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Hoyle, 188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Hoyle, 188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Hoyle, 188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참갑오징어 Sepia esculenta Hoyle, 1885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Cephalopoda (두족강) > Coeoidea (초형아강) > Decapodiformes (십완상목) > Sepiida (갑오징어목) > Sepiidae (갑오징어과) > Sepia (갑오징어속) > esculenta (참갑오징어)
이명정보
[학명이명]
Sepia (Platysepia) esculenta Hoyle, 1885 (참갑오징어)
[국명이명]
(북한명) 오징어

우리나라에서는 동해 남부를 포함하여 전 연안에 분포하는데 특히 서해 중부 해역에서 많이 잡힌다. 몸속에는 길쭉한 타원형의 두터운 껍질을 가지고 있는데, 그 끝에는 침과 같은 돌기가 있다. 수컷은 피부에 가로줄 무늬가 있다. 서해안에서는 주로 20~30m 범위에서 무리 지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100m 이상의 수심에서도 발견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동남아시아 [2]

    서해, 남해, 제주 연안 [2]

    일본, 중국 [1]

    제주도, 동해 남부, 남해, 서해 [1]

  • 수심 10-20m 깊이에 살며 내만에 들어와서 산란을 한다. [2]

    수심 10m에서부터 100m까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서해안에서는 주로 20m 내외의 수심에서 나타난다. 회유하지 않는 저서성 오징어류로서 진흙 바닥 또는 모래 섞인 진흙 바닥에 수 개체에서 수십 개체가 모여 있다. 봄철에 주로 산란하며 얕은 바다의 암초나 해조류에 알을 붙인 후 보통 죽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20),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연구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