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보리

Hordeum vulgar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보리

Hordeum vulgar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보리

Hordeum vulgar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보리 Hordeum vulgare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ommelinidae (닭의장풀아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Hordeum (겉보리속) > vulgare (보리)
이명정보
[학명이명]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사초목 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며, 높이 40~100cm이고, 마디는 3~5개이다. 잎집은 입구에 잎귀가 있으며, 잎몸은 길이 20~40cm, 너비 10~15mm이다. 잎혀는 1~2mm로 끝은 편평하다. 꽃은 4~5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가지 끝의 마디에서 한쪽에 세 개의 작은이삭이 조밀하게 달려 6줄로 보이며, 길이 5~8cm이다. 작은이삭에는 꽃이 한 개 들어 있다. 포영에는 2개의 맥이 있고, 호영은 까락이 있거나 없다. 밭에 재배하는 두해살이풀이다. 주요 식량자원 식물이며, 어린싹을 소화제로 사용한다. 이스라엘 원산으로 우리나라 전역 및 전 세계 각지에서 재배한다. [저작재산권자]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0건)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14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CYP1A2 억제제 C18H16O7 18103-42-9 344.320
    2
    간보호제 C18H32O16 100676-05-9 504.441
    3
    매개체 방출 억제제 C44H50O24 212271-13-1 962.865
    4
    매개체 방출 억제제 C37H38O18 . 770.696
    5
    매개체 방출 억제제 C38H40O19 . 800.723
    6
    매개체 방출 억제제 C36H36O17 . 740.670
    7
    면역조절제 C24H42O21 3568-31-8 666.583
    8
    면역조절제 C18H32O16 100676-05-9 504.441
    9
    방사선 보호기 C37H38O18 . 770.696
    10
    방사선 보호기 C44H50O24 212271-13-1 962.865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27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ew Bacillus glycinifermentans strain from date palm rhizosphere and its effect on barley seeds under heavy metal stress. [Mayssa Belhassan, Ameny Farhat, Hanen El Abed, Zayneb Chaabeen, Fériel Bouzid, Amine Elleuch, Imen Fendri, Bassem Khemakhem] Brazilian journal of microbiology : [publication of the Brazili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24
    2 Analysis of multiple biomarkers revealed the size matters of Cu particles for barley response under foliar exposure. [Izabela Jośko, Magdalena Kusiak, Magdalena Sozoniuk, Mikołaj Feculak, Kevin C-W Wu, Melissa Fitzgerald, Mohamed Salem Alyafei, Mohamed Salah Sheteiwy]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4
    3 Lipid signaling and proline catabolism are activated in barley roots (Hordeum vulgare L.) during recovery from cold stress. [Micaela Peppino Margutti, Ana Carolina Vilchez, Lucas Sosa-Alderete, Elizabeth Agostini, Ana Laura Villasuso]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 PPB 2024
    4 Exploring the dynamics of bioactive metabolites changes in barley grains (Hordeum vulgare L.) during roasting: Insights from UPLC-QqQ-MS/MS analysis combined to chemometrics. [Eman Shawky, Samar M Bassam, Hanan S Marzouk, Doaa A Ghareeb, Samah M El Sohafy] Food research international (Ottawa, Ont.) 2024
    5 Dissecting the resilience of barley genotypes under multiple adverse environmental conditions. [Ahmed M Abdelghany, Sobhi F Lamlom, Mahmoud Naser] BMC plant biology 2024
    6 Indian Gooseberry and Barley Sprout Complex Prevent Oxidative Stress and Photoaging of the Skin in Ultraviolet B-Irradiated SHK-I Mice. [Minhee Lee, Dakyung Kim, Mi-Ryeong Park, Soyoung Kim, Jong-Lae Kim, Jong Wook Lee, Jinseong Yang, Ok-Kyung Kim, Jeongmin Lee] Journal of medicinal food 2024
    7 Unravelling the combined impacts of drought and Cu in barley plants - double trouble? [Maria Martins, Licínio Oliveira, Bruno Sousa, Inês Maria Valente, José António Rodrigues, Manuel Azenha, Cristiano Soares, Ruth Pereira, Fernanda Fidalgo] Plant physiology and biochemistry : PPB 2024
    8 Phytosiderophore pathway response in barley exposed to iron, zinc or copper starvation. [David Aleksza, Andreea Spiridon, Mika Tarkka, Marie-Theres Hauser, Stephan Hann, Tim Causon, Nicolas Kratena, Christian Stanetty, Timothy S George, Joanne Russell, Eva Oburger] Plant science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plant biology 2024
    9 Trichoderma cf. asperellum and plant-based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initiat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modifications in Hordeum vulgare L. against Bipolaris sorokiniana. [Rabab A Metwally, Shereen A Soliman, Hanan Abdalla, Reda E Abdelhameed] BMC plant biology 2024
    10 Linking the humification of organic amendments with size aggregate distribution: Insights into molecular composition using FT-ICR-MS. [Ho Gyeong Chae, Andrew J Margenot, Jong-Rok Jeon, Min Sung Kim, Kyoung-Soon Jang, Ho Young Yoon, Pil Joo Kim, Jeong Gu Lee]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2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재배한 보리 낱알로 감주를 담가 황달이 있을 때 마신다.
    2 구전 약용 새하얀 보리 이삭을 옻 오른데 사용한다.
    3 구전 약용 보리를 단술로 해 먹으면 당뇨 치료에 효과가 있다.
    4 구전 생활용 보리쌀(보리) 씻은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릿결이 좋아진다.
    5 구전 약용 계절에 관계없이 보리와 쌀로 엿기름(보리)을 만들어 물에 삭혀 체했을 때 먹는다.
    6 구전 약용 엿기름(보리)을 담근 물을 체했을 때 마신다.
    7 구전 약용 엿기름(보리)을 갈아서 식혜를 만든 후 가라앉은 가루를 말려 두었다 배가 아플 때 따뜻한 물에 한 숟가락 타서 먹는다.
    8 구전 약용 겨울에 야생에서 채취한 보리, 파의 뿌리를 함께 삶은 물을 소아가 경기할 때 먹인다.
    9 구전 약용 인동, 엿질금(보리), 밤(밤나무)을 함께 박 속에 넣어 달여서 나온 시커먼 물을 홍역에 걸렸을 때 먹는다.
    10 구전 약용 재배한 겉보리(보리)를 볶아서 물에 달여서 먹으면 해열에 좋다.
  • 표본 (총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565732 Hordeum vulgare L." / 보리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9-06-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36025 Hordeum vulgare L." / 보리 경상남도 거창... / 2019-06-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81053 Hordeum vulgare L." / 보리 경상남도 함안... / 2020-06-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38280 Hordeum vulgare L." / 보리 전라남도 신안... / 2022-04-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39113 Hordeum vulgare L." / 보리 / 2021-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39180 Hordeum vulgare L." / 보리 / 2021-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41196 Hordeum vulgare L." / 보리 대한민국 / 1995-05-1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645858 Hordeum vulgare L. / 보리 전라남도 신안... / 2022-04-15 조직 1건
    NIBRGR0000648940 Hordeum vulgare L. / 보리 전라남도 신안... / 2022-04-15 DNA 1건
    NIBRGR0000689471 Hordeum vulgare L. / 보리 경상북도 포항... / 2024-05-17 조직 1건
    NIBRGR0000689785 Hordeum vulgare L. / 보리 경상북도 포항... / 2024-05-17 DNA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Hordeum vulgare L. 보리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기열(Ki Yeol Lee),안기수(Ki Su Ahn),강효중(Hyu Jung Kang),박성규(Sung Kyu Park),김태수(Tae Su Kim) (2001) 벼먹노린재 ( Scotinophara lurida ) 의 생활사와 기주식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0 (4) : 309 – 313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충북농업기술원 ( 20010702 )
    • 유창연 , 정일민 ( Chang Yeon Yu , Ill Min Chung ) (1997) 연구보문 : 보리 , 수수의 식물체 추출물이 잡초의 발아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6 (1) : 67 – 71

      강원도 춘천시 효자2동 강원대학교 실습농장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