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국화마 bookmark_add Dioscorea septemloba Thunb.

산과 들에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길게 자라고 가지는 붉은 자주색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벋으며, 통통하다. 잎은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갈래로 갈라지는데 길이와 폭은 각각 5~12cm, 밑은 심장형이고, 잎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며, 아래쪽에는 가시 모양의 돌기가 없다. 꽃은 6~8월에 암수딴포기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이삭꽃차례에 달린다. 수꽃차례는 가지를 치며, 곧추서고 암꽃차례는 가지를 치지 않으며, 밑으로 처진다.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삭과, 도란형, 길이 약 2cm, 3개의 날개가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단풍마에 비해 잎에 털이 없고, 잎 옆쪽 갈래의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 아래쪽에 돌기가 없으므로 다르다. 뿌리줄기를 동맥경화증, 심근경화증에 쓴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2]

    중부 이남 [2]

  •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8월에 피며, 열매는 7~9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holestane glycosides and trihydroxy fatty acids from the rhizomes of Dioscorea septemloba. Xue-Ting Liu,Zhen-Zhong Wang,Wei Xiao,Hui-Wu Zhao,Biao Yu Planta medica 2009 조회
    [Effects of Dioscorea septemloba on the biomechanical and bone histomorphometric parameters of femur in the ovariectomized rats]. Guo-Sheng Xing,Jian-Shi Lou,Shun-Lu Yu,Zhi-Bin Wang,Yi-Jian Shi Zhong yao cai = Zhongyaocai =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8 조회
    Cholestane and spirostane glycosides from the rhizomes of Dioscorea septemloba. Xue-Ting Liu,Zhen-Zhong Wang,Wei Xiao,Hui-Wu Zhao,Jie Hu,Biao Yu Phytochemistry 2008 조회
    [Effects of Dioscorea septemloba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Guo-Sheng Xing,Jian-Shi Lou,Zhi-Bin Wang,Shun-Lu Yu,Yi Wang,Li Sheng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2007 조회
    [Study on steroidal saponins of Dioscorea septemloba thunb]. Da-Wei Tan,Li-Ping Kang,Ning L?,Jie Zhang,Bai-Ping Ma Zhong yao cai = Zhongyaocai =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7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8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산림경제 구급_천포창 목통(木通)과 비해(萆薢)를 함께 달여 먹이면 매우 효력이 있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호골주(虎骨酒) 일체의 중풍 질환을 전적으로 치료한다. 방풍(防風)ㆍ진교(秦艽)ㆍ비해(萆薢)ㆍ강활(羌活)ㆍ호골(虎骨) - 연유〔酥〕에 구운 것 - ㆍ우슬(牛膝)ㆍ패구판(敗龜板)ㆍ만잠사(晩蠶沙) - 볶은 것 - ㆍ천오(川烏) - 구운 후〔炮〕,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 ㆍ송절(松節)ㆍ당귀(當歸) - 각 2냥 -, 구기자(枸杞子) - 5냥 -, 창이(蒼耳) - 5냥, 누렇게 볶은 후 찧은 것 -. 위의 약들을 자르고, 무회주(無灰酒) 1말을 약에 넣은 다음에, 술단지 속에 담그고 밀봉하여 14일이 지난 후 술단지를 개봉하여 술을 빼낸다. 매일 아침, 낮, 저녁 3번에 걸쳐 각각 1잔씩을 마셔서 약효가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병이 낫게 되면 약을 말려 가루 내어, 술을 첨가해 쑨 풀〔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桐子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50환을 빈속에 좋은 술과 함께 삼킨다. 승상(丞相)인 사심(史深)이 우연히 지인(至人)을 만났는데, 지인이 《경험비방(經驗秘方)》의 두 처방을 전수해준 것이다. 두 가지 술은 〈통풍문(痛風門)〉에도 나온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천마환(天麻丸) 풍사(風邪)로 인해 발생한 신체의 마비 증상을 치료한다. 이 약은 영위(榮衛)를 운행시키고 근골(筋骨)을 튼튼하게 만든다. 천마(天麻)ㆍ우슬(牛膝) - 노두를 제거하고 술에 씻은 것 - ㆍ비해(萆薢)ㆍ현삼(玄參) - 각 1냥 반 -, 두충(杜冲) - 강즙(薑汁)에 볶은 것, 1냥 7돈 -, 대부자(大附子) - 구워서 껍질과 배꼽을 제거한 것, 5돈 -, 강활(羌活) - 3냥 반 -, 당귀(當歸) - 술에 씻은 것, 2냥 반 -, 생지황(生地黃) - 술에 씻은 것, 4냥 -. 신(腎)에 깃든 풍(風)을 제거할 때는 독활(獨活) - 1냥 반 - 을 첨가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꿀〔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70~80환을 빈속에 술과 함께 복용한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칠성산(七聖散) 풍(風)ㆍ한(寒)ㆍ습(濕)의 독기(毒氣)가 혈기(血氣)와 싸운 탓에 근골(筋骨)이 약해져서 사지를 움직일 수가 없으며, 다리ㆍ무릎에 힘이 빠지고 저리면서 아파서 걸을 수가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속단(續斷)ㆍ독활(獨活)ㆍ방풍(防風)ㆍ두충(杜冲)ㆍ비해(萆薢)ㆍ우슬(牛膝)ㆍ감초(甘草) -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깨끗하게 씻어서 불에 말려 가루 낸 후, 매번 2돈을 따뜻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 《화제국방(和劑局方)》 〈풍문(風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두발의 습비(濕痺)로 인한 동통(疼痛)이 간혹 불에 덴 듯 느껴지면서, 발에서 시작해서 점점 사타구니와 허리에 이르기까지 간혹 마비되고 저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모두 습열(濕熱)이 병이 된 것이다. 창출(蒼朮) - 4냥 -, 황백(黃栢) - 2냥,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 우슬(牛膝)ㆍ당귀미(當歸尾) - 술에 씻은 것 - ㆍ비해(萆薢)ㆍ방기(防己)ㆍ구판(龜板) - 연유〔酥〕에 구운 것, 각 1냥 -.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술에 달인 후 밀가루풀〔麵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桐子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100환을 빈속에 생강과 소금을 달인 물〔薑鹽湯〕과 함께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통풍문(痛風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담음이 경락(經絡)에 있어서 가슴이나 등, 손, 발, 팔뚝 부위가 아픈 데, 병이 위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강활(羌活)ㆍ방풍ㆍ위령선(威靈仙)을 쓰고, 아래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방기(防己)ㆍ우슬(牛膝)ㆍ목통을 쓰고, 부으면서 아픈 경우는 황백ㆍ창출(蒼朮)ㆍ비해(萆薢)를 쓰고, 겨울에는 오두(烏頭)ㆍ부자(附子)를 약간 더하여 쓴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이질을 앓은 후 조심하지 않아 한기(寒氣)나 습기(濕氣)에 상한 것을 치료한다. 물을 건너거나 서리를 밟아 두 발이 칼로 찌르거나 호랑이가 무는 것처럼 아프고 무릎과 종아리가 부어올라 ‘학슬풍(鶴膝風)’이 된 경우다. 인삼(人參)ㆍ백출(白朮)ㆍ황기(黃耆)〔黃蓍〕ㆍ당귀(當歸)〔川歸〕ㆍ천궁(川芎)ㆍ작약(芍藥)ㆍ숙지황(熟地黃)ㆍ두충(杜冲) - 생강즙에 적셔 볶은 것 - ㆍ비해(萆薢) - 각 1돈 -, 방풍(防風)ㆍ방기(防己)ㆍ강활(羌活)ㆍ우슬(牛膝) - 각 7푼 -, 부자(附子) - 동변(童便)에 사흘동안 담갔다가 껍질과 배꼽을 제거한 것, 7푼, 겨울에는 1돈 -, 감초(甘草) - 구운 것, 반 돈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 2잔에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빈속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이문(痢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안신원(安腎圓) 신장〔腎〕ㆍ방광(膀胱)의 허랭(虛冷 장부(臟腑) 기능이 허약해지면서 차가워짐)이나 진원(眞元 신장(腎臟))의 쇠락〔衰憊〕으로 인해 소리가 웅웅거려 무슨 소리인지 구분 못하는 증상〔耳重〕과 입술이 검어지는 증상, 허리와 정강이가 무겁고 아픈 증상〔重疼〕, 배와 옆구리가 아프고 붓는 증상〔痛脹〕, 하부(下部)의 습양(濕痒 습기로 인해서 피부가 가려운 병증), 유정(遺精), 많이 놀람〔多驚〕, 정신 착란〔恍惚〕, 피부 건조증, 얼굴이 마르고 입맛이 없는 증상〔口淡〕, 식욕 부진, 대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설사하는 증상〔澁泄〕, 소변이 지나치게 매끄럽고 자주 마려운 증상, 정신(精神) 이상〔不爽〕, 건망증을 치료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양기(陽氣)를 돕고 신장을 강하게 만든다. 도인(桃仁) 【밀기울〔麩〕에 볶은 것】 ㆍ백질려(白蒺藜) 【볶은 후 가시를 제거한 것】 ㆍ파극(巴戟) 【심을 제거한 것】 ㆍ육종용(肉蓯蓉) 【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 ㆍ산약(山藥)ㆍ파고지(破故紙)ㆍ복령(茯苓)ㆍ석곡(石斛) 【뿌리를 제거하고 구운 것】 ㆍ백출(白朮)ㆍ비해(萆薢) 【볶은 것, 각각 48냥】, 육계(肉桂) 【불에 가까이 하지 않은 것】 ㆍ천오(川烏) 【볶은 후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각각 16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꿀〔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圓〕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복용하되, 따뜻한 술이나 끓인 소금물〔塩湯〕과 함께 빈속 상태에서 식전에 복용한다. 소장기(小腸氣)와 관련된 증상에는 볶은 회향(茴香), 소금을 탄 술〔塩酒〕과 함께 복용한다. 【《화제국방(和劑局方)》〔局方〕 〈허문(虛門)〉에 나온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창룡환(蒼龍丸) 이 처방은 성도부(成都府)의 최마거(崔磨去)가 자식이 없어서 이 약을 복용하고자 만든 것인데, 최마거는 복용하지 못하고 먼저 사망하였다. 70살 넘은 어느 노인이 허리ㆍ다리의 통증〔疼痛〕에 시달리면서 등을 굽힌 채 다니다가 이 약을 복용하니 아주 영험하였으며 여러 병들도 모두 나았다. 목향(木香) 【5돈】, 등심(燈心) 【2돈】, 대지주(大蜘蛛) 【7개】, 호도육(胡桃肉) 【별도로 간 것】 ㆍ필징가(蓽澄茄)ㆍ차전자(車前子) 【볶은 것】 ㆍ마린화(馬藺花) 【술에 담근 것】 ㆍ모려(牡蠣) 【불에 달군 것】 ㆍ비해(萆薢)ㆍ구자(韭子)ㆍ목통(木通) 【각각 1냥】, 산수유(山茱萸) 【씨를 제거한 것】 ㆍ파고지(破故紙) 【술에 담근 것】 ㆍ상표초(桑螵蛸) 【술에 담근 것】 ㆍ전갈(全蝎) 【독을 제거한 것】 ㆍ용골(龍骨) 【각각 1냥 반】, 모정향(母丁香)ㆍ자초화(紫梢花)ㆍ육종용(肉蓯蓉) 【술에 담근 것】 ㆍ토사자(兎絲子) 【술에 찐 것】 ㆍ사상자(蛇床子)ㆍ백복령(白茯苓)ㆍ선령비(仙靈脾)ㆍ팔각회향(八角茴香)ㆍ파극(巴戟)ㆍ원지(遠志)ㆍ당귀(當歸) 【각각 2냥】, 침향(沈香) 【7돈】, 건칠(乾漆) 【연기가 안 날 때까지 볶은 것, 3냥】, 숙지황(熟地黃) 【5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복용하는데, 빈속 상태에서 따뜻한 술과 함께 복용한다. 7일이면 효과를 본다. 부인이 없는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 약은 전적으로 발기를 일으키니〔陽事〕, 발기를 빨리 해소하고자 할 때는 찬물을 세 모금 마신다. 나이가 많아 기력이 쇠퇴하여 허약하거나 기운이 소모되어 풍습(風濕 풍기(風氣)와 습기(濕氣)의 나쁜 기운)에 감촉되어서, 허리ㆍ다리가 아픈 경우에도 모두 이 약을 반드시 복용하면 최고로 영험(靈驗)하다. 이것을 복용하면 정액(精液)〔精〕을 늘리고, 허(虛)한 신장을 도우며, 냉증(冷症)을 없애고 풍습(風濕)을 제거한다. 【자세한 것은 《기효양방(奇效良方)》〔良方〕에 보인다. ○다른 처방에서는 상표초ㆍ당귀ㆍ침향이 없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심장〔心〕이 허약하여 제기능을 담당하지 못하거나 허한(虛寒)한 사람에게는 본방(本方 이진탕)에 비해(萆薢), 창포(菖蒲), 익지(益智), 건강(乾薑), 모려(牡蠣), 용골(龍骨)을 첨가한다.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Cholestane glycosides and trihydroxy fatty acids from the rhizomes of Dioscorea septemloba. Xue-Ting Liu,Zhen-Zhong Wang,Wei Xiao,Hui-Wu Zhao,Biao Yu Planta medica 2009 조회
    [Effects of Dioscorea septemloba on the biomechanical and bone histomorphometric parameters of femur in the ovariectomized rats]. Guo-Sheng Xing,Jian-Shi Lou,Shun-Lu Yu,Zhi-Bin Wang,Yi-Jian Shi Zhong yao cai = Zhongyaocai =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8 조회
    Cholestane and spirostane glycosides from the rhizomes of Dioscorea septemloba. Xue-Ting Liu,Zhen-Zhong Wang,Wei Xiao,Hui-Wu Zhao,Jie Hu,Biao Yu Phytochemistry 2008 조회
    [Effects of Dioscorea septemloba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Guo-Sheng Xing,Jian-Shi Lou,Zhi-Bin Wang,Shun-Lu Yu,Yi Wang,Li Sheng Zhongguo Zhong yao za zhi = Zhongguo zhongyao zazhi =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2007 조회
    [Study on steroidal saponins of Dioscorea septemloba thunb]. Da-Wei Tan,Li-Ping Kang,Ning L?,Jie Zhang,Bai-Ping Ma Zhong yao cai = Zhongyaocai = Journal of Chinese medicinal materials 2007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8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산림경제 구급_천포창 목통(木通)과 비해(萆薢)를 함께 달여 먹이면 매우 효력이 있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호골주(虎骨酒) 일체의 중풍 질환을 전적으로 치료한다. 방풍(防風)ㆍ진교(秦艽)ㆍ비해(萆薢)ㆍ강활(羌活)ㆍ호골(虎骨) - 연유〔酥〕에 구운 것 - ㆍ우슬(牛膝)ㆍ패구판(敗龜板)ㆍ만잠사(晩蠶沙) - 볶은 것 - ㆍ천오(川烏) - 구운 후〔炮〕,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 ㆍ송절(松節)ㆍ당귀(當歸) - 각 2냥 -, 구기자(枸杞子) - 5냥 -, 창이(蒼耳) - 5냥, 누렇게 볶은 후 찧은 것 -. 위의 약들을 자르고, 무회주(無灰酒) 1말을 약에 넣은 다음에, 술단지 속에 담그고 밀봉하여 14일이 지난 후 술단지를 개봉하여 술을 빼낸다. 매일 아침, 낮, 저녁 3번에 걸쳐 각각 1잔씩을 마셔서 약효가 끊어지지 않도록 한다. 병이 낫게 되면 약을 말려 가루 내어, 술을 첨가해 쑨 풀〔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桐子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50환을 빈속에 좋은 술과 함께 삼킨다. 승상(丞相)인 사심(史深)이 우연히 지인(至人)을 만났는데, 지인이 《경험비방(經驗秘方)》의 두 처방을 전수해준 것이다. 두 가지 술은 〈통풍문(痛風門)〉에도 나온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천마환(天麻丸) 풍사(風邪)로 인해 발생한 신체의 마비 증상을 치료한다. 이 약은 영위(榮衛)를 운행시키고 근골(筋骨)을 튼튼하게 만든다. 천마(天麻)ㆍ우슬(牛膝) - 노두를 제거하고 술에 씻은 것 - ㆍ비해(萆薢)ㆍ현삼(玄參) - 각 1냥 반 -, 두충(杜冲) - 강즙(薑汁)에 볶은 것, 1냥 7돈 -, 대부자(大附子) - 구워서 껍질과 배꼽을 제거한 것, 5돈 -, 강활(羌活) - 3냥 반 -, 당귀(當歸) - 술에 씻은 것, 2냥 반 -, 생지황(生地黃) - 술에 씻은 것, 4냥 -. 신(腎)에 깃든 풍(風)을 제거할 때는 독활(獨活) - 1냥 반 - 을 첨가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꿀〔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70~80환을 빈속에 술과 함께 복용한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칠성산(七聖散) 풍(風)ㆍ한(寒)ㆍ습(濕)의 독기(毒氣)가 혈기(血氣)와 싸운 탓에 근골(筋骨)이 약해져서 사지를 움직일 수가 없으며, 다리ㆍ무릎에 힘이 빠지고 저리면서 아파서 걸을 수가 없는 증상을 치료한다. 속단(續斷)ㆍ독활(獨活)ㆍ방풍(防風)ㆍ두충(杜冲)ㆍ비해(萆薢)ㆍ우슬(牛膝)ㆍ감초(甘草) - 각각 같은 양 -. 위의 약들을 깨끗하게 씻어서 불에 말려 가루 낸 후, 매번 2돈을 따뜻한 술에 타서 복용한다. - 《화제국방(和劑局方)》 〈풍문(風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가미이묘환(加味二妙丸) 두발의 습비(濕痺)로 인한 동통(疼痛)이 간혹 불에 덴 듯 느껴지면서, 발에서 시작해서 점점 사타구니와 허리에 이르기까지 간혹 마비되고 저리는 증상을 치료한다. 모두 습열(濕熱)이 병이 된 것이다. 창출(蒼朮) - 4냥 -, 황백(黃栢) - 2냥,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 우슬(牛膝)ㆍ당귀미(當歸尾) - 술에 씻은 것 - ㆍ비해(萆薢)ㆍ방기(防己)ㆍ구판(龜板) - 연유〔酥〕에 구운 것, 각 1냥 -.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술에 달인 후 밀가루풀〔麵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桐子大〕 환(丸)을 만든다. 매번 100환을 빈속에 생강과 소금을 달인 물〔薑鹽湯〕과 함께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통풍문(痛風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담음이 경락(經絡)에 있어서 가슴이나 등, 손, 발, 팔뚝 부위가 아픈 데, 병이 위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강활(羌活)ㆍ방풍ㆍ위령선(威靈仙)을 쓰고, 아래쪽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방기(防己)ㆍ우슬(牛膝)ㆍ목통을 쓰고, 부으면서 아픈 경우는 황백ㆍ창출(蒼朮)ㆍ비해(萆薢)를 쓰고, 겨울에는 오두(烏頭)ㆍ부자(附子)를 약간 더하여 쓴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경험이방음(經驗二防飮) 이질을 앓은 후 조심하지 않아 한기(寒氣)나 습기(濕氣)에 상한 것을 치료한다. 물을 건너거나 서리를 밟아 두 발이 칼로 찌르거나 호랑이가 무는 것처럼 아프고 무릎과 종아리가 부어올라 ‘학슬풍(鶴膝風)’이 된 경우다. 인삼(人參)ㆍ백출(白朮)ㆍ황기(黃耆)〔黃蓍〕ㆍ당귀(當歸)〔川歸〕ㆍ천궁(川芎)ㆍ작약(芍藥)ㆍ숙지황(熟地黃)ㆍ두충(杜冲) - 생강즙에 적셔 볶은 것 - ㆍ비해(萆薢) - 각 1돈 -, 방풍(防風)ㆍ방기(防己)ㆍ강활(羌活)ㆍ우슬(牛膝) - 각 7푼 -, 부자(附子) - 동변(童便)에 사흘동안 담갔다가 껍질과 배꼽을 제거한 것, 7푼, 겨울에는 1돈 -, 감초(甘草) - 구운 것, 반 돈 -. 위의 약들을 1회 복용량으로 하여 생강〔薑〕 3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 2잔에 넣고 1잔이 남게 졸아들도록 달인 다음 빈속에 따뜻하게 복용한다. - 《의학정전(醫學正傳)》 〈이문(痢門)〉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안신원(安腎圓) 신장〔腎〕ㆍ방광(膀胱)의 허랭(虛冷 장부(臟腑) 기능이 허약해지면서 차가워짐)이나 진원(眞元 신장(腎臟))의 쇠락〔衰憊〕으로 인해 소리가 웅웅거려 무슨 소리인지 구분 못하는 증상〔耳重〕과 입술이 검어지는 증상, 허리와 정강이가 무겁고 아픈 증상〔重疼〕, 배와 옆구리가 아프고 붓는 증상〔痛脹〕, 하부(下部)의 습양(濕痒 습기로 인해서 피부가 가려운 병증), 유정(遺精), 많이 놀람〔多驚〕, 정신 착란〔恍惚〕, 피부 건조증, 얼굴이 마르고 입맛이 없는 증상〔口淡〕, 식욕 부진, 대변이 잘 나오지 않거나 설사하는 증상〔澁泄〕, 소변이 지나치게 매끄럽고 자주 마려운 증상, 정신(精神) 이상〔不爽〕, 건망증을 치료한다. 이것을 복용하면 양기(陽氣)를 돕고 신장을 강하게 만든다. 도인(桃仁) 【밀기울〔麩〕에 볶은 것】 ㆍ백질려(白蒺藜) 【볶은 후 가시를 제거한 것】 ㆍ파극(巴戟) 【심을 제거한 것】 ㆍ육종용(肉蓯蓉) 【술에 담갔다가 구운 것】 ㆍ산약(山藥)ㆍ파고지(破故紙)ㆍ복령(茯苓)ㆍ석곡(石斛) 【뿌리를 제거하고 구운 것】 ㆍ백출(白朮)ㆍ비해(萆薢) 【볶은 것, 각각 48냥】, 육계(肉桂) 【불에 가까이 하지 않은 것】 ㆍ천오(川烏) 【볶은 후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각각 16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꿀〔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圓〕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복용하되, 따뜻한 술이나 끓인 소금물〔塩湯〕과 함께 빈속 상태에서 식전에 복용한다. 소장기(小腸氣)와 관련된 증상에는 볶은 회향(茴香), 소금을 탄 술〔塩酒〕과 함께 복용한다. 【《화제국방(和劑局方)》〔局方〕 〈허문(虛門)〉에 나온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창룡환(蒼龍丸) 이 처방은 성도부(成都府)의 최마거(崔磨去)가 자식이 없어서 이 약을 복용하고자 만든 것인데, 최마거는 복용하지 못하고 먼저 사망하였다. 70살 넘은 어느 노인이 허리ㆍ다리의 통증〔疼痛〕에 시달리면서 등을 굽힌 채 다니다가 이 약을 복용하니 아주 영험하였으며 여러 병들도 모두 나았다. 목향(木香) 【5돈】, 등심(燈心) 【2돈】, 대지주(大蜘蛛) 【7개】, 호도육(胡桃肉) 【별도로 간 것】 ㆍ필징가(蓽澄茄)ㆍ차전자(車前子) 【볶은 것】 ㆍ마린화(馬藺花) 【술에 담근 것】 ㆍ모려(牡蠣) 【불에 달군 것】 ㆍ비해(萆薢)ㆍ구자(韭子)ㆍ목통(木通) 【각각 1냥】, 산수유(山茱萸) 【씨를 제거한 것】 ㆍ파고지(破故紙) 【술에 담근 것】 ㆍ상표초(桑螵蛸) 【술에 담근 것】 ㆍ전갈(全蝎) 【독을 제거한 것】 ㆍ용골(龍骨) 【각각 1냥 반】, 모정향(母丁香)ㆍ자초화(紫梢花)ㆍ육종용(肉蓯蓉) 【술에 담근 것】 ㆍ토사자(兎絲子) 【술에 찐 것】 ㆍ사상자(蛇床子)ㆍ백복령(白茯苓)ㆍ선령비(仙靈脾)ㆍ팔각회향(八角茴香)ㆍ파극(巴戟)ㆍ원지(遠志)ㆍ당귀(當歸) 【각각 2냥】, 침향(沈香) 【7돈】, 건칠(乾漆) 【연기가 안 날 때까지 볶은 것, 3냥】, 숙지황(熟地黃) 【5냥】. 위의 약재들을 곱게 가루 내고, 졸인 꿀〔煉蜜〕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30환을 복용하는데, 빈속 상태에서 따뜻한 술과 함께 복용한다. 7일이면 효과를 본다. 부인이 없는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 약은 전적으로 발기를 일으키니〔陽事〕, 발기를 빨리 해소하고자 할 때는 찬물을 세 모금 마신다. 나이가 많아 기력이 쇠퇴하여 허약하거나 기운이 소모되어 풍습(風濕 풍기(風氣)와 습기(濕氣)의 나쁜 기운)에 감촉되어서, 허리ㆍ다리가 아픈 경우에도 모두 이 약을 반드시 복용하면 최고로 영험(靈驗)하다. 이것을 복용하면 정액(精液)〔精〕을 늘리고, 허(虛)한 신장을 도우며, 냉증(冷症)을 없애고 풍습(風濕)을 제거한다. 【자세한 것은 《기효양방(奇效良方)》〔良方〕에 보인다. ○다른 처방에서는 상표초ㆍ당귀ㆍ침향이 없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심장〔心〕이 허약하여 제기능을 담당하지 못하거나 허한(虛寒)한 사람에게는 본방(本方 이진탕)에 비해(萆薢), 창포(菖蒲), 익지(益智), 건강(乾薑), 모려(牡蠣), 용골(龍骨)을 첨가한다.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4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4044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경상남도 사천... 와룡산 / 1999-09-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4045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경상남도 사천... 와룡산 / 1999-10-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4401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정선군... 가리왕산 / 1998-05-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5580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평창군... 계방산 / 2007-08-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5701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평창군... 계방산 / 2007-08-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9464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전라남도 영광... 불갑산 / 2007-07-20 건조표본 5건
    NIBRVP0000134220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홍천군... 금확산 / 2004-09-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37314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홍천군... 금확산 / 2004-07-10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37343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강원도 태백시... 백병산 / 2004-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82659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전라남도 신안... 흑산도 / 2008-08-0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616168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전라남도 완도... / 2019-11-10 종자 2건
    NIBRGR0000619948 Dioscorea septemloba Thunb. / 국화마 전라남도 완도... / 2019-11-10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Dioscorea septemloba Thunb. 국화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Dioscorea septemloba Thunb. 국화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Dioscorea septemloba Thunb. 국화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