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중부 이남의 낮은 지대, 특히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식물로 길이 5m에 이른다. 잎은 마주나며 3~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난형 내지 피침형이며, 잎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비슷하며 간혹 결각상으로 얕게 갈라진다. 잎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9월에 백색으로 피는데 지름 2~3cm로서 잎겨드랑이 또는 가지 끝의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에 달리고, 많은 꽃이 뒤덮으며 향기가 있다. 꽃받침잎은 4개로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mm, 수술대가 꽃밥보다 길다. 꽃잎은 없다. 꽃자루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로 잔털이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비슷한 종인 으아리는 꽃자루에 털이 없으며, 잎 밑부분이 넓은 쐐기 모양이므로 다르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대만, 중국 [2]
중부 이남 [2]
-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17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뇌질환(신경세포) 개선 물질 탐색 TrkB endocytosis assay TrkB endocytosis assay 2 면역증진 NF-kB Luciferase assay NF-kB Luciferase assay 3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개선 효과 XRE Luciferase assay XRE luciferase assay 4 세포독성시험 MTT assay MTT assay 5 세포독성시험 Neutral red assay Neutral Red Uptake assay (Cell Viability test) 6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Palmitate-induced ER stress test CCK-8 Viability test 7 소포체 스트레스 실험 CCK-8 Viability test CCK-8 Viability test 8 항균 Disc difussion assay 9 항바이러스 IF assay SARS-CoV-2 IF assay 10 항바이러스 바이러스 유전자 발현 검출(RT-PCR법) RT-PCR 논문 (총 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Mitochondrial proteomic analysis reveals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i>Clematis terniflora</i> DC. leaves under high-level UV-B radiation followed by dark treatment Tao, Minglei;Zhu, Wei;Han, Haote;Liu, Shengzhi;Liu, Amin;Li, Shouxin;Fu, Hongwei;Tian, Jingkui; Journal of proteomics 2022 2 Mitochondrial proteomic analysis reveals th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Clematis terniflora DC. leaves under high-level UV-B radiation followed by dark treatment. [Minglei Tao, Wei Zhu, Haote Han, Shengzhi Liu, Amin Liu, Shouxin Li, Hongwei Fu, Jingkui Tian] Journal of proteomics 2022 3 Uses, chemical compositions,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toxicology of Clematidis Radix et Rhizome- a Review Lin, Tian-feng;Wang, Lu;Zhang, Yu;Zhang, Jin-hua;Zhou, De-yong;Fang, Fang;Liu, Lu;Liu, Bin;Jiang, Yan-yan;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1 4 A 13-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y of ChondroT in Sprague-Dawley Rats Jeong, Jiwon;Bae, Kiljoon;Kim, Jihoon;Choi, Chanhun;Na, Changsu;Park, Myeongkyu;Kim, Youngran;Seo, Chang-Seob;Kim, Seon-Jong; Bmc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9 5 PENGARUH VARIASI SUHU PENGERINGAN TERHADAP SIFAT FISIKO KIMIA TEH DAUN SAMBILOTO (Andrographis paniculata) Patin Elsa Wiriana;Zaini Mohammad Abbas;Sulastri Yeni; Pro Food 2018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산이나 마을 주변에서 쇠매덩굴(참으아리)을 채취하여 찧은 후 이가 아플 때, 고름 난 곳에 바른다. 2 구전 약용 여름에 담장에서 새매당넝쿨(참으아리)을 채취하여 갈아서 하루거리, 학질에 콧구멍을 막고 동네를 한바퀴 돈다. 3 구전 약용 봄부터 가을까지 마을 주변에서 새매당덩굴(참으아리) 덩쿨째 채취하여 찧은 후 호박껍질로 자래가 든 부위에 붙인다. 4 구전 약용 시기에 관계없이 밭이나 산에서 채취한 새마담덩굴(참으아리) 줄기, 뿌리를 달인 물을 하루에 소주컵으로 1컵씩 마시면 기생충으로 인한 가슴 통증에 효과가 있다. 독해서 많이 먹으면 안 되며 소아는 마시지 말아야 한다. -
표본 (총47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615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고흥... 거금도 / 2008-08-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629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고흥... 거금도 / 2008-09-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5765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제주특별자치도... / 2008-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299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북도 고창... / 2007-07-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246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보성... 황어산 / 1999-08-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420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북도 부안... / 2006-09-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5577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북도 군산... / 2006-09-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9327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해남... / 2002-04-1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9332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북병산 / 1997-05-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2999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충청남도 보령... / 2007-09-21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49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501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52502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DNA 1건 NIBRGR0000068593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대학교 / 2007-09-05 조직 1건 NIBRGR0000071055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제주특별자치도... 상추자도 / 2009-08-25 조직 1건 NIBRGR0000071428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제주특별자치도... 상추자도 / 2009-08-25 조직 1건 NIBRGR0000077982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2 조직 1건 NIBRGR0000081090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10 조직 1건 NIBRGR0000084086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진도... . / 2009-08-26 조직 1건 NIBRGR0000084348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전라남도 신안... 흑산도 / 2009-09-09 조직 1건 NIBRGR0000094907 Clematis terniflora DC. / 참으아리 경기도 안성시... / 2006-03-07 조직 1건 -
염기서열 (9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rbcL_1F_724R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Clematis terniflora DC. 참으아리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