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간질

Fasciola hepatic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간질

Fasciola hepatic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간질

Fasciola hepatic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간질 Fasciola hepatica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 Rhabditophora > Neodermata > Trematoda (흡충강) > Digenea > Echinostomida (극구흡충목) > Echinostomatoidea (극구흡충상과) > Fasciolidae (간질과) > Fasciola (간질속) > hepatica (간질)
이명정보
[국명이명]
(북한명) 간질

성충은 몸이 매우 크고 배복측으로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나뭇잎 모양 또는 상당히 길며 앞뒤 양쪽으로 뾰족하다. 몸길이가 30,000~35,000이고 폭은 9,000~16,000이다. 체표피에는 작은 피극이 분포한다. 전단에 있는 구흡반은 일반적으로 복흡반보다 작고 675~950×1,000~1,300 크기이다. 전인두는 없다. 인두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길이가 700~1,200(847)이고 폭은 450~700(553)이다. 식도는 통상적으로 매우 짧고 길이가 250~700이다. 잘 발달되어 있는 큰 복흡반이 원추형 돌기 기부 정중앙에 위치하며 1,325~1,725×1,200~1,575 크기이다. 이 흡충은 목축업이 성행하는 국가의 초식동물이 보편적으로 많이 감염되어 있다. 인체감염은 마름, 물냉이, 물대나무 등 식용 수초에 부착되어 있는 피낭유충을 섭취하거나 소의 생간을 먹음으로써 야기된다. 한국(강원, 경기, 경북, 경남, 전남, 제주), 전 세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1] 국립생물자원관(2014),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