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톱풀

Achillea alp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톱풀

Achillea alp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톱풀

Achillea alp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톱풀 Achillea alpin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Achillea (톱풀속) > alpina (톱풀)
이명정보
[원기재명]
Achillea sibirica (Regel) Kitam. (톱가새풀)

비교적 높은 산 햇빛이 다소 드는 숲속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50~100cm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는 없다. 잎몸은 넓은 선형으로 길이 6~10cm, 폭 0.7~1.5cm, 끝은 뾰족하고, 밑이 줄기를 감싸고, 가장자리가 깃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데 갈래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7~10월에 피는데 흰색이며 줄기 끝에 머리모양꽃이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7~9mm다. 혀모양꽃머리모양꽃의 가장자리에 5~7개씩 달리며, 길이 3.5~4.5mm다. 모인꽃싸개는 종 모양, 길이 5mm쯤, 조각은 2줄로 붙으며, 넓은 피침형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3mm쯤, 10월에 익는데 털이 없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네팔,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잎몸은 선상 장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단순하게 빗살 모양으로 깊게 갈라지는 점에서 2회 새깃꼴로 갈리는 서양톱풀, 보다 얕은 톱니를 갖는 붉은톱풀, 잔 톱니로 되어 있어 기부 쪽이 거의 밋밋한 큰톱풀과 구별된다. 어린순은 식용, 전초는 약용한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가새풀, 배암세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네팔,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10월에 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9),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4 항알레르기 IL-4 분비 및 발현 억제 측정 IL-production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1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The complete chloroplast genome sequence of <i>Phlomoides kirghisorum</i> Adylov, Kamelin & Makhmedov 1987 (Lamiaceae), an endemic species of Fergana Valley. [Min-Su Park, Nu-Ree Na, Chang-Gee Jang, Rustam Gulomov, Komiljon Tojibaev] Mitochondrial DNA. Part B, Resources 2024
    2 <i>In silico</i> toxicologic profile and <i>in vivo</i> trypanocidal activity of estafietin, a sesquiterpene lactone isolated from Stevia alpina Griseb. [Orlando G Elso, Natacha Cerny, Laura C Laurella, Augusto E Bivona, Andrés Sánchez Alberti, Celina Morales, Cesar A N Catalán, Emilio L Malchiodi, Valeria P Sülsen] Natural product research 2024
    3 Assessment of the chemical and genetic variability among accessions of <i>Cicerbita alpina</i> (L.) Wallr., an alpine plant with anthelmintic properties. [Eftychia Martinidou, Luisa Palmieri, Maddalena Sordo, Domenico Masuero, Maria Ourda, Luca Delucchi, Pietro Fusani, Veronika Tremml, Ioanna Poulopoulou, Matthias Gauly, Mark J Horgan, Bianka Siewert, Hermann Stuppner, Stefan Martens] Frontiers in plant science 2023
    4 Dietary Taraxacum mongolicum polysaccharide ameliorates the growth,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status in association with NF-κB, Nrf2 and TOR in Jian carp (Cyprinus carpio var. Jian) Yu, Zhe;Zhao, Lei;Zhao, Jun-Liang;Xu, Wanxin;Guo, Zehao;Zhang, Ai-Zhong;Li, Mu-Yang; Aquaculture 2022
    5 Comparison of Chemical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chillea alpina L. and Achillea wilsoniana L. Chen Dong;Zhang Zhiqiang;Huang Yi; Asian Journal of Research in Biochemistry 2022
    6 <i>Taraxacum mongolicum</i> extract inhibited malignant phenotype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in tumor-associated macrophages microenvironment through suppressing IL-10 / STAT3 / PD-L1 signaling pathways Deng, Xin-Xin;Jiao, Yan-Na;Hao, Hui-Feng;Xue, Dong;Bai, Chang-Cai;Han, Shu-Ya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7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Compounds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s of <i>Achillea alpina</i> L. Lee, Hyun Joo;Sim, Mi Ok;Woo, Kyeong Wan;Jeong, Da‐Eun;Jung, Ho Kyung;An, Byeongkwan;Cho, Hyun Woo; Chemistry & biodiversity 2019
    8 An Online Respiratory Quotient-Feedback Strategy of Feeding Yeast Extract for Efficient Arachidonic Acid Production by <i>Mortierella alpina</i>. [Xiangyu Li, Chao Yu, Jianming Yao, Zhiming Wang, Shuhuan Lu] Frontiers in bio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2017
    9 Species delimitation in the Grayling genus Pseudochazara (Lepidoptera, Nymphalidae, Satyrinae) supported by DNA barcodes. [Rudi Verovnik, Martin Wiemers] ZooKeys 2016
    10 Adaptation to altitude affects the senescence response to chilling in the perennial plant Arabis alpina. [Astrid Wingler, Marta Juvany, Caroline Cuthbert, Sergi Munné-Bosch]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015

    특허 (총 1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NOVEL USE OF VITAMIN B12 KOHLER, Lise.|LAURENT, Guillaume Bernard.|MONGIAT, Sebastien.|SFRISO, Riccardo. 2021-06-15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집주변에서 지네초(톱풀)를 채취하여 말려서 술을 담궈 마시면 요통에 좋다.
    2 문헌 약용 옛날에는 시(蓍)를 가지고 점을 쳤다. 본초에 보면 시초는 다박쑥 종류이고, 모양이 국화와 같다고 하였다. 또 말하기를 "시초는 천 년에 한 포기에서 백 개의 줄기가 난다. 지금 사람들은 그 모양이 같은 것을 구하지 않고 꼭 한 포기에 줄기가 백 개 있는 것만 구하다가 이것을 얻지 못하면 (시초는 우리나라에서는 나지 않는다"고 단정해 버리니 잘못된 것이다. 박교수 자우가 말하기를 "일찌기 밭 사이에서 이상스런 풀을 보았는데 한 뿌리에 줄기가 30, 40개나 되었다. 다북쑥 같으면서 아니고, 잎은 가늘고 길며, 꽃은 국화와 비슷하여 연한 자주빛이 난다. 본초도경을 보니 "이것이 시초임이 의심이 없었다"라고 했다. 옛날 어느 부인이 시초를 베어다가 나무로 때어서 시초의 씨가 없어졌다"고 한다. 醫方에 보면, "시초는 실로 약에 들어간다"고 하였다.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이 풀이 밭에 많이 있었으나 사람들은 이것이 시초인 줄을 알지 못하였다. 대개 시초가 귀한 물건이 아닌 때문이다. 오직 그 수한 것만 가지고 길하고 흉한 것을 점쳤다. 그런 때문에 한 포기에 백개의 줄기가 나온 것은 얻기 어렵다고 했던 것이다.
  • 표본 (총26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066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양양군... / 2008-07-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0215 Achillea alpina L." / 톱풀 충청남도 천안... / 2006-06-16 건조표본 2건
    NIBRVP0000022127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상남도 산청... / 1998-10-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2128 Achillea alpina L." / 톱풀 충청북도 진천... 덕성산 / 2004-08-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2997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상북도 경주... / 2005-10-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2998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양양군... 응복산 / 2004-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2999 Achillea alpina L." / 톱풀 충청북도 단양... 소백산 / 2005-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000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기도 안산시... / 2004-09-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001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상북도 영양... 울련산 / 2001-08-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002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홍천군... / 1998-07-23 건조표본 1건

    소재 (총31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2597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 2009-10-15 조직 1건
    NIBRGR0000084556 Achillea alpina L. / 톱풀 충청북도 단양... 소백산 / 2009-10-14 조직 1건
    NIBRGR0000085688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태백시... 함백산 / 2010-09-02 조직 1건
    NIBRGR0000102474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정선군... 동강 / 2010-08-16 조직 1건
    NIBRGR0000107521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평창군... / 2011-08-16 조직 1건
    NIBRGR0000108426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양구군... 대암산 / 2011-09-23 조직 1건
    NIBRGR0000108905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정선군... 동강 / 2011-08-29 조직 1건
    NIBRGR0000117792 Achillea alpina L. / 톱풀 경상북도 포항... / 2011-06-28 조직 1건
    NIBRGR0000118176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정선군... 동강 / 2011-08-29 조직 1건
    NIBRGR0000122719 Achillea alpina L. / 톱풀 강원도 평창군... / 2012-09-07 종자 1건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chillea alpina L. 톱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hillea alpina L. 톱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hillea alpina L. 톱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chillea alpina L. 톱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