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덕적가시검물벼룩

Acanthocyclops tokchokensis Kim & Chang, 199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덕적가시검물벼룩

Acanthocyclops tokchokensis Kim & Chang, 199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덕적가시검물벼룩

Acanthocyclops tokchokensis Kim & Chang, 199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덕적가시검물벼룩 Acanthocyclops tokchokensis Kim & Chang, 1991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Crustacea (갑각아문) > Copepoda (요각강) > Neocopepoda > Podoplea > Cyclopoida (검물벼룩목) > Cyclopida > Cyclopidae (검물벼룩과) > Cyclopinae (검물벼룩아과) > Acanthocyclops (가시검물벼룩속) > tokchokensis (덕적가시검물벼룩)

암컷의 몸길이는 0.92mm이다. 생식절의 길이와 폭은 거의 같다. 미차는 서로 평행하며, 길이가 폭보다 3.25배 더 길다. 안 가장자리에는 잔털이 나 있다. 제1촉각은 17마디로 머리가슴을 조금 지난다. 제1~4흉지는 내외지 모두 3마디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4흉지의 내지 제3마디의 길이는 폭의 약 1.8배이다. 끝에 난 두 가시들은 길이가 거의 같다. 제5흉지의 끝마디는 폭보다 1.46배 길고, 안가시는 짧고 거의 끝부분에 나 있다. 수컷의 몸길이 0.72mm이다. 미차는 암컷의 것보다 약간 더 짧고 안 가장자리에 잔털이 나 있다. 서해안과 동남해안에서 멀지 않은 지하수 샘이나 우물에 서식한다. 해안가의 샘과 우물 등 지하수가 상수도로 대체되면서 출현빈도가 희소하게 되었다. 경기도 덕적도, 경상북도 경주 등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인천(덕적도), 경상북도(포항, 경주), 전라남도(보길도) [2]

    인천광역시(덕적도) [3]

  • 우물, 샘 같은 지하수에 서식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