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고본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Thumbnail 23
고본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고본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고본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osidae (장미아강) > Apiales (미나리목) > Apiaceae (미나리과) > Conioselinum (산천궁속) > tenuissimum (고본)
이명정보
[학명이명]
Angelica tenuissima Nakai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Kitag.

깊은 산의 산록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30~80cm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강하다. 잎은 어긋나고 뿌리잎과 줄기 밑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3회 깃꼴겹잎이고 갈래는 선형이며 잎집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는데 5수성이고 흰색이며 겹산형꽃차례를 이루어 달린다. 작은 산형꽃차례는 15~20개이며 모인꽃싸개잎은 없거나 1~2개이고 피침형이며, 작은 모인꽃싸개잎은 1~5개이다. 꽃밥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분과이고 납작한 타원형이며 3개의 능선이 있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9~10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이 종은 잎이 3회 깃꼴 모양으로 가늘게 갈라지는 특징으로 다른 당귀속 식물들과 뚜렷이 구분된다. 뿌리를 감기, 두통, 관절염 치료로 약용한다.

  • 중국 북동부 [1]

    전도 [1]

  • 개화기: 8-9월(결실기 9-10월).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7), 한국생물지발간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PC-3 prostate cancer cells is counteracted by PPARγ-cladosporol binding-mediated apoptosis and a decreased lipid biosynthesis and accumulation. [Roberta Rapuano, Alessio Riccio, Antonella Mercuri, Jessica Raffaella Madera, Sabrina Dallavalle, Salvatore Moricca, Angelo Lupo] Biochemical pharmacology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성혜방》 승마산으로 아협(볼)에 풍사객이 있어서 잠자는 중에 이를 갈 때의 치료 : 승마ㆍ 당귀ㆍ 방풍ㆍ 호본 각각 반냥과, 행인(살구씨)ㆍ산조인(멧대추의 씨)ㆍ세신(족두리의 뿌리)ㆍ백지(구릿대의 뿌리)ㆍ궁궁(궁궁이)을 각각 1푼씩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매번 1돈씩 복용하고 솜으로 싸서 입에 머금고 진액을 빨아낸다.
    2 문헌 약용 복용하고 머금어 양치한 다음에 뱉는다.
    3 문헌 약용 위의 약들을 곱게 갈아 따뜻한 물로 깨끗이 양치하고 이 약으로 문지른다.
    4 문헌 약용 강활 방풍 각 1돈 반, 천궁 백지 고본 각 1돈, 혹은 시호 청피를 더하기도 한다.
    5 문헌 약용 백지 백급 백렴 백강잠 백부자 천화분 각 1냥, 감송 삼내자 모향 각 5돈, 영릉향 방풍 고본 각 2돈, 조각자 1정. 이상을 가루 내어 쓴다.
    6 문헌 농사용 소가 열병을 앓아 입이 검고 누르며 상판이 푸른 흙빛 같이 되고 사각을 잘 쓰지 못하면 백출산을 쓰는데 거기에는 백출 두 량 반 중, 창출 넉 량 두 돈 중, 자완 석 량 서 돈 중, 우슬 두 량 두 돈 중, 마디를 버린 마황 석 량 중, 후박 석 량 한 돈 중, 당귀 석 량 닷 돈 중, 고본 석 량 서 돈 중을 가루로 만들어서 매번에 두 량 중 씩을 먹이는데 술 2승에 넣어 달인 다음 식혀서 식후에 먹이면 즉시 낫는다. 혹은 들깨잎 즙을 내여 먹이기도 하는데 이것도 대번에 낫는다고 한다.
    7 문헌 기타 말의 냉병을 치료하는 방법[治馬後寒方] 회향산을 쓴다.회향․백부자(白附子)․천련자(川鍊子: 소태나무열매)․육계(肉桂: 상등품의 계수나무)․육두구(肉豆蔲)․필발(蓽發)에 빈랑․백술․목통․파극천[巴戟]․당귀․흑축(黑丑)․고본(藁本)을 넣어 가루를 만든다. 매번 가루 1냥 반에다 소금 3전, 식초 1되를 넣고 3번 달여서 풀을 먹이지 말고 따뜻할 때 먹인다. 후온산도 위와 같은 증세에 쓴다.고량간(高良干: 수숫대)․백부자(白附子)․오수유․창출․후박․백출․백지․세신(細辛)을 가루로 만든다. 큰 숟가락으로 가루약 하나와 술 1잔을 섞어 3번 달여서 미지근해지면 항문 속 창자에 집어넣고, 쉬지 않고 끌고 다녀서 똥을 누도록 한다. 흰 농액이 나오면 효험이 있다. 대체로 3번쯤 먹이면 낫는다. 홍화산(紅花散)홍화․당귀․몰약․회향․천련자․파극․지각․기린갈(麒麟竭)․목통․오약(烏藥)․고본을 가루로 만든다. 매번 가루 2냥에 비염(飛鹽) 1자밤[捻]을 집어넣어, 봄이나 겨울에는 미지근한 술 1되에 함께 섞고, 가을이나 여름에는 끓인 물 1잔에 섞어서 풀을 먹이지 말고 먹인다.
    8 문헌 기타 새로 태어난 망아지의 설사와 복통[瀉肚]을 치료하는 처방 고본(藁本: 백합과의 다년초) 가루 3전 7푼에 대마자(大麻子)를 갈아서 즙을 내어 섞어서 목구멍에 넣어주면 곧 효과가 있다. 다음에 황련 가루를 대마의 즙에 풀어먹인다.
    9 문헌 기타 여러 가지 병 소가 열병을 앓아 입이 황흑색으로 변해 청니(靑泥)와 같고 네다리를 오므리지 못하면, 백출산(白朮散)을 쓴다. 백출(白朮)2냥․창출(蒼朮)4냥 2전․개미취[紫菀]3냥 3전․우슬(牛膝: 쇠무릎)2냥 2전․마황(麻黃)마디 떼어낸 것 3냥․후박(厚朴)3냥 1전․당귀(當歸)3냥 5전․고본(藁本)3냥 3전 등을 곱게 가루 내어 매번 2냥씩 먹이되, 술 2되를 달여 식은 후에 먹이면 즉시 차도가 있다. ○ 다른 방법은 호마엽(胡麻葉)검은 참깻잎 찧은 즙을 먹이면 즉시 차도가 있는 것이다. ○ 다른 방법은 청사(靑蓑)참깻잎 달인 물을 먹이는 것이다.
    10 문헌 생활용 신침(神枕) - 5월 5일과 7월 7일에 산 속의 잣나무를 베어 베개를 만든다. 길이는 1자 2치 높이는 4치로 잘라서 속에 1말 2되의 곡식이 들어갈 수 있도록 나무를 파내고 잣나무의 붉은 속으로 뚜껑을 만들되 2푼 두께로 한다. 뚜껑 위를 세 줄로 뚫되, 한 줄에 구멍 40개씩 모두 1백 20개를 뚫는다. 그 구멍은 좁쌀이 들어갈 만한 크기로 뚫는다. 그 다음 궁궁이[有薦] · 당귀(當歸) · 백지(白호) · 신이(辛美) · 두형(社衝) · 백출(白 ) · 고본(藥本) · 목란(木薦) · 천초(川板) · 계피(佳皮) · 건강(乾置) · 인삼(人募) · 방풍(防風) · 길경(結授) · 백복령(白夜答) · 형실(前實) · 육종용(肉薄奪) · 비렴(飛應) · 백실(相實) · 의이(意鼓) · 관동화(歎冬花) · 백미(白#) · 진초(素板) · 미무(廢蘇) 등 모두 24가지 의 약물을 사용하여 24기(氣)에 응하고 독이 있는 8가지 약물을 더하여 팔풍( 風)에 응하니, 오두(鳥頭) · 부자(附子) · 여로(藥廣) · 조협(후英) · 망초(菌草) . 반석(變石) . 반하(半夏) . 세신(細추)까지 모두 32가지의 약물을 각각 1냥씩 취하여 모두 썰어서, 독이 있는 약을 위에 놓고 베개 속을 가득 채운 뒤 헝겊주머니로 베개를 싸고 다시 가죽 주머니를 만들어 이중으로 싸놓았다가 누울 때에는 벗겨내고 베는데, 그것은 대개 약기운이 새어 나가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그 베개를 1백 일 동안 베고 나면 얼굴에는 광택(光澤)이 있게 되고, 1년을 베고 나면 모든 질병이 다 나으며 온몸에서 향기가 난다. 4년을 베면 흰 머리가 검게 변하고 빠진 이가 다시 나며 눈귀가 밝아진다.
  • 표본 (총1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328008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양구군... 도솔산 / 2010-09-03 건조표본 3건
    NIBRVP0000697750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양양군... 구룡령 / 2009-09-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24556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인제군... / 2018-10-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54758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경상남도 밀양... 화악산 / 2018-08-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4393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전라남도 지리산 / 1928-08-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4667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인제군... 설악산 / 1976-10-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1837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태백시... / 2020-09-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45928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평창군... 발왕산 / 2010-09-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64842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대구광역시 달... / 2023-10-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66163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전라남도 장흥... / 2013-03-08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2669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양구군... 도솔산 / 2010-09-03 조직 1건
    NIBRGR0000597515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인제군... / 2018-10-02 조직 1건
    NIBRGR0000601937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인제군... / 2018-10-02 종자 3건
    NIBRGR0000637099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태백시... / 2020-09-30 조직 1건
    NIBRGR0000641025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고본 강원도 태백시... / 2020-09-30 종자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고본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Angelica tenuissima Nakai rbcL 국립생물자원관
    Angelica tenuissima Nakai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