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ommelinidae (닭의장풀아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Miscanthus (억새속) > sacchariflorus (물억새)
이명정보
[원기재명]
Imperata sacchariflora Maxim.
[학명이명]
Miscanthus sacchariflorus var. gracilis Y. N. Lee (가는잎물억새)
Miscanthus sacchariflorus f. latifolius Adati (넓은잎물억새)

사초목 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20~250cm이고, 털이 없다. 잎은 아래쪽에서 줄기를 둘러싸며, 선형으로 길이 30~70cm, 폭 1~3cm,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날카롭다. 꽃은 9월에 피는데 이삭꽃차례산방꽃차례처럼 달린다. 처음에는 갈색이나, 은백색으로 변한다. 전체 꽃차례는 길이 10~20cm다. 작은이삭은 대가 있는 것과 없는 것 한 쌍이 마디마다 달리고,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5~6mm, 끝은 뾰족하며, 아래쪽에 길이 10~15mm의 털이 있다. 포영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막질이며, 3개의 줄이 있다. 호영은 피침형, 까락은 없거나 매우 짧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강가나 습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억새에 비해 뿌리줄기가 길며, 줄기는 한 대씩 나고, 잎은 조금 부드러우며, 소수에 까락이 없으므로 구분된다. 가축 먹이로 이용한다. 큰물억새, 큰억새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극동,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동북지방),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동시베리아) [2]

    전국 [3]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Profiling of Phenolic Compounds Composition, Morphological Trai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iscanthus sacchariflorus L. Accessions Ghimire, Bimal Kumar;Sacks, Erik J.;Kim, Seung Hyun;Yu, Chang Yeon;Chung, Ill Min; Agronomy 2021
    2 Screening of Functional Compound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from Perennial Herbaceous Crops Ostolski, Mateusz;Adamczak, Marek;Brzozowski, Bartosz;Stolarski, Mariusz Jerzy; Agriculture 2021
    3 Screening of Allelochemicals in <i>Miscanthus sacchariflorus</i> Extracts and Assessment of Their Effects on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ommon Weeds Ghimire, Bimal Kumar;Hwang, Myeong Ha;Sacks, Erik J.;Yu, Chang Yeon;Kim, Seung Hyun;Chung, Ill Min; Plants 2020
    4 Exogenous malic acid alleviates cadmium toxicity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through enhancing photosynthetic capacity and restraining ROS accumulation Guo, Haipeng;Chen, Houming;Hong, Chuntao;Jiang, Dean;Zheng, Bingsong;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017
    5 Can the exceptional chilling tolerance of C4 photosynthesis found in Miscanthus × giganteus be exceeded? Screening of a novel Miscanthus Japanese germplasm collection. [Katarzyna Głowacka, Uffe Jørgensen, Jens B Kjeldsen, Kirsten Kørup, Idan Spitz, Erik J Sacks, Stephen P Long] Annals of botany 2015
    6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of <i>Miscanthus </i><i>sacchariflorus</i> to Salt Stress Hong, Chun Tao;Guo, Hai Peng;Fang, Jia;Ren, Wei;Wang, Teng Fei;Ji, Meng Cheng;Zheng, Bing Song; Advanced materials research : AMR 201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어류반찬(魚品) - 복[河豚] 또 : 삶을 때, 그을음이 속에 떨어지는 것을 꺼린다. 형개(荊芥)․국화(菊花)․도라지[桔梗]․감초(甘草)․부자(附子)․오두(烏頭)와는 반반이고, 물억새 순[荻芛]․쑥․독채(禿菜)146)가 적합하며, 감람(橄欖)․감자(甘蔗: 사탕수수)․노근(蘆根: 갈대 뿌리)․분즙(糞汁)을 겁을 낸다. 복을 먹고 1일 안에 탕약(湯藥)을 먹어서는 안 된다. 아마도 그 약에 형개가 들어있을까 염려되어서일 것이다. 이 두 가지(복과 형개) 독에 걸린 사람은 보단(寶丹)이나 감람(橄欖)이나 용뇌(龍腦)를 물에 담그면 모두 해독된다고 세상에 전해진다. 또 한 가지 방법은 괴화(槐花: 회화나무 꽃)만 약간 볶아서, 말린 연지(臙脂)와 같은 분량으로 함께 찧어 가루로 만들어 물에 타서 마시면[灌] 잘 듣는다.
    2 문헌 식용 어류반찬(魚品) - 복[河豚] 이시진(李時珍)이 ‘단양(丹陽) 선성(宣城) 사람들이 모두 복을 먹지만 배추[菘菜]․쑥[蔞蒿]․물억새 싹[荻芽] 이 세 가지를 삶아 먹었으므로 죽은 사람을 보지 못했다. ’ 하였다. 남쪽 사람들이 말하기를 ‘비늘․아가미․쓸개가 없거나, 눈이 멀거나 튀어나온 것은 모두 독이 있다.’ 하였는데, 복어는 이중 두어 가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꺼리는 것이다. 이 두 종류 중에 색깔이 엷은 흑색이고 점무늬가 있는 것이 ‘반어(班魚)’라 하는데 독이 가장 강하다. 혹 말하기를 ‘3월 후에는 반어를 먹을 수 없다.’ 하였다
    3 문헌 생활용, 기타 거적 짜는 법[作薦法] 골[菅]․부들[蓀]․글희영[菖蒲芒]. 완(芫)은 총포(蔥蒲)*용향, 향포(香蒲)*라 하고, 무척손(無脊蓀)은 즐패라 하며, 완적(薍荻)은 달, 담가(葭菼)는 갈이라고 한다. 또 개미취[菀]*탱알*는 초립(草笠))을 짤수 있는데 영남(嶺南)에서 자란다. 또 양립(䉴笠)*늘*을 만든다. 감탕나무[杻] 껍질을 산마(山麻)라고 한다. 또 쟈오락, 고(菰)*줄*, 삼릉포(三稜蒲)*왕고새*가 있다.
  • 표본 (총283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41084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상남도 하동... / 2005-10-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85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상남도 하동... / 2005-10-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86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상남도 하동... / 2005-10-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88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전라남도 영광... / 2006-09-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90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전라남도 담양... 영산강 / 2003-09-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91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전라남도 담양... 영산강 / 2003-09-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92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상북도 구미... / 2003-08-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99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상북도 구미... / 2003-08-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110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충청남도 아산... 고령산 / 2006-07-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197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경기도 여주시... / 2002-09-1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1284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대구광역시 달... 낙동강 / 2009-10-15 조직 1건
    NIBRGR0000078074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전라북도 고창... 인천 / 2008-11-01 조직 1건
    NIBRGR0000103641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강원도 춘천시... / 2010-09-16 조직 1건
    NIBRGR0000103649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강원도 춘천시... / 2010-09-16 조직 1건
    NIBRGR0000103655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강원도 춘천시... / 2010-09-16 조직 1건
    NIBRGR0000119507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강원도 영월군... / 2011-10-08 조직 1건
    NIBRGR0000119525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충청북도 진천... / 2011-10-11 조직 1건
    NIBRGR0000119671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충청북도 보은... / 2011-10-04 조직 1건
    NIBRGR0000126309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충청남도 서천... / 2012-09-03 조직 1건
    NIBRGR0000126311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 물억새 충청남도 서천... / 2012-09-11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Hack. 물억새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유영현 ; 이명철 ; 김종국 (2015) 낙동강 지류의 하천 습지에 자생하는 수생식물에서 분리된 내생균류의 다양성.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43 (1) : 13 – 19

      경북 군위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