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nigra Lodd. ex Lindl.
마을 민가 주변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목본성이며 땅속줄기는 마디가 촘촘하며 길게 뻗고, 원줄기는 높이 4~8m에 달한다. 마디 사이는 짙은 녹색에서 점차 자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변하고, 포는 일찍 떨어진다. 가지는 마디에서 2~3개가 나고, 잎은 2~3개씩 달린다. 긴 피침형이고 길이 7~10cm, 너비 12mm이다. 꽃차례는 3.5~5.0cm이고, 작은이삭은 1.5~2.0cm이고, 꽃이 2~3개 들어 있다. 포영과 축에는 털이 있다. 내영은 1.2~1.5cm로 털이 많다. 꽃밥은 8mm이고,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꽃은 봄에 핀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마을 주변이나 집 마당가에 심는다. 줄기가 검게 변해 오죽이라고도 하며 검은 줄기로 쉽게 구분되지만 변이가 심하여, 많은 이명이 있다. 목재는 건축용, 조림 식수용, 죽세공용, 죽순은 식용, 죽렬은 약용한다. 검정대, 오죽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2]
재배 [2]
-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9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laccase that catalyzes the oxidative coupling of a hydroxycinnamic acid amide for hordatine biosynthesis in barley Ube, Naoki;Ishihara, Atsushi;Yabuta, Yukinori;Taketa, Shin;Kato, Yasuo;Nomura, Taiji; The Plant journal : for cell and molecular biology 2023 2 Antioxidant and Compositional HPLC Analysis of Three Common Bamboo Leaves Ma, Ning-Hui;Guo, Jing;Xu Chen, Si-Han;Yuan, Xiu-Rong;Zhang, Tong;Ding, Yue;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2020 3 Bamboo Stems ( <i>Phyllostachys nigra</i> variety henosis) Containing Polyphenol Mixtures Activate Nrf2 and Attenuate Phenylhydrazine-Induced Oxidative Stress and Liver Injury Yang, Ji Hye;Choi, Moon-Hee;Na, Chang-Su;Cho, Sam Seok;Kim, Jae Hoon;Ku, Sae Kwang;Cho, Il Je;Shin, Hyun-Jae;Ki, Sung Hwan; Nutrients 2019 4 Antioxidative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Bamboo Stems ( <i>Phyllostachys nigra</i> variety henosis) via PKA/CREB-Mediated MITF Downregula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Choi, Moon-Hee;Jo, Han-Gyo;Yang, Ji Hye;Ki, Sung Hwan;Shin, Hyun-Jae;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8 5 증기폭쇄 방법으로 국내산 대나무줄기에서 추출된 리그닌의 자외선 차단효과 양승화;최문희;신현재; KSBB Journal 2017 6 죽엽 열수추출물의 염증억제 효과 손진원;박상미;정지윤;황보민;조일제;정태영;박정아;김상찬;지선영;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2016 7 오죽 잎 용매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배현경;정신교;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2014 8 Optimisation of pressurised liquid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black bamboo leaves Shang, Y.F.;Kim, S.M.;Um, B.H.; Food chemistry 2014 9 각질형성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마가목, 쐐기풀, 죽여 및 오배자 혼합추출물의 항염 효과 이경은;남진주;김선미;김한곤;문성준;염종경;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201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5~6월에 장마철이 오면, 줄기가 곧고 잎이 짧으며 가지가 촘촘한 새 대를 골라서 화분에 심는다. 가로로 뻗은 뿌리를 각각 몇 마디가 연결된 채로 자르되, 연결된 줄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만약 조금이라도 움직이면 잎이 말려서 펴지지 않아 결국 말라 죽을 것이다. 오래되어 뿌리가 뻗어나가고 죽순이 많이 나오면 화분이 좁아서 담을 수 없으므로, 반드시 햇볕 드는 곳에 옮겨 심어야 한다. 처음 화분에 옮겨 심고 나서는 햇볕을 직접 쪼이지 말고 안에 들여놓아야 한다. 너무 덥게 하거나 얼게 해서는 안 되며, 마르지 않도록 물을 주어야 한다. 자기나 질그릇 화분을 사용한다. 2 구전 생활용 계절에 상관없이 대(분죽) 줄기를 잘라 바구니, 밥바구니 등을 제작하면 껍질이 얇고 연하여 탄력이 좋다. 3 구전 생활용 가을에 야생하는 분죽 가지를 베어 빗자루를 만들어 사용한다. 분죽을 봄에 베어서 사용하면 벌레 먹어서 나쁘다. 왕대는 이파리가 '남식남식 붙어'(성글게 나서) 빗자루 만들기엔 적합하지 않다. 4 구전 생활용 8월 경 금년에 난 대나무(분죽)을 잘라서 마당을 쓸 때 사용하는 대나무 빗자루를 만든다. 5 문헌 기타 우역(牛疫: 소의 전염병) 예방법 다른 방법 ; 석창포(石菖浦)․담죽엽(淡竹葉)․갈분(葛粉: 칡뿌리가루)․울금(鬱金)․녹두(菉豆)․창출(蒼朮)을 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가루를 낸 것 1냥, 파초에서 저절로 나온 즙 3되, 꿀 1냥, 황랍(黃蠟) 2전을 섞어 먹인다. 여전히 차도가 없으면 다시 먹인다. 열이 아주 심하면 대황(大黃)을 첨가하고, 콧잔등에 땀이 나지 않으면 마황(麻黃)을 첨가하고, 콧구멍에서 피가 나오면 포황(蒲黃)을 첨가한다. 6 문헌 식용 죽순[筍] 담죽순(淡竹筍)의 용법 : 순의 속살이 5~6치인 것을 채취하여 소금 속에 하룻밤을 두었다가 소금으로 닦는다. 된 죽 1말을 쑤어 5되로 나누어 소금 1되와 섞는다. 죽이 뜨거우면 반드시 식혀야 하고 죽순을 짠 죽 속에서 하루 두었다가 닦는다. 싱거운 죽 속에 넣을 때는 5일이면 먹을 수 있다. 7 문헌 식용 대나무[竹] 2월에 담죽(淡竹)의 순(筍)을 먹고 4월과 5월에는 고죽(苦竹)의 순을 먹는다.찌거나 삶아 식초에 담가두면, 사람에게 있어 좋은 것이 된다. 8 문헌 약용 중풍증을 치료하는 방법 - 입을 열지 못할 때는 오매육을 남성 · 세신가루와 섞어 자주 아구를 문질러 주면 저절로 열린다. 죽력 3홉[合]과 생강즙 1홉에 청심원(淸心元) 1알 또는 용뇌소합원(龍腦蘇合元) 3알을 타서 입속에 넣어 먹이거나, 참기름[香油]을 많이 먹이면 바로 소생한다. 9 문헌 약용 기궐증을 치료하는 방법 - 갑자기 상기(上氣)하여 목구멍이 닫혀 마치 코 고는 소리를 내거나, 가래가 목구멍에 있는 것처럼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폐절의 징후이다. 인삼고를 써서 구제하는 것이 좋다. 생강즙과 죽력을 마음껏 자주 먹인다. 만일 인삼고를 구하지 못할 때는, 우선 독삼탕을 달여 구제한다. 일찍 구제하는 경우에는 10의 7〜8명이 온전하고, 그 다음은 10의 4〜5명이 온전하며, 늦으면 10의 한 명도 온전하지 못한다. 10 문헌 약용 담궐증을 치료하는 방법 - 담궐이 갑자기 성해서 인사불성이 되고 목구멍 속에서 톱질하는 소리 같은 것이 난다. 서둘러 청유(淸油)를 많이 먹이고 담을 토하게 하면 낫는다. 또 죽력에 생강즙 약간을 섞고 청심원 1알을 먹인다. 또 계란노른자 3개를 어린아이 오줌에 섞어 먹이면 바로 소생한다. -
표본 (총23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474524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전라남도 신안... 가거도 / 2013-07-25 건조표본 2건 NIBRVP0000677786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790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791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794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800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802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803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808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677809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 오죽 제주특별자치도... / 2012-04-2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hyllostachys nigra (Lodd. ex Lindl.) Munro 오죽 rbcL rbcL_1F/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