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Phaseolus max L.
콩목 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이 원산인 자원식물로 들판이나 밭에 재배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보통 곧게 자라고 높이 60cm, 전체에 갈색 털이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잎자루는 길이 12~16cm, 가운데 작은잎은 난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길이 7~9cm, 폭 5~7cm, 윗부분이 짧게 뾰족하거나 둥글다. 잎 양면에 털이 덮여 있다. 꽃은 7~8월에 연한 붉은 보라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종 모양, 길이 4~6mm, 5갈래로 갈라졌다. 꽃부리는 나비 모양이다. 수술은 10개이고 가운데에서 9개의 밑부분이 붙어 있다. 열매는 협과, 납작한 모양의 긴 타원형, 길이 3~5cm, 9~10월에 익는데 겉에 긴 털이 덮여 있으며, 1~4개의 씨가 들어 있다. 씨의 색과 모양에 따라 다양한 품종들이 있다. 잎과 열매를 식용하며, 가축의 먹이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 및 전 세계 각지에서 재배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 세계(재배) [2]
우리나라 북부지방(원산), 전국(재배) [2]
-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익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427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8O19 114077-04-2 959.133 2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7H74O18 152505-08-3 927.091 3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8O19 114590-20-4 959.133 4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2H68O14 55304-02-4 796.991 5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8H78O18 51330-27-9 943.133 6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7H76O18 152505-07-2 929.107 7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1H66O13 108906-97-4 766.965 8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자극제 C47H76O17 55319-36-3 913.107 9 CYP1A2 억제제 C16H12O5 40957-83-3 284.268 10 CYP1A2 억제제 C16H12O4 486-63-5 268.268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3,34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gro-ecological aspects of soybean (Glycine max L.) cultivation in Ukraine Zabarna T.;Chereshnyuk V.; Agroecological journal 2024 2 The effect of sodium nitroprusside levels on germination indices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soybean (Glycine max) seedlings under accelerated aging test Saadat Haniyeh;Sedghi Mohammad; Journal of Seed Research 2024 3 The Pengaruh Germinasi terhadap Sifat Fisikokimia dan Organoleptik Flakes Tepung Kedelai Putih (Glycine max L.) Nirwesthi Kartika K;Suhartatik Nanik;Nuraini Vivi; AGRITEKNO: Jurnal Teknologi Pertanian 2024 4 Daidzein and Equol: Ex Vivo and In Silico Approaches Targeting COX-2, iNOS, and the Canonical Inflammasome Signaling Pathway Márquez-Flores, Yazmín K.;Martínez-Galero, Elizdath;Correa-Basurto, José;Sixto-López, Yudibeth;Villegas, Isabel;Rosillo, María Á.;Cárdeno, Ana;Alarcón-de-la-Lastra, Catalina; Pharmaceuticals 2024 5 Purpureocillium lilacinum SBF054: Endophytic in Phaseolus vulgaris, Glycine max, and Helianthus annuus; Antagonistic to Rhizoctonia solani; and Virulent to Euschistus heros Moreira, Flávia Melo;Machado, Túlio Iglésias;Torres, Caio Augusto Rosado;Souza, Hebert Ribeiro de;Celestino, Matheus Felipe;Silva, Marco Antônio;Gomes, Giovana Cidade;Cunha, Breno Beda dos Reis;Santos, Pedro de Luca Buffon dos;Carvalho Filho, Magno Rodrigues de;Castro, Marcelo Tavares de;Monnerat, Rose Gomes; Microorganisms 2024 6 Bioactive Compounds from Natural Products as RHOA/ROCK and VEGFR1 Inhibitors: An In-silico Approach for Developing Therapeutics for ALI/ARDS R, Rachana;Devtalla, Harshit;Agrawal, Arushi;Agarwal, Medha;Kadyan, Shreya; Biomedical & pharmacology journal 2024 7 Antifungal Efficacy of Nanodelivered Azoxystrobin against <i>Rhizoctonia solani</i> in Soybean (<i>Glycine max</i>) Hanna, Eban A.;Astete, Carlos E.;Price, Trey;Tamez, Carlos;Mendez, Omar E.;Garcia, Alvaro;Kewir, Fannyuy V.;White, Jason C.;Sabliov, Cristina M.; Acs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024 8 Distribution of nutrients,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rain-based milling fractions of <i>Glycine max</i> L Khan, Kiran Yasmin;Ali, Barkat;Li, Guanlin;Iqbal, Babar;Siddiqui, Nouman Rashid;Jabbar, Saqib;Ali, Iftikhar;Hassan, Ahmed M.;Binjawhar, Dalal Nasser;Abdel‑Hameed, Usama K.;Fahad, Shah;Du, Daolin; CYTA: journal of food 2024 9 Dandouchi Polypeptide Alleviates Depressive-like Behavior and Promotes Hippocampal Neurogenesis by Activating the TRIM67/NF-κB Pathway in CUMS-Induced Mice Wang, Zhongda;Cheng, Xiaolan;Shuang, Ruonan;Gao, Tiantian;Zhao, Tong;Hou, Dahai;Zhang, Yili;Yang, Jiangsheng;Tao, Weiwei;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24 10 Exogenous Application of Melatonin and Strigolactone by Regulating Morphophysiological Responses and Gene Expression to Improve Drought Resistance in Fodder Soybean Seedlings Xie, Fuchun;Liu, Yujiao;Zhao, Qianhan;Liu, Xiashun;Wang, Chen;Wang, Qinyi;Wei, Qiyun;Zhao, Xueying;Jiang, Jia;Liu, Rongxu;Chen, Yajun;Cui, Guowen;Han, Jianchun; Agronomy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80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간장(콩)을 끓여 치통이 있을 때 물고 이를 녹여 치통을 완화시켜준다. 2 구전 약용 생 콩자루에 동상 걸린 부분을 집어넣으면 동상치료에 효과가 있다. 3 구전 약용 콩나물(콩)을 따뜻한데 두어 나오는 물을 소아에게 백일해가 있을 때 먹인다. 4 구전 약용 하얀 메주콩(콩)을 자루에 담아 환부를 넣으면 동상 치료에 도움이 된다. 5 구전 약용 콩나물(콩), 엿이 없으면 꿀이나 설탕, 무를 놋그릇에 담고 따뜻한 장소에 뒀다가 하룻밤 지나고 이튿날 먹이면 기침이 완화된다. 6 구전 약용 두부(콩)를 끓이고 남은 물에 동상 걸린 환부를 넣어준다. 7 구전 약용 간장(콩)을 입에 머물고 있으면 치통이 완화된다. 8 구전 약용 재배한 쥐눈이콩(콩)을 따뜻하게 해서 손을 넣어주면 동상에 걸렸을 때 치료 효과가 있다. 9 구전 약용 된장(콩)을 발라주면 태열이 있을 때 해열 효과가 있다. 10 구전 약용 된장(콩)을 화상 상처에 발라준다. -
표본 (총1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331108 Glycine max (L.) Merr." / 콩 충청남도 태안... / 2010-08-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80793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춘천시... 대룡산 / 2011-09-03 건조표본 2건 NIBRVP0000418750 Glycine max (L.) Merr." / 콩 금정산 / 1975-07-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451384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정선군... 골지천 / 2013-09-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22801 Glycine max (L.) Merr." / 콩 경기도 파주시... / 2010-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23147 Glycine max (L.) Merr." / 콩 경기도 동두천... / 2010-08-2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765793 Glycine max (L.) Merr." / 콩 전라북도 전주... 모악산 / 1988-09-1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1526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인제군... / 2020-09-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1577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812752 Glycine max (L.) Merr." / 콩 충청북도 청주... / 2020-09-08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385625 Glycine max (L.) Merr. / 콩 전라남도 담양... / 2016-10-13 조직 1건 NIBRGR0000605332 Glycine max (L.) Merr. / 콩 전라남도 담양... / 2016-10-13 DNA 1건 NIBRGR0000626247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인제군... / 2020-09-04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248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인제군... / 2020-09-04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249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인제군... / 2020-09-04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356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357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358 Glycine max (L.) Merr. / 콩 강원도 고성군... / 2020-09-05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931 Glycine max (L.) Merr. / 콩 충청북도 청주... / 2020-09-08 건조시료 1건 NIBRGR0000626932 Glycine max (L.) Merr. / 콩 충청북도 청주... / 2020-09-08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Glycine max (L.) Merr. 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Glycine max (L.) Merr. 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Glycine max (L.) Merr. 콩 rbcL rbcL_aF/rbcL_c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朴鍾聲, 劉勝憲, 印茂成, 盧泰弘 (1983) 콩種子에서 檢出된 Mycoflora와 그 病原性. 농업과학연구 10 (2) : 263 – 268
한국 ( ) -
崔寬三, 朴鍾聲 (1984) 遺傳子 保存을 위한 種子의 長期保存에 關한 研究. 농업과학연구 11 (1) : 94 – 102
한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