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배무래기

Nipponacmea schrenckii (Lischke, 186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배무래기

Nipponacmea schrenckii (Lischke, 186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배무래기

Nipponacmea schrenckii (Lischke, 186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배무래기 Nipponacmea schrenckii (Lischke, 1868)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Gastropoda (복족강) > Patellogastropoda (삿갓조개아강) > Lottioidea (두드럭배말상과) > Lottiidae (두드럭배말과) > Lottiinae > Nipponacmea (배무래기속) > schrenckii (배무래기)
이명정보
[원기재명]
Patella schrenckii Lischke, 1868
[학명이명]
Nipponacmaea schrenckii schrenckii (Lischke, 1868) (배무래기)
Notoacmea schrenkii (Lischke, 1868) (배무래기)
Acmaea schrenckii Lischke, 1868
Tectura schrenckii (Lischke, 1868)
[국명이명]
(북한명) 접시고깔조개
(북한명) 청고깔조개

삿갓형의 복족류이다. 패각은 담갈색 바탕에 흰 반점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개체에 따라 방사상의 무늬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서해 남부와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일본, 중국, 홍콩 등에도 분포하는 온대성 종이다. 물이 맑은 해안의 조간대 하부 매끈한 돌멩이나 암반에 붙어서 서식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2]

    충청남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2]

    일본, 중국, 대만, 홍콩 [1]

    제주, 서해 남부(가거도), 남해, 동해 남부 [1]

  • 조간대 하부에서 주로 발견되는데, 보통 암반의 외부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고, 둥근 암반이나 큰 자갈의 아랫면에 숨어 있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