Yu-Fan Gu,Zheng Huang,Ke-Wu Zeng,Qian Zhang,Yun-Fang Zhao,Daneel Ferreira,Jordan K Zjawiony,Jun Li,Peng-Fei Tu Journal of natural products 2014 조회
    Antiseptic activity and phenolic constituents of the aerial parts of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Tie-Jun Ling,Wei-Wei Ling,Yuan-Jun Chen,Xiao-Chun Wan,Tao Xia,Xian-Feng Du,Zheng-Zhu Zhang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10 조회
    [GC-MS analysis of essential oils from four Vitex species]. J G Pan,Z L Xu,J F Fan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1989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3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뼈에 한사나 열사가 있는 것을 없애며 위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며 기를 내린다. 산골이나 높은 언덕, 또는 들판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창출, 백자인, 청상자와 섞어 쓰면 두풍증이 낫는다. 방기를 사약으로 쓰며 석고와는 상오약이다. 속에서 번열이 나는 것, 두풍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한 것, 가슴이 할래발딱거리면서 토할 듯한 것, 갑자기 목이 쉰 것, 소아의 심열, 경간 등을 치료하는데 일엽추를 잘라 불에 태울 때 흐르는 진을 받아서 마신다. 또한 소갈도 멈추고 가래도 삭이며 잠이 오지 않게도 한다. (진장기본초) 채찍으로 쓰는데 민간에서는 황형이라고 한다. 가지와 줄기는 굳다. 한 곳에 모도록하게 나며 덩굴이 뻗지 않기 때문에 모형이라고 했다. 잎은 피마자잎 같지만 드물고 길쭉하며 붉은 이삭꽃이 핀다. 열매는 작고 누른 것이 마인만하다. 일명 소형이라고도 한다. 푸르고 붉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푸른 것이 좋다. 도은거의 등진음결에는 형목의 꽃과 잎은 정신을 맑게 하고 헛것이 보이게 한다고 하였고 주해에는 일엽추의 종류에 3가지가 있다고 하였으며 직에는 지금 채찍을 만들어 쓰는 것이 형목이라고 하였다. 잎은 향기롭고 또 꽃과 씨가 있는데 씨는 약으로 쓰지 않았다. 방술에도 모형을 썼다. 북쪽지방 사람들은 일엽추씨를 약으로 쓰는 것을 알지 못한다. 육갑음부설에서는 양로, 공소라고 하였다. 겉은 희고 속이 비었으며 가지를 잘라 심어도 살아난다. 지금은 양로를 잘라 심기도 한다. 꽃과 열매가 조금 작으며 약으로 쓰지 않는다. 천감 3년에 신선음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고 일엽추에 대해 썼는데 거기에는 일엽추의 꽃은 희고 씨는 굵고 많으며 줄기는 드물게 돋아나서 2∼3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흔히 둥글지 않고 납작한 것이 마치 죽엽마디같기도 하다. 잎은 다른 형목과 같다. 벌이 흔히 일엽추를 따른다. 일엽추즙은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다른 형목들은 태우면 연기가 독하나 일엽추는 무르고 걸쭉한 즙이 있으므로 불이 잘 붙지 않는다. 일엽추는 심풍에 제일 좋다. 없으면 잎도 쓸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뼈에 한사나 열사가 있는 것을 없애며 위기를 잘 통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며 기를 내린다. 산골이나 높은 언덕, 또는 들판에서 자란다. 음력 8∼9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 말린다. 창출, 백자인, 청상자와 섞어 쓰면 두풍증이 낫는다. 방기를 사약으로 쓰며 석고와는 상오약이다. 속에서 번열이 나는 것, 두풍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아찔한 것, 가슴이 할래발딱거리면서 토할 듯한 것, 갑자기 목이 쉰 것, 소아의 심열, 경간 등을 치료하는데 일엽추를 잘라 불에 태울 때 흐르는 진을 받아서 마신다. 또한 소갈도 멈추고 가래도 삭이며 잠이 오지 않게도 한다. (진장기본초) 채찍으로 쓰는데 민간에서는 황형이라고 한다. 가지와 줄기는 굳다. 한 곳에 모도록하게 나며 덩굴이 뻗지 않기 때문에 모형이라고 했다. 잎은 피마자잎 같지만 드물고 길쭉하며 붉은 이삭꽃이 핀다. 열매는 작고 누른 것이 마인만하다. 일명 소형이라고도 한다. 푸르고 붉은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푸른 것이 좋다. 도은거의 등진음결에는 형목의 꽃과 잎은 정신을 맑게 하고 헛것이 보이게 한다고 하였고 주해에는 일엽추의 종류에 3가지가 있다고 하였으며 직에는 지금 채찍을 만들어 쓰는 것이 형목이라고 하였다. 잎은 향기롭고 또 꽃과 씨가 있는데 씨는 약으로 쓰지 않았다. 방술에도 모형을 썼다. 북쪽지방 사람들은 일엽추씨를 약으로 쓰는 것을 알지 못한다. 육갑음부설에서는 양로, 공소라고 하였다. 겉은 희고 속이 비었으며 가지를 잘라 심어도 살아난다. 지금은 양로를 잘라 심기도 한다. 꽃과 열매가 조금 작으며 약으로 쓰지 않는다. 천감 3년에 신선음을 만들라는 명령을 받고 일엽추에 대해 썼는데 거기에는 일엽추의 꽃은 희고 씨는 굵고 많으며 줄기는 드물게 돋아나서 2∼3가지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흔히 둥글지 않고 납작한 것이 마치 죽엽마디같기도 하다. 잎은 다른 형목과 같다. 벌이 흔히 일엽추를 따른다. 일엽추즙은 성질이 차고 맛이 달다. 다른 형목들은 태우면 연기가 독하나 일엽추는 무르고 걸쭉한 즙이 있으므로 불이 잘 붙지 않는다. 일엽추는 심풍에 제일 좋다. 없으면 잎도 쓸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소문사설 금을 무르게 하는 법 선경(仙經: 도교의 경전)에서 식초, 꿀 및 돼지기름, 모형주(牡荊酒)로 불리면 아주 물러진다고 하였다. 그 방법은 돼지의 부혁방(負革肪: 목 아래 기름)등에서 제거한 기름과 고주(苦酒: 식초의 옛 이름)로 불린다. 백여 차례 불리면 물러진다. 또는 가죽나무껍질[樗皮]로 무르게 하거나 모형주(牡荊酒)나 자석(磁石)으로 무르게 하면 물이 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소문사설 취어초(醉魚草)는 대부분 도랑이나 □가에서 자란다. 작은 그루가 높이 3~4자로 뿌리는 구기나무[枸杞]와 같고 줄기는 광대싸리[黃荊] 모양이며 약간 모서리가 있고 바깥에는 얇은 누런 껍질이 있다. 가지는 무성하고 잎은 수양(水楊)과 비슷하며 대절(對節)로 자란다. 겨울이 지나 시들지 않으며 7~8월에 꽃이 피고 홍자색의 이삭이 달린다. 모양이 완화(莞花)와 같다. 작은 씨를 맺는다. 어부들은 꽃과 잎을 따다가 물고기를 중독 시켜 다 잡지만 잡으면 죽는다. 완화도 망초와 함께 그렇게 쓴다. 또 쥐를 중독 시켜 껍질을 얻는데도 그렇게 한다.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섭생_신침법 5월 5일, 7월 1일에 산중의 잣나무를 베어다 목침(木枕)을 만들되, 길이는 1척 2촌, 높이는 4촌으로 하며, 그 속에는 1말 2되가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잣나무의 붉은 속심으로 뚜껑을 만들되, 두께는 2푼으로 한다. 이는 대개 긴밀(緊密)하게 둘 수 있고 또는 열어서 쓸 수 있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에다 세 줄로 한 줄에 40개의 구멍을 뚫어 모두 1백 20개가 되게 하며, 좁쌀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한다. 그리고는 궁궁(芎藭)ㆍ당귀(當歸)ㆍ백지(白芷)ㆍ신이(辛夷)ㆍ두충(杜沖)ㆍ백출(白朮)ㆍ고본(藁本)ㆍ목란(木蘭)ㆍ촉초(蜀椒)ㆍ관계(官桂)ㆍ건강(乾薑)ㆍ방풍(防風)ㆍ인삼ㆍ길경(桔莄)ㆍ백미(白薇)ㆍ형실(荊實)ㆍ비렴(飛廉)ㆍ백실(柏實)ㆍ백복령(白茯苓)ㆍ진초(秦椒)ㆍ미무(蘼蕪)ㆍ육종용(肉蓯蓉)ㆍ의이인(薏苡仁)ㆍ관동화(款冬花) 등 24가지를 사용하여 24절기에 응하게 하고, 거기에다 오두(烏頭)ㆍ부자(附子)ㆍ여로(藜蘆)ㆍ조협(皂莢)ㆍ감초ㆍ반석(礬石)ㆍ반하(半夏)ㆍ세신(細辛) 등 여덟 가지를 더하여 8방(方)의 바람에 응하게 한다. 이상의 32가지를 각각 한 냥씩을 잘게 썰어서 여덟 가지 약은 밑에 놓고 나머지 약은 위에 놓이도록 목침 속에 가득 채우고 베로 주머니를 만들어 목침에 입히고, 다시 가죽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이중으로 싸 두었다가 잠자리에 들 때는 가죽주머니는 벗겨 버린다. 이는 대개 약 기운이 외부로 새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이를 1백 일을 베고 자면 얼굴에 광택이 나고, 1년이 되면 모든 병이 다 낫고 온몸에는 향기가 가득하며, 4년이 되면 흰 머리가 다시 검어지고 빠졌던 이가 다시 나며, 이목(耳目)이 총명해진다. 약용 비공개
    산림경제 선택_잡방_배게와 요를 만든는 법 신침(神枕)을 만드는 방법은,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1척 2촌의 길이와 4촌의 높이로 잘라 1말 2되의 곡식이 들어갈 수 있도록 그 속을 파내고서 잣나무의 붉은 속으로 덮개를 만들되 2푼을 두께로 한다. 그리하여 덮개를 빽빽하게 맞추되 또한 여닫을 수 있도록 만든다.그리고 덮개 위를 세 줄로 뚫되, 한 줄에 40구멍씩 무릇 1백 20구멍을 좁쌀이 들어갈 수 있을 만큼의 크기로 뚫는다. 그 다음 궁궁(芎藭)ㆍ당귀(當歸)ㆍ백지(白芷)ㆍ신리(辛夷)ㆍ두형(杜蘅)ㆍ백출(白朮)ㆍ고본(藁本)ㆍ목란(木蘭)ㆍ촉초(蜀椒)ㆍ관계(官桂)ㆍ건간(乾干)ㆍ방풍(防風)ㆍ인삼(人蔘)ㆍ길경(桔梗)ㆍ백미(白薇)ㆍ형실(荊實)ㆍ비렴(飛廉)ㆍ백실(柏實)ㆍ백술(白術)ㆍ진초(秦椒)ㆍ미무(糜蕪)ㆍ육종용(肉蓯蓉)ㆍ의이인(薏苡仁)ㆍ관동화(款冬花) 등 무릇 24가지의 약물을 사용하여 24기(氣)를 응하고, 오두(烏頭)ㆍ부자(附子)ㆍ여로(藜蘆)ㆍ조협(皁莢)ㆍ감초(甘草)ㆍ반석(礬石)ㆍ반하(半夏)ㆍ세신(細辛) 무릇 8가지 약물을 더하여 팔풍(八風)에 응한다. 이상의 32가지의 약물을 각각 1냥씩 하여 모두 썰어서 24가지를 먼저 넣고, 다음 8가지를 위에 덮어 베개 속을 가득히 채운다. 그리고 포낭(布囊 베로 만든 주머니)으로 베개에 입히고 다시 가죽 주머니를 만들어 거듭 씌워 놓았다가 누울 때에 임하여 벗겨내고 베는데, 그것은 대개 약기운이 새어 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하려는 것이다.그 베개를 1백 일 동안 베고 나면 얼굴에는 광택(光澤)이 있게 되고, 1년을 베고 나면 모든 병이 다 낫는가 하면 온몸에서 향기가 난다. 4년을 베면 흰 머리가 검어지고 빠진 이가 다시 나며 눈귀가 밝아진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의림촬요 반신불수(半身不遂)는 대체로 담(痰)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반신불수가 왼쪽에 있는 것은 사혈(死血 어혈(瘀血))과 혈(血)이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사물탕(四物湯 숙지황(熟地黃), 백작약(白芍藥), 천궁(川芎), 당귀(當歸)로 만든 탕제)에 도인(桃仁)ㆍ홍화(紅花)ㆍ죽력(竹瀝)ㆍ생강즙〔薑汁〕을 첨가한다. 반신불수가 오른쪽에 있으면 담(痰)과 기허(氣虛 기가 허한 상태)에 해당하므로 이진탕(二陳湯)에 사군자탕(四君子湯)을 넣고 죽력(竹瀝)ㆍ생강즙〔薑汁〕을 첨가한다. 뚱뚱한 사람은 몸에 습기〔濕〕가 많으므로 부자(附子)를 약간 첨가하여 경락을 운행시킨다. 식사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죽력(竹瀝)을 빼고 형력(荊瀝)으로 대신한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 위장에 화사(火邪)가 있고 횡격막 위에 담음(痰飮)이 있어서 뱃속이 아프고 메스꺼우며 멀건 물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피(陳皮) - 흰 속을 제거한 것 - ㆍ복령(茯苓)ㆍ치자(梔子) - 볶은 것 - ㆍ천궁(川芎)ㆍ백출(白朮)ㆍ창출(蒼朮)ㆍ향부자(香附子) - 각 1돈 -, 황련(黃連) -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것 - ㆍ모형자(牡荊子) - 볶아서 따로 간 것 - ㆍ반하(半夏) - 각 1돈 반 -, 건강(乾薑) - 볶은 것, 5푼 -, 감초(甘草) - 구운 것, 3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만들어 생강〔薑〕 3쪽과 함께 물 2잔에 넣고 1잔이 되게 달여 조금 뜨겁게 해서 먹는다. ○허증(虛證)이 있으면 인삼(人蔘) 1돈을 더하여 쓴다. 뱃속이 아픈 데는 생강즙 1홉을 넣어 쓴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죽력(竹瀝) 담음(痰飮)이 위로 거슬러 올라서 정신을 잃어버려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열담(熱痰)을 잘 치료하고 혈(血)을 보태주고 가래를 삭여서 정신을 잃고 쓰러졌던 사람을 살아나게 하는 힘이 있다. 기운이 허약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경우는 죽력(竹瀝)을 더하여 쓰고, 기운이 튼실하여 음식을 잘 먹는 경우는 형력(荊瀝)을 더하여 쓴다. 약용 비공개
    고사신서 신침(神枕)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에서 잣나무를 취해 목침을 만든다. 길이는 1자 2치, 높이는 4치, 빈 공간은 1말 2되를 집어넣을 수 있다. 속이 붉은 잣나무로 덮게를 만드는데 두께는 2푼으로 한다. 덮개 위로 구멍을 3줄로 뚫는데, 줄마다 40개의 구멍을 꿇는다. 모두 120개의 구멍이다. 좁쌀과 쌀을 집어넣는다. 대개 약초(藥草)를 사용하는데 궁궁(芎藭), 당귀(當歸), 백지(白芷), 신이(辛夷), 두형(杜蘅, 족두리풀), 백출(白朮), 고본(藁本), 목란(木蘭), 천초(蜀椒), 계피(桂皮), 건강(乾薑), 방풍(防風), 인삼(人蔘), 길경(桔梗), 백복령(白茯苓), 형실(荊實), 육종용(肉蓯蓉), 비렴(飛廉), 백실(柏實), 의이인(薏苡仁), 관동화(款冬花), 백미(白薇), 진초(秦椒), 미무(糜蕪), 오두(烏頭), 부자(附子), 여로(藜蘆), 조협(皁莢), 망초(芒草), 반석(礬石), 반하(半夏), 세신(細辛) 등으로 8풍(八風)과 응한다. 모두 32가지 약재는 각각 1냥 씩이다. 모두 썰어서 독약을 위로 놓고 베개 속에 그것을 채우는데, 베주머니를 사용하여 천으로 덮고 다시 가죽주머니를 사용하여 이중으로 싼다. 누울 때에는 주머니를 쓴다. 대개 약기운이 바깥으로 새는 것을 막는다. 베개를 벤지 100일이면 얼굴에 광택이 있고, 1년이면 몸 속의 병이 모두 낫는다. 몸에 진향 향기가 가득 차고 4년이면 백발이 모두 흑색이 된다. 빠진 이가 새로 생겨나고 눈과 귀가 총명해진다.신통한 방법과 비방은 그사람이 아니면 전하지 못한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300486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북도 남원... 봉화산 / 2006-10-26 건조표본 2건
    NIBRVP0000300487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남도 신안... / 1997-07-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39234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북도 남원... 지리산 / 1997-08-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73110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경기도 화성시... 칠보산 / 2012-07-31 건조표본 3건
    NIBRVP0000699350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경상남도 사천... 각산 / 2017-10-13 건조표본 3건
    NIBRVP0000712434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남도 담양... / 2007-08-30 건조표본 3건
    NIBRVP0000722653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 2018-08-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31150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북도 전주... / 2006-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31164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 목형 전라북도 전주... / 2006-07-0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목형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목형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Vitex negundo var. cannabifolia (Siebold & Zucc.) Hand.-Mazz. 목형 rbcL rbcL_26F_1391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