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학명이명]
Miscanthus sinensis f. gracillimus (Hitchc.) Ohwi (가는잎억새)
Miscanthus sinensis f. variegatus (Beal) Nakai (얼룩억새)
Miscanthus sinensis f. purpurascens (Andersson) Nakai
[국명이명]
참억새
사초목 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뿌리줄기는 짧으나 굵고,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모여나며, 높이 100~200cm이다. 잎은 아래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싸며, 선형, 길이 20~60cm, 폭 0.6~2.0cm, 가장자리가 날카롭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가운데 잎줄은 흰색이다. 꽃은 9~10월에 이삭꽃차례가 산방꽃차례처럼 달리며,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은 9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길이 20~30cm이며, 까락이 달린다. 이삭꽃차례 가지는 길이 15~30cm, 10~25개다. 작은이삭은 대가 없는 것과 있는 것 1쌍이 마디마다 달리고, 길이 5~7mm, 아래쪽에 길이 7~12mm의 털이 있다. 포영은 조금 딱딱하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와 끝이 막질이다. 호영은 길이 8~15mm의 까락이 난다. 산이나 평지의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습지에 분포하는 물억새는 뿌리줄기가 길고, 줄기는 1대씩 나며, 잎은 조금 부드러우므로 다르다. 소수 기부의 털이 연한 자색을 띠는 종류만을 억새로, 그렇지 않은 종류를 참억새로 구분하기도 한다. 뿌리는 약용하며, 줄기와 잎은 지붕을 이는 데 쓴다. 참억새, 참진억새, 고려억새, 흑산억새, 자주억새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타이완,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3]
일본, 타이완, 중국 동북 지방, 러시아 극동 지방 [4]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9~10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7건)
-
- 원작자 : 김진석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18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4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5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6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7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10 항바이러스 IF assay SARS-CoV-2 IF assay 논문 (총 3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nalysis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indigenous Mirabilis jalapa, Solanum nigrum and Aloe vera Nisar, Rameez Pure and applied biology 2023 2 Screening of Functional Compounds i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from Perennial Herbaceous Crops Ostolski, Mateusz;Adamczak, Marek;Brzozowski, Bartosz;Stolarski, Mariusz Jerzy; Agriculture 2021 3 Sterilization procedures and Plant Preservative Mixture on in vitro establishment of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da Silva Ledo Ana;Leite do Amaral Adriane;M. Jenderek Maria;Harrison Melanie;K. Manter Daniel; Plant Cell Culture & Micropropagation 2020 특허 (총 33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PET CHEW CONTAINING MISCANTHUS GRASS Glen S. AXELROD|Ajay GAJRIA|Mary Louise FETTER 2022-07-28 2 YEAST STRAINS EXHIBITING PROLONGED PERSISTENCE DURING A PLURALITY OF FERMENTATION CYCLES Emily Agnes Stonehouse|John McBride|Justin Van Rooyen|Zach Losordo|Petra Deane 2022-06-17 3 REPLICATION OF UNDIFFERENTIATED CELLS IN A WEIGHTLESS ENVIRONMENT, USES THEREOF AND FACILITY FOR SUCH REPLICATION AND THE ACCELERATION OF THE EVOLUTION OF PLANTS AND ANIMALS John Wayne Kennedy 2022-06-09 4 METHODS AND SYSTEMS FOR TARGETED MODIFICATION OF PLANT GENES VIA MERISTEM MODULATION AND PLANTS HAVING ENGINEERED MERISTEM MODIFICATIONS AND OTHER MUTATIONS Brian G. Ayre|Roisin Carrie McGarry 2022-05-20 5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RATING MALE STERILE PLANTS DEWEY, Ralph|JANTZ, Derek|SMITH, James Jefferson|TOMBERLIN, Ginger H.|MORRIS, John|MATTHIADIS, Anna|SHOOP, Wendy 2022-04-22 6 DOWN-REGULATION OF ENDOGENOUS GENES BOSCH TUBERT, Maria Fátima|JIMENEZ CENZANO, Verónica|GARCIA MARTINEZ, Miquel|CASANA LORENTE, Estefanía|HRABE DE ANGELIS, Martin Matthias|PRZEMECK, Gerhard Kurt Herbert|AMEND, Anna-Lena 2022-01-27 7 NOVEL HYDROXYPHENYLPYRUVATE DIOXYGENASE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DALE, Richard|HORTA SIMOES, Maria Andreia|BLAIN, Rachael Elizabeth|CALLAGHAN, Fiona 2021-11-17 8 Carbon Fixation Systems in Plants and Algae Richard Thomas Sayre|Somya S. Subramanian|Natalia Friedland 2021-05-11 9 Transcriptional Regulation for Improved Plant Productivity Madana M.R. Ambavaram|Mariya Somleva 2021-03-24 10 ゲノムを調節するための改善された方法及び組成物 クリーバー, スティーブン|スタインバーグ, バレット イーサン|ルーベンス, ジェイコブ ローゼンブラム|シトリク, ロバート ジェイムズ|サロモン, ウィリアム エドワード|ワン, ジー ジュン 2021-03-04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야생에서 채취한 삐(억새)의 꽃을 까서 먹는다. 2 구전 약용 산에서 채취한 억새 뿌리를 달인 물을 오줌이 잘 안 나올때 섭취한다. 3 구전 생활용 억새의 뿌리를 풀 먹이는 솔로 만들어 삼베 풀 먹일 때 사용한다. 4 구전 생활용 가을에 갈대(억새)를 베어 말린 후 초가집 지붕을 얹으면 오래 간다. 5 구전 생활용 가을에 산과 들에서 억새 뿌리를 캐서 말렸다가 베 짤때 사용하는 '솔'을 만든다. 6 구전 생활용 가을에 억새를 채취하여 초가지붕을 만든다. 7 구전 생활용 가을에 억새 지상부를 채취하여 띠 지상부와 함께 초가지붕을 엮을 때 사용한다. 8 문헌 문화용 남제(南齊) 도홍경(陶私景)의 글씨 - 도홍경의 자는 통명(通明)이고 단양(丹陽) 사람이다. 제나라 무제(武帝) 영 명(永明: 483-493) 연간에 벼슬을 내놓고 구곡삼모산(句曲드芽山)255〉에 살며 자호를 화양은거(華陽隱居)라 하였다. 초서와 예서를 잘 썼으며 종요(鍾德)와 왕희지로 모범을 삼아 노력하며 뜻을 돈독히 하였다. 종이와 붓이 없으면 억새[歎]를 붓 삼아 재[灰]에다 그림을 그리면서도 게을리 한 적이 없었다. 죽은 뒤에 시호(認號)를 정백(貞白)이라 하였다. 9 문헌 생활용, 기타 망초(芒草: )는 모피(芽皮: 띠 껍질)와 비슷하다. 새끼를 꼬거나 짚신을 삼을 수 있다. 그 줄기와 이삭은 쓰는 비를 만들면 된다. 일찍이 그 낙엽을 거두어 시루에 까는 발을 만들었더니 해가 오래 되어도 썩지 않았다. 백성들은 물고기 낚시줄로 이것으로 사용한다고 들었다. 10 구전 농업 억새는 소가 잘 먹는 먹이임 -
표본 (총1,23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33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북도 문경... 조령산 / 2008-08-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805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북도 고창... / 2007-09-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834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북도 고창... / 2007-09-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988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13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남도 양산... 천성산 / 2008-09-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24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북도 고창... / 2007-09-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418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북도 고창... / 2007-09-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8445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강원도 홍천군... 매화산 / 2005-10-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7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북도 상주... / 2004-10-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41071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북도 상주... / 2004-10-0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71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830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52831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DNA 1건 NIBRGR0000067938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전라남도 완도... 상황봉 / 2008-03-22 DNA 1건 NIBRGR0000068163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 2007-10-14 조직 1건 NIBRGR0000071281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2009-10-16 조직 1건 NIBRGR0000071374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 2007-10-14 조직 1건 NIBRGR0000072808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충청북도 제천... / 2005-09-24 조직 1건 NIBRGR0000077272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대전광역시 동... 식장산 / 2007-10-27 조직 1건 NIBRGR0000081064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10-08-26 조직 1건 NIBRGR0000084225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 억새 인천광역시 강... . / 2009-09-10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억새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유천인 ; 이지열 ; 이송규 ; 남성우 (1980) 송용(松茸)의 증산(增産)에 관한 연구(硏究).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8 (1) : 7 – 11
영월 ( ) -
Choi, Kyung-Dal ; Ka, Kang-Hyeon ; Lee, Youn-Su ; Shim, Jae-Ouk ; Lee, Sang-Sun ; Lee, Tae-Soo ; Lee, Min-Woong (2000)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Paekryung and Daecheong Islands. Mycobiology 28 (3) : 133 – 141
Jinchondong ( ) Sagosdong ( ) Joongwhadong ( ) -
박진영(Park Jin Young),원병오(Won Pyong Oh) (1993) 단보 : 해조류 번식지의 번식실태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101 – 105
칠발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