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산기슭의 그늘지고 습한 곳, 냇가와 습지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30~60cm, 윤기가 나고 둥글며 속은 비었고 겉은 연보라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으로 된다. 잎몸은 심장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14cm, 폭 3~17cm이다. 잎자루는 길이 5~20cm이다.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 잎의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서 줄기집으로 된다. 가운데 작은잎은 마름모꼴 삼각형 또는 마름모꼴 넓은 난형, 길이 3~8cm, 폭 2~6cm, 끝이 날카롭고 아래는 급하게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불규칙한 이중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겹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흰색, 도란형이고 끝부분은 안으로 말린다. 열매는 분과, 긴 타원형, 단면은 5각형, 8~9월에 익는데 2갈래로 갈라진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독특한 향기가 있어서 방향성 채소로 재배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꽃자루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꽃차례가 불규칙하게 벌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어린잎을 식용, 뿌리와 줄기를 약용한다. 반디나물, 참나물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도 [2]
대만, 일본, 중국 [4]
일본, 중국 [3]
전국 [3]
-
개화기: 6-7월(결실기 7-9월). [2]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7),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4] 국립생물자원관(2012),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14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1 항균 Disc difussion assay 2 항산화 Total phenolic contents 3 항산화 NO assay NO inhibition 4 항산화 ABTs assay ABTs assay 5 항산화 Flavonoids content 6 항산화 Total anthocyanin content 7 항산화 Hydrogen peroxide 라디칼 소거능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8 항산화 DPPH assay DPPH assay 9 항산화 Reducing power Reducing power 10 항알레르기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 평가 Histamine realease assay - PLA2 매개성 비만세포 활성화 억제효과 측정 논문 (총 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A c-MWCNTs/AuNPs-based electrochemical cytosensor to evaluate the anticancer activity of pinoresinol from Cinnamomum camphora against HeLa cells Zhou, Haixu;Huang, Rengui;Su, Tongchao;Li, Bo;Zhou, Haoyu;Ren, Jiali;Li, Zhonghai; Bioelectrochemistry 2022 2 Effect of sodium selenate foliar supplementation on Cryptotaenia japonica and Petroselinum crispum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y Kharchenko, V. A.;Moldovan, A. I.;Amagova, Z. A.;Matsadze, V. Kh.;Golubkina, N. A.;Caruso, G.; Ovoŝi rossii 2022 3 <i>Spiraea prunifolia</i> var. <i>simpliciflora</i> Attenuates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Responses in a Murine Model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ung Injury and TNF-α-Stimulated NCI-H292 Cells Lee, Ba-Wool;Ha, Ji-Hye;Shin, Han-Gyo;Jeong, Seong-Hun;Jeon, Da-Bin;Kim, Ju-Hong;Park, Ji-Young;Kwon, Hyung-Jun;Jung, Kyungsook;Lee, Woo-Song;Kim, Hyeon-Young;Kim, Sung-Hwan;Jang, Hyun-Jae;Ryu, Young-Bae;Lee, In-Chul; Antioxidants 2020 4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eaf and stem extracts <i>from Cryptotaenia japonica</i> Hassk Lu, Jun;Fu, Xinjing;Liu, Ting;Zheng, Ying;Chen, Jiahao;Luo, Feijun;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018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5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3월~5월에 채취한 방나물 잎, 줄기를 생으로 이용하거나(쌈) 전으로 부쳐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2 구전 식용 밤나물 잎을 데쳐서 무쳐 먹음 3 구전 식용 캐다가 말려 먹음 4 구전 식용 반디나물 전체를 채소로 먹음 5 구전 식용 데쳐서 무쳐 먹음 된장국을 끓여서 먹음 끓여 먹으면 석유냄새가 나서 거부감이 있어 맛은 덜함 -
표본 (총273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5608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전라남도 고흥... 거금도 / 2008-08-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482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충청남도 공주... / 2004-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483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제주특별자치도... / 2003-09-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484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전라북도 남원... / 2004-07-0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485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충청남도 천안... 태봉산 / 2004-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490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강원도 홍천군... 매화산 / 2005-07-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726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왕두산 / 1998-08-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727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강원도 화천군... 복주산 / 2000-08-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728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강원도 삼척시... 청옥산 / 1997-09-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08729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남도 함양... 지리산 / 2002-07-2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9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2289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충청남도 태안... . / 2008-10-08 조직 1건 NIBRGR0000052688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조직 1건 NIBRGR0000052689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08-09-03 DNA 1건 NIBRGR0000068596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대학교 / 2007-09-05 조직 1건 NIBRGR0000068659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북도 문경... 공덕산 / 2007-09-14 조직 1건 NIBRGR0000095238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울산광역시 울... / 2007-07-23 조직 1건 NIBRGR0000104645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남도 고성... 송구산 / 2010-08-05 조직 1건 NIBRGR0000107964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전라남도 화순... 백야산 / 2011-07-05 조직 1건 NIBRGR0000114372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11-06-13 종자 1건 NIBRGR0000114382 Cryptotaenia japonica Hassk. / 파드득나물 경상북도 울릉... 울릉도 / 2011-06-13 종자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ryptotaenia japonica Hassk. 파드득나물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Cryptotaenia japonica Hassk. 파드득나물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Cryptotaenia japonica Hassk. 파드득나물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Chang, Seog-Won ; Kim, Sung-Kee ; Yi, Eun-Sup ; Kim, Jin-Won (2001) Occurrence of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on Cryptotaenia japonica in Korea. Mycobiology 29 (4) : 227 – 229
연천 ( ) 남양주 ( ) 양평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