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큰조아재비 Phleum pratense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Commelinidae (닭의장풀아강) > Cyperales (사초목) > Poaceae (벼과) > Phleum (산조아재비속) > pratense (큰조아재비)

사초목 벼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줄기가 모여나고, 높이 50~100cm이다. 잎몸은 길이 4~20cm이고, 너비 3~9m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1~6mm이다. 꽃은 6~7월에 핀다. 전체 꽃차례는 가지 끝에 작은이삭이 원기둥 모양으로 모여 달리고, 길이 6~15cm이다. 작은이삭은 납작하고, 길이 3.0~3.8mm이며, 하나의 꽃이 들어 있다. 두 포영은 모양과 크기가 같고, 길이 3.0~3.8mm이고, 막질이며, 맥이 3개이고, 가운데 맥 위에는 긴 털이 줄지어 나고, 끝은 1~2mm의 까락으로 된다. 호영은 5~7개의 맥이 있고, 표면에 짧은 털이 있다. 내영은 맥이 2개이고, 호영과 길이가 같다.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목초로 도입되어 재배하던 것이 야생화하여 길가와 풀밭에서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종은 작은조아재비와 산조아재비에 비해 전체 꽃차례를 비롯한 식물체의 크기가 크므로 구별된다. 목초로 재배하며, 뿌리를 진통제로 사용한다. 지모시라고도 부른다. 유럽과 시베리아 원산이며 세계적으로 중국, 중동 등에도 귀화하여 분포하고, 우리나라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등에 자란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유럽, 중동 [2]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제주도 [2]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8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23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건선 치료제 C28H42O 76026-18-1 394.639
    2
    방사선 보호기 C21H20O10 125564-70-7 432.383
    3
    방사선 보호기 C19H28O4 . 320.428
    4
    산화질소 길항제 C11H18O3 6067-11-4 198.261
    5
    세포 증식 억제 C21H20O10 125564-70-7 432.383
    6
    유전독성 C21H20O10 125564-70-7 432.383
    7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8H42O 76026-18-1 394.639
    8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21H20O10 125564-70-7 432.383
    9
    종양 괴사 인자 알파 방출 억제제 C11H18O3 6067-11-4 198.261
    10
    항돌연변이 C21H20O10 125564-70-7 432.383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Symbiotic efficiency of Rhizobium leguminosarum sv. trifolii strains originating from the subpolar and temperate climate regions. [Monika Janczarek, Marta Kozieł, Paulina Adamczyk, Katarzyna Buczek, Michał Kalita, Anna Gromada, Aleksandra Mordzińska-Rak, Cezary Polakowski, Andrzej Bieganowski] Scientific reports 2024
    2 Effect of rhizobium and gibberellin on the production of hydroponic green forage of red clover (Trifolium pratense L.) variety quiñequeli. [M Castrejón Valdez, J De La Cruz Quispe, V E Mendoza Común, L A Sumarriva-Bustinza, L A De La Cruz-Rojas, J M More López, C E Espinoza-Quispe, E Rojas-Felipe, C M Caira Mamani, R Yaulilahua-Huacho] Brazilian journal of biology = Revista brasleira de biologia 2023
    3 Phytochemical Composition of Different Red Clover Genotypes Based on Plant Part and Genetic Traits. [Mira Mikulić, Milica Atanacković Krstonošić, Nebojša Kladar, Sanja Vasiljević, Snežana Katanski, Zlatica Mamlić, Dušan Rakić, Jelena Cvejić] Foods (Basel, Switzerland) 2023
    4 Neuroprotective mechanisms of red clover and soy isoflavones in Parkinson's disease models. [Aurélie de Rus Jacquet, Abeje Ambaw, Mitali Arun Tambe, Sin Ying Ma, Michael Timmers, Mary H Grace, Qing-Li Wu, James E Simon, George P McCabe, Mary Ann Lila, Riyi Shi, Jean-Christophe Rochet] Food & function 2021
    5 <i>Trifolium pratense</i> L. (red clover) extract and doxorubicin synergistically inhibits proliferation of 4T1 breast cancer in tumor-bearing BALB/c mice through modulation of apoptosis and increas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related pathways. [Mohsen Akbaribazm, Mohammad Rasoul Khazaei, Mozafar Khazaei] Food science & nutrition 2020
    6 Nitrogen and fatty acid rumen metabolism in cattle offered high or low polyphenol oxidase red clover silage. [M R F Lee, R Fychan, J K S Tweed, N Gordon, V Theobald, R Yadav, A Marshall] Animal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animal bioscience 2019
    7 Intra-Seasonal Initiation of the SQ-Standardised Grass Allergy Immunotherapy Tablet Routinely Applied by Allergy Specialists and General Practitioners with Experience in Treatment of Allergy: A Non-Interventional Observational Study. [Jan-Alexander Schwab, Hendrik Wolf, Jörg Schnitker, Eike Wüstenberg] Pulmonary therapy 2018
    8 Effects of red clover isoflavones on tall fescue seed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vitro. [Emily A Melchior, Jason K Smith, Liesel G Schneider, J Travis Mulliniks, Gary E Bates, Zachary D McFarlane, Michael D Flythe, James L Klotz, Jack P Goodman, Huihua Ji, Phillip R Myer] PloS one 2018
    9 Pollen-Associated Microbiome Correlates with Pollution Parameters and the Allergenicity of Pollen. [Andrea Obersteiner, Stefanie Gilles, Ulrike Frank, Isabelle Beck, Franziska Häring, Dietrich Ernst, Michael Rothballer, Anton Hartmann, Claudia Traidl-Hoffmann, Michael Schmid] PloS one 2016
    10 The effects of PPO activity on the proteome of ingested red clover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nutrition of grazing cattle. [E H Hart, L A Onime, T E Davies, R M Morphew, A H Kingston-Smith] Journal of proteomics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16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38241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서울특별시 ... / 2002-05-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6260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영취산 / 2003-09-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1745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서울특별시 마... / 2004-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9238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인천광역시 ... / 2002-05-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031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경기도 연천군... 동막골 / 2007-07-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871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경기도 연천군... 동막골 / 2007-07-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0872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경기도 연천군... 동막골 / 2007-07-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8652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경기도 포천시... 지장산 / 2008-06-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8653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경기도 포천시... 지장산 / 2008-06-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53623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화천군... 병풍산 / 2008-07-1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1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4045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 / 2009-07-15 조직 1건
    NIBRGR0000100347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평창군... 금당산 / 2009-06-18 조직 1건
    NIBRGR0000100703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평창군... 금당산 / 2009-06-18 DNA 1건
    NIBRGR0000164234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평창군... / 2014-07-22 조직 1건
    NIBRGR0000597438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태백시... / 2018-08-09 조직 1건
    NIBRGR0000597444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양구군... / 2018-08-16 조직 1건
    NIBRGR0000597455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영월군... / 2018-08-23 조직 1건
    NIBRGR0000601861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태백시... / 2018-08-09 종자 1건
    NIBRGR0000601867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양구군... / 2018-08-16 종자 1건
    NIBRGR0000601878 Phleum pratense L. / 큰조아재비 강원도 영월군... / 2018-08-23 종자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hleum pratense L. 큰조아재비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