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Gȕnther, 185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Gȕnther, 185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Gȕnther, 1859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청개구리 Dryophytes japonica Gȕnther, 1859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mphibia (양서강) > Anura (무미목) > Hylidae (청개구리과) > Dryophytes (청개구리속) > japonica (청개구리)
이명정보
[학명이명]
Hyla japonica Gȕnther, 1859 (청개구리)

무미목 청개구리과에 속하는 양서류이다. 몸길이 2.5~4cm로 작은 편이다. 등의 색깔은 변화가 많으며, 녹색이나 회색 바탕에 진한 녹색이나 회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있다. 주변 상태에 따라 누런빛을 띤 녹색에서 회색을 띤 흰색, 어두운 갈색 등으로 변한다. 검은색에 가까운 얼룩무늬가 배면 또는 다리에 나타난다. 네 다리의 발가락 끝에는 흡반이 발달하였다. 산지나 평지의 풀이나 나무 위에서 산다. 산란기는 5~7월이며, 논이나 괸 물에 모여 작은 알덩어리를 산란한다. 수컷은 턱 밑에 큰 울음주머니를 가지고 있으며 산란기나 습도가 높은 날이면 큰 소리로 운다. 전국에서 관찰되며, 세계적으로는 일본, 러시아, 몽골, 중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2]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에 서식한다. [4]

  • 4월부터 논에 모를 심기 위해 물을 댄 농경지에 교미를 위해 몰려들기 시작하여, 밤새도록 울음소리를 낸다. 번식 기간 이외에도 기압의 변화에 반응하여 저기압 전선이 다가오면 흥분하여 운다. 따라서 청개구리가 매우 큰 소리로 울기 시작하면 비가 올 확률이 높다. 번식은 4월에서 8월 사이에 이루어지지만, 지역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번식기 수컷의 앞발가락에 생식 혹인 노란색 육괴(肉塊, nuptial pad)가 나타나는데 이로써 암컷의 몸을 단단히 껴안는다. 논이나 습지 등의 고여 있는 물에 알을 낳는다. 알 덩어리는 작고, 여러 차례에 걸쳐 알을 10여 개씩 작은 덩어리로 수초 등에 부착시켜 산란한다. 알의 수는 250~800개 정도이다. 올챙이는 최대 50mm까지 성장하고,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변태하여 상륙한다. 울음소리는 몸의 크기에 비해 매우 크다. ‘쿠에―퀘―퀘―퀘’ 또는 ‘케―케―케’ 하고 연속적으로 운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개구리소리

    [4]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