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적색목록

적색목록이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에서는 야생생물의 멸종을 방지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 멸종 위험이 높은 생물을 선정하고 이들 종의 분포 및 서식 현황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1966년 최초로 이들의 정보를 모은 자료집을 발간하였는데 그 표지가 붉은색이어서 적색자료집(Red Data Book)이라고 부르며 여기에 실린 종의 목록을 적색목록(Red List)이라고 한다.

적색자료집

적색목록은 생물종을 멸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서식지, 개체군 규모, 서식지 및 생태, 이용 및 거래, 위협, 보전 조치 등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집중적인 보전 노력이 필요한 종 및 보호가 필요한 서식지의 보전 정책에 활용된다. 이처럼 적색목록은 단순히 종과 그 상태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생물다양성 보전 및 정책 변화를 위한 행동을 촉진하는 강력한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2022년 12월 CBD COP15에서 새롭게 채택된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는 적색목록지수(RLI; Red List Index)를 핵심지표로 사용하도록 하였고 적색목록지수는 적색목록 평가를 통해 생물그룹의 멸종위협 추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물다양성 보전 상태(=멸종위험) 동향에 관한 지표로 활용된다. 이는 야생생물의 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비교하여 환경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척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유럽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자국 내 적색목록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힘쓰고 있으며 최근 여러 국가와 지역 협력에 의해 650여개의 지역적색목록이 작성되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2011년부터 국내에 자생하는 야생생물 4,11종을 대상으로 IUCN의 지역적색목록 기준을 적용한 “한국의 야생동·식물 적색자료집” 10권을 발간하였고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연차별 개정을 완료하였으며 2024년부터는 미평가 분류군의 신규 평가를 진행하는 등 적색목록을 관리하고 있다.

적색목록의 평가 이유는?

보전의 시급성과 범위를 일반 대중과 정책 결정자에게 전달하여 전 지구 사회가 생물종의 멸종을 막는 데 함께 참여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IUCN 적색목록은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지구상 야생생물의 보호 대상 선정하거나 종의 멸종위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 지구적인 지표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지구상 생물다양성은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있어 그 결과 일부는 절멸했거나 곧 절멸될 위급한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적색목록은 종의 상태와 추이 그리고 위협요소에 관한 정보와 분석결과를 제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을 도모하기 위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적색목록 평가를 단순히 종의 멸종위기 상태를 진단하는 것에 머물렀지만, 현재는 이런 위기상태 뿐 아니라, 보호정책 결정 지원, 종의 분포 현황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적절한 보호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분류군 범주 분류군별소계
EX EW CR EN VU NT LR/cd DD LC
포유류 81 2 203 489 528 348 - 861 3,289 5,801
조류 156 5 224 469 799 1,012 - 56 8,405 11,126
양서·파충류 62 5 878 1,491 1,155 793 2 2,530 7,396 14,312
어류 63 10 549 771 1,174 648 7 3,809 11,418 18,449
곤충류 62 1 311 553 733 523 3 2,104 4,069 8.359
무척추동물(곤충 외) 326 15 783 897 1,723 999 13 3,972 5,086 13,814
동물 소계 750 38 2,948 4,670 6,112 4,323 25 13,332 39,663 71,861
관속식물 118 35 2,982 4,988 6,219 2,052 180 2,348 14,300 33,223
선태식물 4 - 39 65 58 34 - 24 55 279
윤조식물 - - - - - - - 3 8 11
녹조식물 - - - - - - - 2 - 2
홍조식물 1 - 6 - 3 - - 44 4 58
식물 소계 123 35 3,027 5,053 6,280 2,086 180 2,422 14,367 33,573
균류 - - 10 30 62 25 - 6 9 142
기타 - - - 4 1 3 1 - 9 18
미생물 소계 - - 14 31 65 26 - 15 9 160
총계 873 73 5,989 9,754 12,457 6,435 205 15,769 54,039 105,594
  • 위 표는 IUCN 세계적색목록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ist.org)”에 제공된 통계자료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2019년 7월에 개정된 목록을 기준임
  • 위급(CR), 위기(EN), 취약(VU) 범주는 “멸종우려범주(Threatened categories)”에 해당됨
  • LR/cd(Lower Risk/conservation dependent)는 과거에 평가받은 종에 대한 통계를 제시할 뿐이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범주임
 
분류군 범주 분류군별
소계
EX EW RE CR EN VU NT LC DD NA
절멸 야생절멸 지역절멸 위급 위기 취약 준위협 최소관심 정보부족 미적용
조류     3 9 19 30 19 19     99
양서·파충류         3 7 4 22 4 3 43
어류     1 4 13 7 13 41 2 3 84
포유류 1   5 2 5 7 2 18 6 2 48
관속식물     5 30 74 88 131 152 47 31 558
연체동물       5 17 47 88 559 1,077 29 1,822
곤충Ⅰ     1 7 15 39 10 76 226 20 394
곤충Ⅱ     1 7 6 22 14 240 50   340
곤충Ⅲ           9 9 208 131 4 361
거미       4 3 8 10 590 285   900
균류       1 4 6 7 391 1,781 20 2,210
곤충Ⅳ           2 12 302 556 18 890
범주별 소계 1 0 16 69 159 272 319 2,618 4,165 130 7,749
참고문헌
  • IUCN. 2025.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Summary Statisticss(http://www.iucnredlist.org/about/summary-statistics).
  • 국립생물자원관. 2011-2014.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생물 적색자료집.
  • 국립생물자원관. 2019-2024. 국가생물적색자료집.
  • 국립생물자원관. 2024. 국가생물종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