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Cotyledon japonica (Makino) H. Ohba
산지와 바닷가의 바위 겉, 지붕이나 담장 위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지만 꽃이 피고 나면 죽는다. 줄기는 꽃이 필 때 높이 10~40cm다. 뿌리잎은 땅 위에 붙어서 방사상으로 퍼지며, 끝이 딱딱해져서 가시처럼 된다. 줄기잎은 다닥다닥 달리며, 녹색이지만 종종 붉은빛을 띠고, 피침형, 길이 3~6cm, 폭 0.5~1.5cm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9~10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서 난 길이 5~30cm의 총상꽃차례에 빽빽하게 달리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없다. 꽃싸개잎은 피침형,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 조각은 5장, 피침형이다. 꽃잎은 5장, 피침형, 길이 5~6mm,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 꽃잎보다 길다. 꽃밥은 어두운 붉은색이다. 암술은 5개다. 열매는 골돌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둥근바위솔에 비해서 잎은 피침형으로 더욱 가늘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꽃잎은 피침형이므로 구분된다. 관상용 및 식용으로 가치가 높은 식물자원이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 일본 [2]
일본, 러시아 [3]
-
여러해살이풀이나 꽃이 피고 나면 죽는다. 꽃은 9~10월에 핀다. 가뭄에 강하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6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23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균 Disc difussion assay 3 항산화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4 항산화 ABTs assa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5 항산화 Total phenolic contents 6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7 항산화 Reducing power Reducing power 8 항산화 DPPH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9 항산화 Flavonoids content 10 항산화 Total anthocyanin content 논문 (총 1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Synthesis, Structure Revision,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vestigation of Putative Blumeatin Xia, Kai;Qi, Wei-Jin;Wu, Xiao-Qiang;Song, Yu-Yang;Zhu, Jun-Jie;Ai, Yi;Cui, Zhen;Zhang, Zheng-Ping;Tang, Shu-Ai;Gui, Yu-Ting;Yuan, Yue;Wang, Lu;Zhong, Hang; ACS omega 2023 2 Borneol: A Plant-Sourced Terpene with a Variety of Promising Pharmacological Effects Rajput, Amarjitsing;Kasar, Aditi;Thorat, Shruti;Kulkarni, Madhur; The Natural Products Journal 2022 3 Effects of ultraviolet‐C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saccharide films prepared from the stalk base of oyster mushrooms (<i>Pleurotus ostreatus</i>) Han, Hee‐Seon;Song, Kyung Bin;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 technology 2021 4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임은경;양재찬;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2021 5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임은경;양재찬;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2021 6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ssential Oil from Leaves of <i>Blumea balsamifera</i> (L.) DC through Inhibiting TLR4/NF-kB Signaling Pathways and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in LPS-induced RAW264.7 Macrophage Cells Liao, Jiamei;Xie, Xueyan;Wang, Wanlin;Gao, Yue;Cai, Yaling;Peng, Junchao;Li, Tianzhen;Yi, Qiong;He, Changliang;Wang, Lu; Journal of essential oil-bearing plants 2021 7 Anti-Diabetic Property of Catharanthus roseusleaves and Psidium guajava Leaves Shukla Megha;M.Sc. Student, Department of Nutrition and Dietetics, Manav Rachna International Institute of Research and Studies, Manav Rachna International University, Faridabad, India;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AYURVEDA, YOGA, UNANI, SIDHHA & HOMEOPATHY 2020 8 자생 바위솔(바위솔, 정선바위솔, 좀바위솔)의 형태적 특성과 성분 비교 정재한;박노복; 현장농수산연구지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and fisheries research 2019 9 Protective effect of Psidium guajava leaf ethanolic extract against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and lipidosis in rats Manikandan, R.;Anand, A. Vijaya;Sampathkumar, P.;Manoharan, N.; Indian journal of animal research 2018 10 First Report of <i>Pectobacterium carotovorum</i> subsp. <i>carotovorum</i> Causing Soft Rot of <i>Orostachys japonica</i> in Korea Cheon, W.;Jeon, Y. H.; Plant disease 201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오래된 기와에서 바위솔을 채취하여 달여서 삭신이 아플 때 그 물을 먹는다. 2 문헌 약용-초부하품-하 맛은 시고 성질은 평하며 독이 없다. 입안이 마르면서 아픈 것, 수곡혈리 등을 치료하며 출혈을 멈춘다. 지붕 위에서 자라는데 갓 돋은 다북쑥같다. 일명 와송이라고도 한다. 여름에 뜯어 햇볕에서 말린다. 잎은 다북쑥 비슷하고 1자 남짓하게 자란다. 멀리서 보기에는 소나무같다. 오래된 기와지붕에서 자란다. (당본주) 지금은 어느 곳에서나 다 자란다. 눈썹이나 머리털을 나게 하는데 고약에 넣어 쓴다. (별본주) 음력 6∼7월에 싹을 캐서 햇볕에 말린다. (촉본도경) 3 구전 약용 와송 전체를 달여서 먹음 4 구전 약용 암에는 와송을 생으로 갈아서 먹음 5 구전 약용 암에 와송 전체를 말려서 삶아 먹음 6 구전 약용 탑나물 전체를 뱀에 물렸을 때 찧어서 붙임 7 구전 약용 와송 전체를 암에 갈아서 먹음 8 구전 약용 암 예방에 바위솔을 달여 마심 -
표본 (총18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10983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인천광역시 옹... / 2007-10-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2790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구미... 꺼먼재산 / 2004-10-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3636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충청남도 보령... 원산도 / 2007-09-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8404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울진... / 1999-09-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8405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안동... / 1998-09-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8514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울진... / 1999-06-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8515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전라남도 해남... 흑석산 / 2003-10-0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18516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주왕산 / 1999-07-1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43463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충청남도 서산... 묘도 / 2006-08-23 건조표본 2건 NIBRVP0000155702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안동... 영지산 / 2008-07-14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4791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전라남도 강진... 만덕산 / 2009-09-12 조직 1건 NIBRGR0000117150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북도 안동... / 2010-10-09 조직 1건 NIBRGR0000120956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충청남도 태안... / 2011-09-08 조직 1건 NIBRGR0000158199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전라북도 군산... 선유도 / 2014-04-04 종자 1건 NIBRGR0000158200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전라북도 군산... 선유도 / 2014-04-04 종자 1건 NIBRGR0000170362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부산광역시 남... / 2014-11-21 종자 1건 NIBRGR0000397870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충청남도 태안... / 2011-09-08 DNA 1건 NIBRGR0000400899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충청남도 당진... / 2015-08-22 조직 1건 NIBRGR0000400939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제주특별자치도... / 2015-10-18 조직 1건 NIBRGR0000400945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 바위솔 경상남도 통영... / 2015-10-24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바위솔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Orostachys japonica (Maxim.) A. Berger 바위솔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