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Bunge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idae (백합아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Allium (부추속) > macrostemon (산달래)
이명정보
[원기재명]
Allium grayi Regel
[학명이명]
Allium chanerii H. Lév.

햇볕이 잘 드는 저지대 풀밭, 숲 가장자리 또는 산기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줄기는 구형으로 지름 1.2~2.8cm인데, 때때로 조그만 비늘줄기가 달리기도 하며, 백색 막질이 덮고 있다. 기다란 노끈처럼 생긴 잎은 뿌리에서 3~5장이 달리며, 길이 21~55cm이며, 잎집은 17~38cm이고, 잎을 자른 면은 반원형이다. 꽃은 5~6월에 뿌리에서 곧추서서 나온 길이 40~80cm의 꽃줄기 끝에 둥근 산형꽃차례로 하얀색 또는 연한 분홍색으로 핀다. 꽃자루는 길이 1.5~2.0cm이다. 화피는 6장이며, 난상 장타원형이며, 길이는 4~5mm, 너비는 1.5~2.0mm이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길고, 수술대 사이에 돌기가 있다. 씨방은 녹색이며, 열매는 삭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몽골, 타이완, 러시아 극동 지방, 일본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달래에 비해 전체적으로 크나, 잎은 꽃줄기보다 짧고 자른 면이 반원형인 점이 다르다. 또한 비늘줄기에 옆에 조그만 비늘줄기가 달리며, 꽃줄기살눈이 달리는 점에서 한국산 부추속 식물들과 구분된다. 전초를 식용 및 약용한다. 돌달래, 원산부추, 큰달래, 달래, 달룽게라고도 부른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몽골, 대만, 러시아 극동 지방, 일본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5~6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76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산화질소 길항제 C33H56O12 918967-85-8 644.798
    2
    산화질소 길항제 C39H64O16 . 788.925
    3
    산화질소 길항제 C33H54O12 918967-86-9 642.782
    4
    산화질소 길항제 C45H76O20 159935-09-8 937.083
    5
    산화질소 길항제 C39H62O14 266997-36-8 754.910
    6
    산화질소 길항제 C45H74O19 947734-45-4 919.068
    7
    산화질소 길항제 C45H74O20 162413-62-9 935.068
    8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45H74O19 947734-45-4 919.068
    9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45H74O18 151215-11-1 903.069
    10
    전사인자 NF 카파 B 억제제 C45H72O20 162413-63-0 933.052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Deciphering the benefits and intensity levels of primary metabolites from Allium macrostemon Bunge and Allium chinense G. Don Qin, Zifei;Li, Yuan;Liu, Dongmei;Hua, Yuzhuo;Lv, Yuandong;Zhang, Xiaojian;Fan, Cailian;Yang, Jing; Chinese medicine 2024
    2 Allium macrostemon Bunge. exerts analgesic activity by inhibiting NaV1.7 channel Yang, Xiaopei;Dai, Yuwen;Ji, Zhilin;Zhang, Xiangyi;Fu, Wei;Han, Chaochi;Xu, Yunsheng;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3 Antioxidant activity of organic sulfides from fresh <i>Allium macrostemon</i> Bunge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i>Caenorhabditis elegans</i> Wu, Zhong‐Qin;Li, Ke;Ma, Jin‐Kui;Huang, Qing;Tian, Xing;Li, Zong‐Jun;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2020
    4 Effects of Xuezhitong in Patients with Hypertriglyceridemia: a Multicentre, Randomized, Double-Blind, Double Simulation, Positive Drug and Placebo Parallel Control Study. [Wenhao Jia, Yan Li, Jie Wan, Xiaoyun Cui, Jinjin Lu, Jing Liu, Dong Li, Lei Li, Ting Zou, Junpin Ding, Qian Lin] Cardiovascular drugs and therapy 2020
    5 Vasodilation effect of volatile oil from Allium macrostemon Bunge are mediated by PKA/NO pathway and its constituent dimethyl disulfide in isolated rat pulmonary arterials Han, C.;Qi, J.;Gao, S.;Li, C.;Ma, Y.;Wang, J.;Bai, Y.;Zheng, X.; Fitoterapia 2017
    6 Allimacrosides A-E, new steroidal glycosides from Allium macrostemon Bunge Kim, Y.S.;Suh, W.S.;Park, K.J.;Choi, S.U.;Lee, K.R.; Steroids 2017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삼화자방》 부인의 음부에 갑자기 부스럼이 나고 찌르는 듯이 아플 때의 치료: 소산·해근(염교)·유근을 각각 1근씩 잘게 썰어 술 3되를 넣고 달여 열이 오를 때 쐬고 씻는다.
    2 문헌 약용 《성혜방》 자창이 오래도록 차도가 없을 때의 치료: 납월의 돼지기름 1되와 가루 1냥, 해백(달래) 한 움큼을 함께 달여서 해백이 누렇게 되면 오래된 비단에 발라서 하루에 2번 붙인다.
    3 문헌 농사용 염교는 희고 부드러운 기름진 땅에 심는 것이 좋다. 3차례 밭갈이 해주는 것이 좋다. 2~3월에 심고 8~9월에도 역시 심을 수 있다. 대개 7~8개의 줄기가 한 포기가 된다. 염교는 3월 잎이 파랗게 되면 곧 파내어 볕에 말린 다음 새끼 친 것 등을 가려 없애고 굳센 뿌리를 남겨둔다. 그러나 축축한 것, 여윈 것, 가는 것은 살찌지 않는다. 잎은 잘라낼 필요가 없다.정월 상신일(上辛日 : 매달 초여드레)에 염교 심은 이랑 안의 마른 잎을 깨끗이 걷어내고 물을 대고 거름을 넣는다.
    4 문헌 약용 해백(薤白)이나 구백(韭白)을 부드럽게 만들어 끈으로 묶어 삼키는데 물고기 가시가 걸려있는 곳까지 넣었다가 당긴다.
    5 문헌 식용 야산(野蒜) - 야산(野蒜)달래 「산림경제」 : 달래는 잎이 나올 때 캐어다가 석채(石菜: 돌나물)와 함께 김치 속에 넣는다. 사람을 손상시킨다.
    6 문헌 식용 소산(小蒜) - 「산림경제」 : 소산은 독이 조금 있으나 속을 따뜻하게 하고 밥을 소화시킨다.
    7 문헌 약용 귀염증을 치료하는 방법 - 또 복룡간가루 2전을 우물물에 타서 먹이고, 다시 가루를 콧속에 넣어준다. 또 생부추즙을 입 속 및 귀나 코에 부어준다. 해백즙을 부어도 된다.
    8 문헌 약용 뼈가 목에 걸렸을 때 치료하는 방법 - 모든 뼈가 목에 걸려 내려가지 않을 때는 해백(염교 뿌리)을 씹어 부드럽게 만들고, 노끈으로 중간을 매어 삼켜 뼈가 걸린 곳에 도달한 다음에 끌어내면 바로 따라 나온다. 또 구백을 위의 방법대로 차(茶)로 삼켰다가 끌어내도 나온다. 또 우근(쇠 힘줄)이나 녹근(사슴의 힘줄)을 두드려 부드럽게 만들어 탄환처럼 만들고, 힘줄 한 끝을 잡고 삼켜 뼈가 걸린 곳에 이르기를 기다렸다가 천천히 끌어내면 걸린 뼈가 힘줄에 붙어 즉시 나온다.
    9 문헌 약용 여러 가지 물건을 잘못 삼켰을 때 치료하는 방법 - 잘못하여 쇠못이나 화살촉을 삼켰을 때, 돼지고기 · 양고기나 살지고 기름진 고기 및 완두 · 아욱 등 채소류를 많이 먹이면, 반드시 저절로 고기나 채소에 싸여서 대변으로 나온 다. 비녜 · 가락지 · 대나무를 삼켰을 때에, 볕을 쬐어 시들고 누렇게 된 해백(염교 흰 밑)을 푹 삶고 자르지 말고 크게 한 묶음 먹인다. 또 엿을 몇 근 먹이면 비녀 · 가락지 · 대나무를 싸서 나온다.
    10 문헌 약용 유연이 귀에 들어갔을 때 치료하는 방법 - 우유를 귓속에 떨어뜨리면 바로 나온다. 또 달팽이즙이나 소산의 즙을 부어 넣어도 즉시 나온다. 또 지렁이를 파 잎 속에 넣으면 물로 변하는데 귀에 떨어뜨리면 그 벌레 역시 물로 변한다.
  • 표본 (총50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815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전라남도 고흥... 내매물도 / 2008-06-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81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전라남도 고흥... 내매물도 / 2008-06-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11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전라남도 고흥... 외매물도 / 2008-06-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273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전라남도 고흥... 오동도 / 2008-06-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08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강원도 홍천군... / 2006-08-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11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충청북도 음성... 가섭산 / 2000-05-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18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충청북도 제천... / 2006-05-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21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경상남도 합천... / 2006-05-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23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전라북도 남원... / 2006-05-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92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충청북도 괴산... / 2006-09-1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8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9379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충청남도 태안... 학암포 / 2009-07-03 조직 1건
    NIBRGR0000088603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인천광역시 옹... 대청도 / 2010-06-11 조직 1건
    NIBRGR000012091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경상북도 김천... / 2011-05-28 조직 1건
    NIBRGR000012665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강원도 태백시... 태백산 / 2012-09-07 조직 1건
    NIBRGR0000167973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서울특별시 영... 밤섬 / 2014-05-21 조직 1건
    NIBRGR000038879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강원도 정선군... / 2016-07-19 종자 1건
    NIBRGR0000412385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경상북도 울릉... 독도 (동 / 2016-05-28 DNA 1건
    NIBRGR0000418636 Allium macrostemon Bunge / 산달래 경상북도 울릉... 독도 (동 / 2016-05-28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llium macrostemon Bunge 산달래 rbcL rbcL gen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