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아욱목 피나무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산지 숲속 및 계곡 주변에서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높이 20m, 너비 1m까지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으로 세로로 얇게 갈라진다. 잎은 서로 엇갈려 달리며, 넓은 난형으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아래쪽은 심장 모양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가 있고, 길이는 3~9cm이다. 잎자루는 1.5~6cm이다. 꽃은 5~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산방꽃차례에 3~20개 정도가 무리를 지어 연한 노란색으로 피며, 많은 수술이 꽃 밖으로 돌출한다. 열매는 견과, 도란형이며, 8~9월에 황백색으로 익으며, 겉에 줄무늬가 있고, 갈색 털이 빽빽하게 달린 기다란 포가 달려, 바람에 날린다. 식물체는 전체적으로 털이 거의 없는 점에서 별 모양의 털이 많은 찰피나무를 비롯한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관상용, 밀원용으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기구재, 조각재, 포장재로 이용하며, 나무껍질은 새끼줄 대용으로 쓴다. 달피나무, 참피나무, 털피나무, 달피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라며, 러시아 극동 지방, 중국 동북 지방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극동), 중국(동북지방) [3]
전국 [3]
-
낙엽활엽수로 꽃은 5~7월에 필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데, 갈색털이 달린 기다란 포가 달려 바람에 날린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7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3 항알레르기 IL-4 분비 및 발현 억제 측정 IL-production assay 4 항알레르기 MTT assay MTT assay 5 항암 MTT assay 항폐암 MTT assay 6 항염 MTS assay MTS assay 7 항염 NO assay Griess reagent assay 논문 (총 1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Molecular Surveillance for Bocaparvoviruses and Bufaviruses in the European Hedgehog (<i>Erinaceus europaeus</i>). [Vittorio Sarchese, Andrea Palombieri, Ilaria Prandi, Serena Robetto, Luigi Bertolotti, Maria Teresa Capucchio, Riccardo Orusa, Mitzy Mauthe von Degerfeld, Giuseppe Quaranta, Massimo Vacchetta, Vito Martella, Barbara Di Martino, Federica Di Profio] Microorganisms 2024 2 Anti-SARS-CoV-2 Activity of a Polyphenolic Complex from Maackia amurensis. [N V Krylova, O V Iunikhina, S A Fedoreev, A B Pott, E V Persiyanova, N P Mishchenko, D V Tarbeeva, M Y Shchelkanov] Bulletin of experimental biology and medicine 2024 3 Dynamic transcriptome analysis provides molecular insights into underground floral differentiation in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Hui Xin, Lifan Zhang, Hongtao Wang, Xingzun Zhu] BMC genomic data 2024 4 High-quality chromosome-level genome assembly of the Northern Pacific sea star Asterias amurensis. [Zhichao Huang, Qi Liu, Xiaoqi Zeng, Gang Ni] DNA research :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rapid publication of reports on genes and genomes 2024 5 Interdigitated impedimetric-based Maackia amurensis lectin biosensor for prostate cancer biomarker. [Siti Fatimah Abd Rahman, Mohd Khairuddin Md Arshad, Subash C B Gopinath, Mohamad Faris Mohamad Fathil, Frédéric Sarry, Conlathan Ibau, Omar Elmazria, Sami Hage-Ali] Mikrochimica acta 2024 6 Amurensin G Sensitized Cholangiocarcinoma to the Anti-Cancer Effect of Gemcitabine via the Downregulation of Cancer Stem-like Properties. [Yun-Jung Na, Hong Kyu Lee, Kyung-Chul Choi] Nutrients 2023 7 Occurrence, dietary influence and risks of selected trace metals in different coastal predatory species. [Le Chao, Gang Ni, Yunfeng Ge, Chi Zhang, Jingrui Chen, Jiachen Sun] Environmental research 2023 8 Metabolic response of the Siberian wood frog Rana amurensis to extreme hypoxia. [Sergei V Shekhovtsov, Nina A Bulakhova, Yuri P Tsentalovich, Ekaterina A Zelentsova, Lyudmila V Yanshole, Ekaterina N Meshcheryakova, Daniil I Berman] Scientific reports 2020 9 Evidence that Maackia amurensis seed lectin (MASL) exerts pleiotropic actions on oral squamous cells to inhibit SARS-CoV-2 infection and COVID-19 disease progression. [Stephanie A Sheehan, Kelly L Hamilton, Edward P Retzbach, Premalatha Balachandran, Harini Krishnan, Paola Leone, Gary S Goldberg] Research square 2020 10 Ectopic Expression of Grapevine Gene <i>VaRGA1</i> in <i>Arabidopsis</i> Improves Resistance to Downy Mildew and <i>Pseudomonas syringae</i> pv. <i>tomato</i> DC3000 But Increases Susceptibility to <i>Botrytis cinerea</i>. [Shanshan Tian, Xiangjing Yin, Peining Fu, Wei Wu, Jiang Lu]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9 특허 (총 1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PLANT DERIVED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PLANT EXTRACTS Anne ROSSIGNOL-CASTERA|Annabelle L'HERMITTE 2021-01-14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농사용 산에서 채취한 피나무로 논을 가는 써래를 만든다. 2 구전 생활용 계절에 관계없이 산에서 채취한 피나무 속껍질을 벗겨 밧줄을 만들어 소 잡는 끈으로 사용한다. 3 구전 농사용 여름에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 줄기 속을 파서 벌통을 만든다. 4 구전 생활용 여름에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 속껍질을 꼬아서 노끈이나 지게줄을 만들어 사용한다. 5 구전 생활용 가을에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 껍질(속껍질)을 말려두었다가 가늘게 쪼갠 다음 꼬아서 바구니를 만들어 사용하고 나무줄기는 속을 파서 벌통으로 사용한다. 6 구전 생활용 피나무의 줄기는 생활용품 제작에 이용되는데 겨울에 채취한 나무로는 벌통, 여름에 채취한 나무로는 여물통을 만들고, 껍질로는 한지를 만들거나 지게꼬리, 설피, 소바를 제작한다. 7 구전 문화용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로 바둑판을 만든다. 8 구전 생활용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 껍질을 다래나무로 만든 설피에 꼬아 사용한다. 9 구전 농사용 야생에서 채취한 피나무의 껍질을 벗겨 줄을 꼬아 농기구 등을 엮는다. 10 구전 생활용 가을에 산에서 채취한 피나무를 베어 말린 뒤 파내서 그릇을 만든다. -
표본 (총41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00521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충청남도 홍성... 오서산 / 1999-07-07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00525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충청북도 보은... 구병산 / 2001-06-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892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제주특별자치도... / 2003-07-08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893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봉화... / 2004-08-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894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봉화... / 2004-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3895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울진... / 2004-05-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1051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평창군... / 1998-08-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1053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함백산 / 1999-06-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1055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화천군... 복주산 / 2000-08-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4003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삼척시... / 2004-05-2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8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8408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 2008-07-01 DNA 1건 NIBRGR0000068428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 2008-07-01 조직 1건 NIBRGR0000077781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봉화... 면산 / 2008-07-28 DNA 1건 NIBRGR0000077811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봉화... 면산 / 2008-07-28 조직 1건 NIBRGR0000078450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평창군... 황병산 / 2008-07-01 DNA 1건 NIBRGR0000085010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전라남도 광양... 백운산 / 2009-06-06 조직 1건 NIBRGR0000085144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경상북도 봉화... 면산 / 2008-07-28 DNA 1건 NIBRGR0000085578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고성군... 마산 / 2010-07-07 조직 1건 NIBRGR0000085590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인제군... 점봉산 / 2010-07-15 조직 1건 NIBRGR0000085722 Tilia amurensis Rupr. / 피나무 강원도 고성군... 마산 / 2010-07-07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Tilia amurensis Rupr. 피나무 rbcL rbcL_Z1-F/rbcLa-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