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항구구멍벌레

Kelleria portiviva Kim,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항구구멍벌레

Kelleria portiviva Kim,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항구구멍벌레

Kelleria portiviva Kim, 200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항구구멍벌레 Kelleria portiviva Kim, 2006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Crustacea (갑각아문) > Copepoda (요각강) > Neocopepoda > Podoplea > Cyclopoida (검물벼룩목) > Ergasilida > Kelleriidae (구멍벌레과) > Kelleria (구멍벌레속) > portiviva (항구구멍벌레)

암컷의 몸은 다소 좁다. 체장은 1.23mm, 최대 폭은 0.41mm이다. 전체부의 길이는 0.73mm이다. 두흉절의 두절과 제1흉지절 사이에는 등 쪽 경계선이 있다. 후체부는 5마디이다. 생식이중절은 앞부분이 뚜렷이 옆으로 팽대되어 있으며 이 팽대부의 뒤쪽에는 1개의 옆강모가 있다. 꼬리가지는 뒷변이 비스듬하며, 강모는 6개이다. 바깥강모는 밋밋하고 다른 5개의 강모는 깃털 모양이다. 이마돌기 길고 붓끝 모양이다. 말단 꼭지는 둥글다. 제1촉각은 7마디이다. 제2촉각은 4마디이고, 둘째마디와 셋째마디의 바깥 변에는 미세가시들이 있다. 상순의 양 잎은 현저하고 중앙홈은 깊다. 대악의 바깥쪽 변은 투명한 막으로 테두리 쳐저 있고 안쪽 변에는 12개의 가시가 있다. 이 종은 무척추동물의 물거름 구멍, 대부분 다모류와 갑각류, 조간대, 저조대의 펄과 자갈 틈에 서식한다. 우리나라 제주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분포: 제주 관찰 표본: 3♀♀(모식표본, 무척추동물 구멍의 물을 거름, 대부분 다모류와 갑각류가 서식함, 제주도 서귀포항 조간대, 저조대의 펄과 자갈 틈: 17.ix,2005) [2]

    제주도(서귀포) [3]

  • 무척추동물의 구멍에 서식한다(숙주 미상).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5),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국생물지발간연구

    [3]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