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Asteridae (국화아강) > Asterales (국화목) > Asteraceae (국화과) > Sonchus (방가지똥속) > oleraceus (방가지똥)

국화목 국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30~100cm, 속이 비어 있고 세로로 주름이 있다. 뿌리잎은 모여나며 꽃이 필 때 시든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타원형, 길이 10~14cm, 폭 5~7cm, 깃꼴로 갈라지고,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어져서 줄기를 감싸는데 귀의 끝이 뾰족한 톱니로 된다. 가장자리에 끝이 뾰족한 톱니가 있다. 줄기 윗부분에 달리는 잎은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지름 2cm의 머리모양꽃이 줄기와 가지 끝에서 산방상으로 달린다. 머리모양꽃은 혀 모양의 양성꽃으로 되며, 꽃부리는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 8월에 익으며 타원형, 3(~4)개의 홈이 있으며, 우산털은 흰색이다. 강가, 길가, 빈터 등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귀화식물이다. 큰방가지똥에 비해 줄기잎의 귀가 뾰족하고 가장자리 톱니 끝의 가시가 작으므로 구분된다. 가축 먹이로 이용한다. 방가지풀이라고도 한다.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퍼져 나며, 전 세계에 귀화하여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유럽(원산), 전 세계(귀화)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열매는 8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36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방사선 보호기 C21H30O8 111618-85-0 410.463
    2
    세포 증식 억제 C21H28O9 94474-61-0 424.447
    3
    세포 증식 억제 C30H38O11 111618-83-8 574.624
    4
    세포 증식 억제 C21H32O8 111618-82-7 412.479
    5
    세포 증식 억제 C21H30O8 111618-85-0 410.463
    6
    세포 증식 억제 C21H32O8 111618-84-9 412.479
    7
    아폽토시스 길항제 C21H30O8 111618-85-0 410.463
    8
    아폽토시스 작용제 C30H38O11 111618-83-8 574.624
    9
    아폽토시스 작용제 C21H32O8 111618-82-7 412.479
    10
    아폽토시스 작용제 C21H30O8 111618-85-0 410.463

    효능실험정보 (총 6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4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5 항염 MTS assay MTS assay
    6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2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Sonchus oleraceus L.: ethnomedic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aspects. [Oscar Antonio Sánchez-Aguirre, Alberto Sánchez-Medina, Enrique Juárez-Aguilar, José Martín Barreda-Castillo, Leticia Margarita Cano-Asseleih] Naunyn-Schmiedeberg's archives of pharmacology 2024
    2 Chemical Composition of Wild Collected and Cultivated Edible Plants (<i>Sonchus oleraceus</i> L. and <i>Sonchus tenerrimus</i> L.). [M Ángeles Botella, Pilar Hellín, Virginia Hernández, Mercedes Dabauza, Antonio Robledo, Alicia Sánchez, José Fenoll, Pilar Flores] Plants (Basel, Switzerland) 2024
    3 Chemical Profiling of Significant Antioxidant and Phytotoxic Microwave-Extracted Essential Oil from Araucaria heterophylla Resin Abd-ElGawad Ahmed M.;Saleh Ibrahim;El-Razek Mohamed H. Abd;Elkarim Asmaa S. Abd;El-Amier Yasser A.;Mohamed Tarik A.;El Gendy Abd El-Nasser G.;Afifi Sherif M.;Esatbeyoglu Tuba;Elshamy Abdelsamed I.; Separations 2023
    4 Associate plant parasitic nematodes to weed species in some newly reclaimed lands. [Ghena Mamdouh AbdelRazek, Mohamed Abdelaziz Balah] Scientific reports 2023
    5 Algerian Sonchus oleraceus L.: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solvent on phyto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cholinesterase activity Aissani, Fatine;Grara, Nedjoud;Bensouici, Chawki;Bousbia, Aissam;Ayed, Hayette;Idris, Muhd Hanis Md;Teh, Lay Kek;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2022
    6 Sonchus oleraceus L. Promotes Gastroprotection in Rodents via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secretory Activities Vecchia, Cristian A. D.;Locateli, Gelvani;Serpa, Patricia Z.;Bianchin Gomes, Denise;Ernetti, Jackeline;Miorando, Daniela;Zanatta, Maria Eduarda D. C.;Kaio Silva Nunes, Ruan;Wildner, Silvana M.;Gutiérrez, Max V.;Vilegas, Wagner;Somensi, Lincon B.;Silva, Luisa M.;Roman Junior, Walter A.;Da Silva Filho, Ademar A.;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2022
    7 <i>Sonchus oleraceus</i> L. Promotes Gastroprotection in Rodents via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secretory Activities. [Cristian A D Vecchia, Gelvani Locateli, Patricia Z Serpa, Denise Bianchin Gomes, Jackeline Ernetti, Daniela Miorando, Maria Eduarda D C Zanatta, Ruan Kaio Silva Nunes, Silvana M Wildner, Max V Gutiérrez, Wagner Vilegas, Lincon B Somensi, Luisa M Silva, Walter A Roman Junior]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eCAM 2022
    8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mpounds from <i>Cudrania tricuspidata</i> in HaCaT Human Keratinocytes Ko, Wonmin;Kim, Nayeon;Lee, Hwan;Woo, Eun-Rhan;Kim, Youn-Chul;Oh, Hyuncheol;Lee, Dong-Sung;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
    9 Antibacterial Effect of Latex and Aqueous and Hydroalcoholic Extracts of Sonchus Oleraceus L. Ghaffaripour Reza;Department of Medical Laboratory Sciences, School of Paramedical Sciences, Dezful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Dezful, Iran.;Bargahi Afshar;An&apos;aam Marzieh;Department of Biochemistry, School of Medicine, Bushehr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Bushehr, Iran.;Central Research Laboratory, School of Medicine, Dezful University of Medical Sciences, Dezful, Iran.; Qom Univ Med Sci J 2021
    10 Green synthesis of Zno@GO nanocomposite and its’ efficient antibacterial activity Tariq, Muhammad;Khan, Arif Ullah;Rehman, Aziz Ur;Ullah, Sadeeq;Jan, Amin Ullah;Zakareya, Amin Ullah;Khan, Zia Ul Haq;Muhammad, Nawshad;Islam, Zia Ul;Yuan, Qipeng; Photodiagnosis and photodynamic therapy 2021

    특허 (총 5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METHOD FOR PRODUCING POLYISOPRENOID, VECTOR, TRANSFORMED PLANT, METHOD FOR PRODUCING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PRODUCING RUBBER PRODUCT Haruhiko YAMAGUCHI|Yukino INOUE|Kazuhisa FUSHIHARA|Seiji TAKAHASHI|Toru NAKAYAMA|Satoshi YAMASHITA 2021-02-22
    2 Adherent oral pharmabiotic delivery strip Steven J. Edwards 2019-11-14
    3 SYNERGISTICALLY EFFECTIVE HERBICIDE COMPOSITION COMPRISING PELARGONIC ACID AND FLAZASULFURON DESNOUCK, Johan|VAN POTTELBERGE, Steven 2018-10-16
    4 COMPOUND AND METHOD FOR REDUCING INFLAMMATION, PAIN, ALLERGY, FLU AND COLD SYMPTOMS Alexander Kariman 2018-05-30
    5 Gastroprotective extracts of Sonchus oleraceus L. Amani Shafeek Awaad|Shekhah Saud Almoqren|Amal Ahmed Safhi|Yara Mohamed Zain|Reham Mostafa El-Meligy|Fatmah Ali Al-Asamary 2018-01-26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멥쌀로 죽을 쑤어 한 차례 배불리 먹인 다음에 좁쌀로 모이를 주고 씀바귀와 순무 꽃을 잘게 썰어 준다.
    2 문헌 약용 씀바귀를 꺾어 나오는 흰 즙을 자주 바르면 티눈과 검은 점이 곧 저절로 떨어진다.
    3 문헌 농사용 거위와 오리[鵝鴨] 병아리가 나오면 따로 닭장처럼 만들어 집어넣고, 우선 멥쌀로 죽을 쑤어 한바탕 배불리 먹이는데, 이것을 ‘모이주머니 채워주기[塡嗉]’라 부른다.그렇지 않으면, 병아리들이 마른 모이를 쪼아 먹다가 소화시키지 못하여 굶주려 죽는다. 그런 다음에 좁쌀로 모이를 주고, 씀바귀[苦菜]와 순무 꽃[蕪菁英]을 먹인다. 깨끗한 물을 먹이고, 물이 탁해지면 바꾸어준다.바꾸지 않으면 진흙물이 코를 막아 죽는다.
    4 문헌 농사용 누에알 씻기[浴種] - 2월 12일에 연을 목욕시키되, 유채꽃[菜花]․산나물꽃[野菜花]․부추꽃[韭花]․복숭아꽃[桃花]․흰콩꽃[百豆花]을 주무른 물속에서 목욕시킨다. 누에나방이 알을 낳는 것은 하룻밤 낳은 것으로 끝낸다. 그렇지 않으면 개미누에가 나오는 것이 고르지 않게 된다.
    5 문헌 식용 고채(苦菜)고들빼기 - 「예기(禮記)」 : 「내칙(內則」에 ‘돼지고기를 재우며[濡] 고채(苦菜)로 싸고 여뀌[蓼]로 채운다.’ 하였다. 그 소(疏)에 ‘돼지고기를 재울 때 돼지고기를 고채로 싸는 것은 그 독한 기운[惡氣]을 없애는 것이며 또 여뀌로 고기 속을 채운다.’ 하였다.
    6 문헌 약용 고채(苦菜)고들빼기 - 맛은 쓰고 차며 독이 없어 여름에 먹으면 심장을 돕고 피를 부드럽게 해주고 기를 통하게 해주며, 장벽(腸澼: 설사)과 갈열(渴熱)19)을 치료하고, 악창(惡瘡)을 앓거나 곽란(癨亂)이 일어난 후에 위의 기운이 답답하고 역한 것을 치료한다. 꿀과 함께 먹는 것을 꺼리는데 치질을 만들기 때문이다. 비위(脾胃)가 허하고 찬 사람은 많이 먹어서는 안 된다.
    7 문헌 식용 황두(黃豆: 황색 콩) 콩(菽)은 맛이 담백한 곡식이다. 옛 「시경」, 「빈풍〈風〉」에 ‘9월에는 콩 · 삼씨[苴] 따고 씀바귀[荼] 캐며 땔나무[樗] 베어 나의 농부 밥을 먹이네.’라고 노래하였다. 숙(菽)과 저(苴)는 맛이 밋밋한 곡식이다. 씀바귀[荼]란 맛이 쓴 나물이다. 저(樗)란 질이 나쁜 땔나무이다. 옛날에는 이것으로 농부에게 밥을 해 먹였다. 일반백성들이 근검한 생활을 하고 이를 즐겼음을 잘 나타내고 있다. 또, 공자가 ‘콩을 씹고 물을 마시더라도 그의 마음을 기쁘게 하면 그를 효라 한다.’250)라고 했으니 별다른 물질의 풍요가 필요치 않은 것이다.
    8 문헌 기타 <용재총화 제7권> 공이 취김에 나무살[木箭]을 뽑아 활을 당기고 말을 달려 들어가 쏘려 하다가 여러 사람이 말려서 그만 두었으니, 매사에 이와 같은 일이 많았다. 매양 임금님 앞에서 충서(忠恕) 두 자를 써놓고 간절히 아뢰니, 성종(成宗)이 충직한 사람이라 여겨 드디어 높은 벼슬을 주었다. 공은 벼슬이 높아질수록 더욱 조심하고 검약해서 손님을 맞을 때마다 술자리를 베풀어도 오직 검정콩과 쓴 나물, 솔싹으로 나물을 만들 뿐, 호화롭고 사치스러운 것을 아주 싫어했다.
    9 문헌 기타 거위[鶴]와 오리[鳴] 기르기 거위와 오리는 모두 한 달만에 병아리로 나오는데, 나오기 4~5일 전에 물레소리나 절구소리를 듣든지, 크게 소리지르거나 돼지와 개가 시끄럽게 소리치든지 하면, 병아리가 저 죽을까봐 대부분 나오기 싫어한다. 병아리가 나오면 새장의 둥우리에 넣고 먼저 맵쌀로 죽을 쑤어 한차례 배불리 먹이는데 이것을 ‘모이주머니를 채우는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목이 막히는 병이 들어 죽는 경우가 있다. 그런 후에 좁쌀로 모이를 주고, 씀바귀와 순무의 꽃을 썰어 먹이로 하고, 맑은 물을 주는데, 물이 탁하면 바꾸어준다. 바꾸어주지 않았다가 진흙이 코를 막으면 죽는다. 물에 들어가서는 오랫동안 머물러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찾아내어 몰고 나오도록 해야 한다. 이들은 물새[水食]이므로 물이 없으면 죽는다. 그러나 배꼽이 아물지 않았을 때 오랫동안 물 속에 있으면 냉기가 스며들어서 역시 죽는다. 새장 안 높고 건조한 곳에 부드러운 풀을 깔고서, 그 위에 자는 곳을 만든다. 또한 배꼽이 아직 아물지 않았으므로 물 속에서 춥게 지내지 않게 한다. 15일 후에는 새장에서 나오는데 일찍 놓아기르게 되면 힘이 모자라서 피곤해진다. 또한 냉병에 걸리고 까마귀나 솔개가 채어갈 위험까지 부른다. 거위는 오직 오곡과 풀과 채소만 먹고 산 벌레는 먹지 않지만, 오리는 먹지 않는 것이 없다. 거위와 오리가 6년 이상 되어 늙어서 다시 알을 낳아 품지 못하면 없애야 한다. 어려서 처음 알을 낳아 품을 때는 또한 잘할 수 없으므로, 2년 정도 된 것이 좋은 것이다. 요리사에게 줄 때는, 새끼거위는 1백 일이 넘고 새끼오리는 60〜70일 정도 된 것이 좋다. 이 기간이 지나면 고기가 질겨진다. 0 수오리는 빼고 순전히 암오리만 골라내서, 조와 콩을 넉넉하게 주어 항상 살찌도록 배불리 먹이면, 오리 1마리가 알 1백 개를 낳는다.
    10 문헌 농사용 토지 이용[任地] 해의 봄 여름 가을 겨울 늦여름 다섯 계절 동안에 식물의 생장을 보고 작물을 심고 가꾸며, 식물의 죽음을 보고 작물을 거두어들인다. 오행(五行)이 계절에 따라 움직이므로 오시(五:時)라고 한다. 이것은 농사철올 말한다. 자라는 식물을 살펴서 작물을 심는다는 말은, 살구나무의 새순이 나오는 것을 보고 밭갈이률 부지런히 하며, 창포가 나는 것을 보고 재배률 권장하는 둥의 일올 말한다. 시들어 죽는 식물을 살펴서 작물을 거두어들인다는 말은 냉이 · 꽃다지 둥의 풀이 죽고 가을에 풀과 나뭇잎들이 시들어 죽온 뒤에야 보리 싹이 피어난다는 것을말한다. 지금 생각하건대, 냉이 · 꽃다지 · 황새 둥 세 가지 식물이 말라죽고 보리를 수확할 수 있으며 씀바귀가 죽고 납가새가 나오면 삼과 콩을 심는다는 둥의 일이 바로 이것이다. 그래서 하늘은 사계절을 알리고 땅은 먹고 입을 것을 낳지만 사람들과 더불어 의논하지 않는다. 대자연의 법칙은 사람돌과 더불어 의논하지 않는다.
  • 표본 (총41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704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932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394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군산... / 2006-05-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396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남원... / 2006-08-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398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경상남도 창원... 작대산 / 2003-08-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399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충청북도 제천... / 2006-08-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400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충청북도 제천... / 2006-10-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401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완주... 오봉산 / 2004-10-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404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부안... / 2006-07-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405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충청남도 태안... 묘도 / 2006-05-10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3780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대한민국 . / 1999 DNA 1건
    NIBRGR0000067972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남도 완도... 신지도 / 2008-03-22 DNA 1건
    NIBRGR0000068378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남도 완도... 신지도 / 2008-03-22 조직 1건
    NIBRGR0000104800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경상남도 진주... 장군태산 / 2010-05-26 조직 2건
    NIBRGR0000106010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북도 부안... / 2010-08-08 조직 1건
    NIBRGR0000106888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경상북도 울릉... 관선터널 / 2011-05-25 조직 1건
    NIBRGR0000120141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경상북도 울릉... 독도 동도 / 2012-10-08 종자 1건
    NIBRGR0000393434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경상북도 울릉... / 2016-05-26 조직 1건
    NIBRGR0000422060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남도 신안... / 2017-05-24 조직 1건
    NIBRGR0000426241 Sonchus oleraceus L. / 방가지똥 전라남도 신안... / 2017-05-24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rbcL rbcL aF-1379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