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호두나무

Juglans regi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호두나무

Juglans regi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호두나무

Juglans regia L.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호두나무 Juglans regia L.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Hamamelidae (조록나무아강) > Juglandales (가래나무목) > Juglandaceae (가래나무과) > Juglans (가래나무속) > regia (호두나무)
이명정보
[국명이명]
호도나무

가래나무목 가래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중국 원산이며 민가 주변에 식재하는 낙엽 큰키나무로 높이 10~20m 정도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밤색이고 밋밋하지만 깊게 갈라진다. 잔가지는 털이 없고 녹갈색이며 잔털이 있다. 잎은 작은잎 5, 7장으로 된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폭 5~7cm,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털이 거의 없다. 꽃은 4~5월에 암수한그루에 핀다. 수꽃이삭은 전년도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길이 15~30cm, 수술은 6~30개이다. 암꽃이삭은 햇가지 끝에 달리며, 1~4개의 암꽃이 모여난다. 열매는 견과로 육질의 껍질에 싸여 있는 핵과 모양이며, 9~10월에 익는데 둥글고 표면에 털이 없다. 이 종은 열매가 둥글고, 털이 없는 점에서 난형으로 샘털이 많은 가래나무와 구별된다. 또한 가래나무에 비해 작은잎은 7장 이하이고, 톱니가 없으며 열매는 4칸으로 나뉘므로 구별된다. 목재는 가구재, 조각재로 쓰며, 열매는 식용한다. 호두 기름은 약재로 쓰고 비누, 잉크, 화장품 원료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주로 식재하고, 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 북반구 온대에서 널리 재배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원산), 동아시아, 유럽, 북미(식재) [2]

    중부 이남(식재) [2]

  • 낙엽활엽수로 꽃은 5월에 피며, 열매는 9~10월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3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Sorrento' and 'Tulare' Walnut Cultivars: Morphological Traits and Phytochemical Enhancement of Their Shell Waste. [Elvira Ferrara, Danilo Cice, Simona Piccolella, Assunta Esposito, Milena Petriccione, Severina Pacifico]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4
    2 Transcriptomic Evidence of a Link between Cell Wall Biogenesis, Pathogenesis, and Vigor in Walnut Root and Trunk Diseases. [Houston J Saxe, Sriema L Walawage, Bipin Balan, Charles A Leslie, Patrick J Brown, Gregory T Browne, Daniel A Kluepfel, Andreas Westphal, Abhaya M Dandekar]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4
    3 Characteristic analysis of BZR genes family and their responses to hormone treatments and abiotic stresses in Carya illinoinensisa. [Yirui Zhao, Haoyu Wang, Yifan Xu, Ketao Wang, Chunying Huang, Yangyong Deng, Jianqin Huang, Yan Li] Plant science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experimental plant biology 2024
    4 Superior rat wound-healing activity of green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from acetonitrile extract of <i>Juglans regia</i> L: Pellicle and leaves. [Afaf H Al-Nadaf, Areej Awadallah, Samar Thiab] Heliyon 2024
    5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henolic extracts from walnut (<i>Juglans regia L.</i>) green husk by using pressure-driven membrane process. [Hudaverdi Arslan, Eda Ondul Koc, Yasin Ozay, Oltan Canli, Sadin Ozdemir, Gülsah Tollu, Nadir Dizge]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23
    6 Molecular Identification of <i>Juglans Regia</i> Endophyte LTL-G3, Its Antifungal Potential and Bioactive Substances. [Yuanru Hao, Jianchao Hui, Tianyu Du, Xiangrui Ge, Meizhi Zhai] Iranian journal of biotechnology 2023
    7 Comparison of different drying technologies for walnut (<i>Juglans regia</i> L.) pellicles: Changes from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to potential application. [Li Qingyang, Wang Ruohui, Sun Shiman, Shen Danyu, Mo Runhong, Liu Yihua] Food chemistry: X 2023
    8 A two-generational reproductive study to assess the effects of Juglans regia on reproductive developments in the male and female rats. [S Suri, S S Khan, S Naeem, S Majeed, N Sultana, S Khadim, R A Khan] Brazilian journal of biology = Revista brasleira de biologia 2023
    9 Genome-Wide Identification of the CBF Gene Family and ICE Transcription Factors in Walnuts and Expression Profiles under Cold Conditions. [Huijuan Zhou, Jiayu Ma, Hengzhao Liu, Peng Zhao]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3
    10 Incongruent dissolution of silicates and its impact on the environment: an example of a talc mine. [Alicja Kicińska, Radosław Pomykała] Scientific reports 2023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8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재배한 호두나무 열매를 까서 알맹이를 남자오줌으로 삭혀 가래, 천식, 간경화 있을 때 섭취한다.
    2 구전 약용 야생에서 채취한 호두(호두나무) 알갱이를 밥 위에 찌거나 베헝겊에 짜서 나온 기름을 소아가 경기할 때 먹인다.
    3 문헌 약용 산저, 치육, 백자, 진자, 포도, 미호도, 산약, 타락죽, 녹두죽
    4 문헌 식용 호두에 구멍을 3~4개 뚫는다. 고기 덩이 1말[斗]에 호두 3~4개를 같이 삶으면 나쁘지 않다.
    5 구전 약용 가을에 추자(호두나무)를 채취하여 밥에 쪄서 기름을 짜서 귓병 걸렸을 때 넣는다.
    6 구전 약용 마을주변 산에서 추자(호두나무)를 채취하여 열매를 찧어 기름이 나오면 귀앓이에 발라준다.
    7 구전 약용 추자(호두나무)를 찧어 그 짠물을 귓병 걸린 사람의 귀에 넣어 준다.
    8 문헌 약용 호도를 많이 먹으면 동(銅)은 자연히 녹아나온다.
    9 문헌 약용 어떤 한 처방에는 호도를 잿불에 넣어 익혔다가 잘 때 따뜻한 술과 함께 씹어 먹는다.
    10 문헌 약용 율자 홍조 호도 시병. 네 과일을 씨핵과 껍질을 제거한 후 주발 안에서 함께 짓찧고 고르게 반죽하여 두꺼운 떡을 빚은 후 햇볕에 말리고 거두어 가뭄일 때 식량을 아끼기 위한 방책으로 삼는다.
  • 표본 (총6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229751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남도 천안... 성거산 / 1998-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2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북도 보은... 속리산 / 2001-09-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3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남도 아산... 영인산 / 2006-05-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4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남도 아산... 배방산 / 2006-05-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5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남도 아산... 배방산 / 2006-05-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6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남도 홍성... 지기산 / 2007-07-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29757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전라남도 장성... / 1989-06-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35674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북도 단양... 태화산 / 2010-07-27 건조표본 2건
    NIBRVP0000278631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영월군... 수라리재 / 2008-07-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5634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삼척시... 도화산 / 2011-07-20 건조표본 1건

    소재 (총3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7839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영월군... 수라리재 / 2008-07-29 조직 1건
    NIBRGR0000126017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동해시... 두타산 / 2012-07-05 조직 1건
    NIBRGR0000138523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전라북도 무주... 적상산 / 2012-06-10 조직 1건
    NIBRGR0000422357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영월군... 수라리재 / 2008-07-29 DNA 1건
    NIBRGR0000422358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영월군... 수라리재 / 2008-07-29 DNA 1건
    NIBRGR0000422369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동해시... 두타산 / 2012-07-05 DNA 1건
    NIBRGR0000422370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강원도 동해시... 두타산 / 2012-07-05 DNA 1건
    NIBRGR0000422371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전라북도 무주... 적상산 / 2012-06-10 DNA 1건
    NIBRGR0000422372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전라북도 무주... 적상산 / 2012-06-10 DNA 1건
    NIBRGR0000593070 Juglans regia L. / 호두나무 충청북도 영동... / 2018-09-28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Juglans regia L. 호두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Juglans regia L. 호두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Juglans regia L. 호두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