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비룡귀뚜라미붙이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비룡귀뚜라미붙이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비룡귀뚜라미붙이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비룡귀뚜라미붙이 Namkungia biryongensis (Namkung, 1974)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Grylloblattodea (귀뚜라미붙이목) > Grylloblattidae (귀뚜라미붙이과) > Namkungia (비룡귀뚜라미붙이속) > biryongensis (비룡귀뚜라미붙이)
이명정보
[원기재명]
Galloisiana biryongensis Namkung, 1974 (비룡귀뚜라미붙이)

수컷의 몸길이는 약 34mm 내외이고 몸색은 회색빛을 띠는 적갈색이다. 머리는 편평하고 폭이 약간 넓은 원형으로 두개선이 명료하다. 뒷가슴판의 전연이 약간 좁은 체형으로 각 측연과 중앙부에 불규칙한 강모가 나 있다. 겹눈은 퇴화되어 없으며 그 자리에 강모가 나 있다. 배판의 측연에 1개씩 강모가 정렬하며 말단의 제10절 항상판은 끝이 무딘 만년필 촉 모양이다. 날개는 퇴화되었다. 생식기관은 복잡한 구조를 갖추며, 복지는 좌우비대칭으로 좌지는 폭이 넓은 삽 모양이다. 이 종은 날개가 퇴화된 곤충으로 습도가 높은 곳에서만 서식할 수 있다. 강원도 정선 비룡동굴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강원도(정선, 평창) [2]

    중부 [3]

    강원도 정선군 비룡동굴 [4]

  • 겹눈이 퇴화하였으며 빛이 없는 동굴에 서식한다. 성충은 6월에 채집되었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3]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