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거머리말 Zostera marin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Alismatidae (택사아강) > Najadales (나자스말목) > Zosteraceae (거머리말과) > Zostera (거머리말속) > marina (거머리말)

수심 1~10m의 연안 진흙에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해양성 수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지름 3~5mm,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선형으로 길이 50~120cm, 폭 4~9mm, 끝은 둔하고 아래는 잎집으로 싸인다. 잎맥은 7개이다. 꽃차례가 나오는 가지는 길이 10cm 정도, 지름 2mm, 마디가 있다. 꽃은 4~8월에 암수한포기로 핀다. 육수꽃차례는 한쪽으로 배열하고 불염포로 싸인다. 꽃차례 위에는 수꽃이 달리고 아래는 암꽃이 달린다. 열매는 수과, 기둥 모양이다. 씨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2~3.5mm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북극권에서 열대까지 전 세계에 분포한다. 이 종은 국내에 분포하는 거머리말속의 식물들과 비교하여 잎맥이 7개고 중앙맥과 첫 번째 맥 사이에 4~6개의 세로줄이 있는 특징으로 구분된다. 어류의 서식처와 산란 장소가 되며 바다 숲 조성에 이용한다. 잘피라고도 부른다. [저작재산권자]

  • 전 세계 [2]

    전국 [3]

  • 여러해살이풀로 해양성 수생식물이다. 꽃은 4~8월에 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2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nti-phototoxicity and anti-melanogenesis activities of eelgrass Zostera marina and its phenolic constituents. [Amira Elkattan, Yhiya Amen, Masako Matsumoto, Maki Nagata, Yanisa Mittraphab, Kuniyoshi Shimizu] Fitoterapia 2024
    2 Jurassic paleosurfaces with fecal mounds reveal the last supper of arenicolid worms. [M Gabriela Mángano, Luis A Buatois, Laura Piñuela, Nils Volkenborn, Francisco J Rodríguez-Tovar, José C García-Ramos] Scientific reports 2024
    3 Rapid diversification of grey mangroves (Avicennia marina) driven by geographic isolation and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Arabian Peninsula. [Guillermo Friis, Edward G Smith, Catherine E Lovelock, Alejandra Ortega, Alyssa Marshell, Carlos M Duarte, John A Burt] Molecular ecology 2024
    4 Increasing cascade dams in the upstream area reduce nutrient inputs to the Three Gorges Reservoir in China. [Ying Sun, Mengru Wang, Jing Yang, Chunqiao Song, Xuanjing Chen, Xinping Chen, Maryna Strokal]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4
    5 Diversification of refugia types needed to secure the future of coral reefs subject to climate change. [Tim R McClanahan, Emily S Darling, Maria Beger, Helen E Fox, Hedley S Grantham, Stacy D Jupiter, Cheryl A Logan, Elizabeth Mcleod, Lisa C McManus, Remy M Oddenyo, Gautam S Surya, Amelia S Wenger, Jens Zinke, Joseph M Maina] Conservation biology :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Conservation Biology 2024
    6 Large reductions in nutrient losses needed to avoid future coastal eutrophication across Europe. [Aslıhan Ural-Janssen, Carolien Kroeze, Erik Meers, Maryna Strokal]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2024
    7 Distribution and co-occurrence patterns of charophytes and angiosperms in the northern Baltic Sea. [Kristjan Herkül, Kaire Torn, Tiia Möller-Raid, Georg Martin] Scientific reports 2023
    8 Eelgrass (Zostera marina L.) populations are threatened by high sea-surface temperatures and impaired waters on Nantucket Island, USA. [A B Novak, H K Plaisted, Z J Hughes, A Mittermayr, E Molden] Marine pollution bulletin 2023
    9 The reduction in arterial pH with increased temperature is not affected by hyperoxia in toads (Rhinella marina) and pythons (Python molurus). [Samanta Aparecida Castro, Cléo Alcantara Costa Leite, Tobias Wan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23
    10 Detrimental impact of sulfide on the seagrass Zostera marina in dark hypoxia. [Harald Hasler-Sheetal] PloS one 2023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야생에서 미끄또박(거머리말)을 채취해 밀가루를 발라서 튀겨 먹거나 삶아서 죽을 쑤어 먹는다.
    2 구전 농사용 봄에 진저리(거머리말)을 캐 퇴비로 사용한다.
    3 구전 식용 봄에 진저리(거머리말)를 캐 식용으로 먹는다.
    4 구전 약용 바다에서 지진∙진즐(거머리말)을 채취하여 잇몸 통증이 있을 때 붙인다.
    5 문헌 거름, 소금 뿌리는 대와 같은 바, 뿌리에 한 줄기가 나고 줄기에는 마디가 있다. 추위가 시작될 즈음에는 마디에서 두 잎이 나온다. 잎의 너비는 8-9푼으로서 가운데와 끝이 평행되어 있다. 끝마디는 큰 편인데, 큰 놈은 1자 정도, 그 위에 나오는 잎은 창포같다. 줄기는 중간에 있고 그 끝 가까이 이삭이 있다. 열매는 벼 쌀과 같다. 줄기의 빛깔은 청백색, 잎의 빛깔은 청록색이다. 모래와 진흙탕이 섞이 땅에서 번식한다. 풍랑이 있을 때마다 떨어진 잎이 밀려 물가에 이른다. 이것으로 논에 거름을 한다. 이것을 불에 태워 재를 만들어 바닷물에 거르면 소금도 만들 수 있다.
    6 구전 식용 뗏목 배를 타고 가서 채취 뿌리부분과 줄기를 먹음 벼 논에 퇴비대신 사용하였음 요새는 잘 안 보임
  • 표본 (총11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L0000006664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완도... 보길도 / 2000-07-27 건조표본 1건
    NIBRAL0000006673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신안... 비금도 / 2000-07-25 건조표본 1건
    NIBRAL0000006675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신안... 마도 / 2001-06-26 건조표본 1건
    NIBRAL0000006676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신안... 화도 / 2001-06-25 건조표본 1건
    NIBRAL0000006678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신안... / 2000-07-25 건조표본 1건
    NIBRAL0000006680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거제... / 2004-06-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2104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울산광역시 동... / 2006-06-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2106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거제... / 2006-06-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2107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거제... / 2006-06-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2108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거제... / 2006-06-2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5539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강원도 고성군... / 2010-06-09 조직 1건
    NIBRGR0000105707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강원도 고성군... / 2010-06-09 조직 1건
    NIBRGR0000139152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전라남도 완도... 갯바위 / 2013-05-28 조직 1건
    NIBRGR0000653651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사천... / 2022-09-24 조직 1건
    NIBRGR0000657108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사천... / 2022-09-24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64659 Zostera marina L. / 거머리말 경상남도 사천... / 2022-09-24 DNA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Zostera marina L. 거머리말 rbcL rbcL aF-aR 국립생물자원관
    Zostera marina L. 거머리말 rbcL rbcL aF-aR 국립생물자원관
    Zostera marina L. 거머리말 rbcL rbcL aF-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허성회(Sung Hoi Huh),곽석남(Seok Nam Kwak),남기완(Ki Wan Nam) (1998) 연구논문 / 광양만 잘피밭에서 잘피와 착생해조류의 계절 변동. 한국수산과학회지 31 (1) : 56 – 62

      전라남도 광양만 대도 주변해역 ( )
    • 정승진 ( Jeong Seung Jin ) , 유옥환 ( Yu Og Hwan ) , 서해립 ( Seo Hae Lib ) (2004) 연구논문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단각류의 계절변동과 식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7 (2) : 122 – 128

      전라남도 광양만 대도 주변 ( )
    • 김정배 ( Jeong Bae Kim ) , 박정임 ( Jung Im Park ) , 이근섭 ( Kun Seop Lee ) (2009) 득량만에 자생하는 잘피의 분포 현황. 한국수산과학회지 42 (5) : 509 – 517

      전라남도 득량만 일대 ( )
    • Huh S-H, An Y-R (1998) Seasonal variation of crab (Crustacea: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1 : 535 – 544

      광양만 ( 19940000 )
    • Huh S-H,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1 : 806 – 812

      광양만 ( )
    • ( Seok Nam Kwak ) , ( Sung Hoi Hoi ) , ( Hyun Gi Choo ) , ( Song O Lim ) (2002) Feeding habits of the filefish, Rudarius ercodes,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bed in Jindong Boy. 한국어류학회지 14 (2) : 160 – 161

      Jindong Bay ( )
    • 한경호 , 박준택 , 유동재 , 황동식 , 유경희 (2002) 송사리, Oryzias latipes의 산란습성 및 자치어 형태발달. 한국어류학회지 14 (2) : 168 – 168

      Jindong Bay ( )
    • 곽석남 ( Seok Nam Kwak ) , 허성회 ( Sung Hoi Huh ) , 성봉준 ( Bong Jun Seung ) (2008)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산호해마의 식성. 한국어류학회지 20 (2) : 112 – 116

      Dongdae Bay, Korea ( )
    • Jeong SJ, Yu OH, Suh H-L (2009) Reproductive pattern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Gammaropsis japonicus (Crustacea, Amphipoda) on the seagrass Zostera marina of Korea.. Hydrobiologia 623 : 63 – 76

      한국 ( )
    • Kwak, Seok-Nam ; Huh, Sung-Hoi ; Kim, Ha-Won (2009) Growth and Estimated Production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and Unvegetated Tidal Flat of Dongdae Bay. Animal cells and systems 13 (3) : 315 – 321

      Dongdae Bay ( )
    • Huh S-H,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1 : 665 – 672

      광양만 ( 19940100 )
    • Huh S-H,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1 : 372 – 379

      광양만 ( )
    • Huh S-H,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Sebastes inermi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1 : 168 – 175

      광양만 ( 19940100 )
    • Jeong S-J, Yu O-H, Suh H-L (2006) Secondary production of Monocorophium acherusicum (Amphipoda, Corophiidae) in a seagrass bed (Zostera marina)..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39 : 236 – 241

      Namhae-do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