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Polygonum orientale L.
Amblygonum orientale var. pilosum Nakai
Amblygonum pilosum Nakai
Polygonum orientale var. pilosum Meisn.
인도, 말레이시아, 중국 원산의 귀화식물이며 햇볕이 잘 드는 인가 부근, 버려진 공터, 시냇가 주변의 교란이 심한 곳, 길가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150~200cm, 거친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7~20cm, 폭 3~10cm이고, 밑이 둥글거나 심장형이다. 잎 양면은 거친 털이 난다. 꽃은 6~7월에 가지 끝과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3~6cm의 이삭꽃차례에 빽빽하게 피며, 분홍색이다. 꽃차례는 밑으로 조금 드리우거나 위로 선다. 화피는 5갈래이며, 타원형으로 길이 3~5mm다. 수술은 8개이고, 암술은 2갈래다. 열매는 수과이며, 길이 2~3mm, 8~9월에 익는데 검은 갈색이며, 윤이 나고, 화피로 싸여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며,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퍼져 분포한다. 이 종은 잎몸이 넓은 난형으로 크며, 기부가 약간 심장 모양으로 되고, 흔히 턱잎의 가장자리가 잎 모양으로 되기도 하는 점에서 잎몸이 선형, 피침형 및 타원형으로 다소 작으며, 기부가 심장 모양이 아니고, 턱잎이 완전히 막질인 다른 여뀌류와 구별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전초를 약용하거나, 약재로 쓴다. [저작재산권자]
-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2]
전국 [2]
-
햇볕이 잘 들고 교란이 심한 곳에 자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 review of the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pharmacology and quality control of the ethnic medicinal plant <i>Persicaria orientalis</i> (L.) Spach in China Zhang, Xiaorui;Zhang, Mingshuo;Wang, Zhixin;Zhu, Na;Zhang, Jinfang;Sha, Zijun;Li, Zhiyong;Huang, Xiula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2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i>Persicaria orientalis</i> (L.) Spach - A review Gou, Kai-Jun;Zeng, Rui;Ma, Yue;Li, Ai-Nuan;Yang, Kai;Yan, Heng-Xiu;Jin, Shen-rui;Qu, Ya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0 3 Investigation of antinociceptive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i>Persicaria orientalis</i> leaves in rodents Ansari, Prawej;Uddin, Md. Josim;Akther, Shafia;Azam, Shofiul;Mahmud, Md Kayes;Azad, Sohel Bin;Ullah, Ahsan;Hannan, J.M.A.; Journal of basic and clinical physiology and pharmacology 2017 4 Anti-inflammatory, anti-diarrheal, thrombolytic and cytotoxic activities of an ornamental medicinal plant: <i>Persicaria orientalis</i> Ansari, Prawej;Uddin, Md. Josim;Rahman, Md. Masudur;Abdullah-Al-Mamun, Md.;Islam, Md. Rabiul;Ali, Md. Hazrat;Reza, A.S.M. Ali; Journal of basic and clinical physiology and pharmacology 2017 5 LPS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털여뀌와 양지꽃 추출물의 NF-κB 활성화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 최재훈;이승은;이정훈;김금숙;노형준;김승유;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201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초부중품-하 맛은 짜고 성질은 약간 차며 독이 없다. 소갈증과 열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하고 기를 보한다. 일명 홍곡이라고도 하는데 마료같으면서 크다. 물가에서 자라며 음력 5월에 열매를 딴다. 홍초는 즉 수홍이다. 옛날 책에는 이것이 자라는 곳이 씌어 있지 않지만 물가에서 자란다고들 했다. 지금은 낮은 습지대에서 다 자란다. 여뀌와 비슷한데 잎이 크고 불그스름하다. 키는 10자를 넘는다. 이아에는 홍룡고라고 하였는데 큰 것은 귀라 하였다. 정시에는 습한 땅에서 자라는 유룡이 이것이라고 하였고 육기에는 천료라 하였으며 본경에는 마료 비슷하면서 크다고 하였다. 만일 그렇다면 마료는 홍초와 한종류이다. 지금은 드물게 쓰는데 뿌리와 줄기만을 물에 달여 각기때 바른다. (도경) 털이 있고 홍백색이다. 잘 낫지 않는 창종이나 각기때에 진하게 달여서 아픈 데를 잠그면 잘 낫는다. (당본주) -
표본 (총2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724102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기도 여주시... / 2018-10-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53344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영천... / 2019-07-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54601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남도 밀양... / 2018-07-13 건조표본 2건 NIBRVP0000754624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남도 밀양... / 2018-09-2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3344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인천광역시 강... 화개산 / 2016-07-10 건조표본 3건 NIBRVP0000763345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인천광역시 강... 화개산 / 2016-07-10 건조표본 2건 NIBRVP0000763346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인천광역시 강... 화개산 / 2016-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73312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인천광역시 강... / 2017-09-2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82795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영천... / 2020-08-23 건조표본 2건 NIBRVP0000782965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경산... / 2020-09-2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598118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기도 여주시... / 2018-10-18 조직 1건 NIBRGR0000602207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기도 여주시... / 2018-10-18 종자 4건 NIBRGR0000653587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영천... / 2022-07-27 조직 1건 NIBRGR0000653627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칠곡... / 2022-08-31 조직 1건 NIBRGR0000654033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강원도 양양군... / 2022-07-27 조직 1건 NIBRGR0000654113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강원도 횡성군... / 2022-07-28 조직 1건 NIBRGR0000654787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경상북도 영천... / 2022-07-27 DNA 1건 NIBRGR0000656374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강원도 양양군... / 2022-07-27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56375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강원도 양양군... / 2022-07-27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56548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 털여뀌 강원도 횡성군... / 2022-07-28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