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민비단망사

Martensia flammifolia Y. Lee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민비단망사

Martensia flammifolia Y. Lee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민비단망사

Martensia flammifolia Y. Lee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민비단망사 Martensia flammifolia Y. Lee 2006

분류체계
Plantae > Biliphyta (담홍식물아계) > Rhodophyta (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 (진정홍조강) > Rhodymeniophycidae (분홍치홍조아강) > Ceramiales (비단풀목) > Delesseriaceae (보라잎과) > Martensia (비단망사속) > flammifolia (민비단망사)

식물체는 막질이고 홍색이며 그물조직이 없이 막조직만으로 되어 있다. 식물체의 중간 부분에는 크고 작은 구멍이 많으며 윗부분은 너덜너덜하고 찢어지듯이 가지를 내어 온전한 가장자리와 정단부를 찾기 어렵다. 식물체는 1~3겹의 세포로 되어 있으며 표면에서 세포의 모양은 다각형이고 단면에서는 조금 납작한 사각형이다. 식물체의 가장자리는 미끈하며 세포에 반짝이는 입자가 있어서 구분된다. 사분포자낭은 모여나며 타원형포자낭군을 이룬다. 식물체는 제주 비양도의 수심 12~15m 모랫바닥에 놓인 콘크리트 인공구조물에 붙어 자란다. 제주도 해안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분포: 제주(비양도, 서귀포)(Lee 2006, 2008; 본 연구) 관찰표본: N110803217(서귀포: 3.viii.2011) [2]

    제주도 비양도 [3]

    제주도 [4]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3),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