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금불초 bookmark_add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종명
[원기재명]
Inula japonica Thunb.
[학명이명]
Inula britannica var. chinense Regel
Inula britannica subsp. japonica Kitam.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사면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꽃차례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고,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 극동지방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10월에 핀다.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충분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9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28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1β-Hydroxyalantolactone,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Inula japonica, attenu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duced by 2,4-dinitrochlorobenzene in the mouse. Guochao Lin,Shuang Gao,Jinli Cheng,Yinghua Li,Lei Shan,Zhenlin Hu Pharmaceutical biology 2015 조회
    Cytotoxic sesquiterpene lactone dimers isolated from Inula japonica. Xing-Yu Xu,Peng Sun,De-An Guo,Xuan Liu,Jun-Hua Liu,Li-Hong Hu Fitoterapia 2015 조회
    IVSE, isolated from Inula japonica,suppresses LPS-induced NO production via NF-κB and MAPK inactivation in RAW264.7 cells. Xi Chen,Sheng-An Tang,Eunkyung Lee,Yuling Qiu,Ran Wang,Hong-Quan Duan,Shingo Dan,Meihua Jin,Dexin Kong Life sciences 2015 조회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agetin 3,4-dimethyl ether purified from Inula japonica on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yo Hyun Yang,Haiyan Zhang,Jong-Keun Son,Jae-Ryong Kim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15 조회
    Japonicone A inhibits the growth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via mitochondria-mediated pathways. Yan Du,Jiannan Gong,Xinrui Tian,Xiaomei Yan,Tao Guo,Min Huang,Bingtai Zhang,Xiaoyun Hu,Hui Liu,Yinping Wang,Jianqiang Li,Maolan Li Tumour biology 2015 조회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Carmine Spider Mite, Tetranychus cinnabarinus (Boisduval, 1867) (Acari: Tetranychidae), and Its Response to β-Sitosterol. Chunya Bu,Jinling Li,Xiao-Qin Wang,Guanglu Shi,Bo Peng,Jingyu Han,Pin Gao,Younian Wang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5 조회
    Anti-inflammatory effects of 81 chinese herb extrac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ang-Liang Chen,Dan-Dan Zhang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 조회
    Anti-inflammatory terpenes from flowers of Inula japonica. Sheng-An Tang,Hong Zhu,Nan Qin,Jing-Ya Zhou,Eunkyung Lee,De-Xin Kong,Mei-Hua Jin,Hong-Quan Duan Planta medica 2014 조회
    Britanin Suppresses IgE/Ag-Induced Mast Cell Activation by Inhibiting the Syk Pathway. Yue Lu,Xian Li,Young Na Park,Okyun Kwon,Donggen Piao,Young-Chae Chang,Cheorl-Ho Kim,Eunkyung Lee,Jong Keun Son,Hyeun Wook Chang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14 조회
    Inhibitory Effects of JEUD-38, a New Sesquiterpene Lactone from Inula japonica Thunb, on LPS-Induced iNOS Expression in RAW264.7 Cells. Xiaoqing Wang,Sheng-An Tang,Ran Wang,Yuling Qiu,Meihua Jin,Dexin Kong Inflammation 2014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의림촬요 풍사(風邪)에 상하여 기침〔嗽〕을 하면 남성(南星), 지각(枳殼), 방풍(防風), 형개(荊芥), 전호(前胡), 세신(細辛), 선복화(旋覆花)를 더해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계명환(雞鳴丸) 남녀노소의 78가지 해수(咳嗽), 토혈(吐血)과 여러 가지 허증(虛症) 등의 질병을 치료한다. 지모(知母) - 볶은 것, 4냥 -, 행인(杏仁)ㆍ반하(半夏)ㆍ정력자〔葶藶〕 - 종이에 펴서 불기운에 말린 것, 각 3돈 -, 관동화(款冬花)ㆍ오미자(五味子)ㆍ아교(阿膠) - 각 4돈 -, 선복화(旋覆花)ㆍ진피(陳皮)ㆍ마두령(馬兜鈴)ㆍ마황(麻黃)ㆍ감초(甘草) - 구운 것, 1냥 -, 길경(桔梗)ㆍ인삼(人參) - 각 5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하여 탄자만한 크기의 환을 지은 다음 매번 1환씩 오경(五更 새벽녘)에 오매ㆍ생강ㆍ대추를 함께 달인 물〔烏梅薑棗湯〕로 넘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금불초산(金沸草散) 폐 경락〔肺經〕이 풍을 받아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아프며 기침〔咳嗽〕을 하며 목소리가 무겁고 가래와 침이 끈적한 것을 치료한다. 풍이 변하여 차가운 가래가 되고 머리 정수리가 아프며 한기와 열기가 번갈아 일어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荊芥穗) - 4냥 -, 전호(前胡)ㆍ마황(麻黃) - 마디를 제거한 것 - ㆍ선복화(旋覆花) - 각 3냥 -, 감초(甘草) - 구운 것 - ㆍ적작약(赤芍藥)ㆍ반하(半夏) - 각 1냥. 《득효방(得效方)》에서는 상피(桑皮) 7치〔寸〕, 오매(烏梅) 1개를 넣고 달인다고 하였다.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3돈씩 물 1잔 반에 생강〔薑〕 3쪽, 대추〔棗〕 1알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 《옥기미의(玉機微義)》 〈풍문(風門)〉에 나오며, 《화제국방(和劑局方)》도 내용이 동일하다. 《활인서(活人書)》에는 마황(麻黃), 작약(芍藥)을 완전히 덜고, 세신(細辛), 적복령(赤茯苓)을 더했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힘줄이 끊어진 데 쓰는 처방. 백교향(白膠香) 가루를 바른다. 또는 금불초(金沸草) 뿌리를 찧은 즙을 바르고 힘줄을 싸매주면 이어질 수 있다. 【《득효방(得效方)》〔得效〕 〈금창과(金瘡科)〔金瘡〕〉에 나온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부인(婦人)이 두풍(頭風)을 앓아서 마치 배ㆍ수레 위에 서 있는 것처럼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當歸), 천궁(川芎), 생지황(生地黃), 방풍(防風), 형개(荊芥), 세신(細辛), 고본(藁本)〔蒿本〕, 석고(石膏), 만형자(蔓荊子), 반하(半夏), 선복화(旋覆花), 감초(甘草). 위의 약들을 잘라서 생강〔薑〕ㆍ대추〔棗〕와 함께 달여서 식후에 복용한다. ○다른 처방에서는 강활(羌活)을 첨가한다. 【《고금의감(古今醫鑑)》〔醫鑑〕에 나온다.】 약용 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약간 따뜻하다고도 하고 차다고도 한다) 독이 좀 있다. 기가 몰린 것, 옆구리가 그득한 것, 놀랜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등을 치료하고 수기를 빼며 오장에 있는 한열사를 없애고 비위를 보하며 기를 내린다. 가슴에 담이 있어 침이 아교나 옻같은 것, 명치 밑과 옆구리에 담수가 있는 것, 방광의 유음, 풍증, 습비, 궂은 살, 눈곱이 끼면서 잘 보이지 않는 것 등도 치료하고 대장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살색이 고와지게 한다. 일명 대심, 금비초, 성심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주로 풍습을 치료하는 데 쓴다. 개울가나 산골에서 자라며 음력 5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옆구리에 몰린 기를 헤치고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과 수종을 낫게 하며 방광부위나 배가 부은 것을 치료한다. 또한 위기를 도와주고 구역을 멈추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약성론)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두풍을 치료하며 혈맥을 잘 돌게 한다. 잎은 쇠붙이에 상하여 피가 나오는 것을 멈춘다. (일화자) 일부 지방에서만 나는데 음력 2월이 지나서 싹이 돋는다. 흔히 개울가에서 자란다. 크기는 홍화만하고 가시가 없으며 키는 1∼2자안이다. 잎은 유엽같고 줄기는 가늘며 음력 6월에 감국같은 노란 꽃이 피는데 크기가 작은 동전만하다. 상당지방의 농촌사람들은 이것을 금전화라고 한다. 음력 6∼8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지금 도시주변의 채소밭에 심은 금전화의 꽃과 잎이 앞에서 말한 것과 비슷하고 또 빨리 자라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금불초꽃인 것 같다. (도경) 약용-초부하품-상 공개
    고사십이집 뼈와 힘줄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骨筋斷] - 골절되었을 때, 자연동을 불에 달구어 7차례 식초에 담갔다가 곱게 갈아 수비(水飛)하여 당귀(當歸)와 몰약(沒藥) 가루 각각 반전(半錢)과 함께 따뜻한 술에 타서 먹인다. 뒤이어 손으로 문질러 이 약이 뼈가 손상된 곳에 직접 들어가게 한 다음에 싸매주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그러나 처음 구운 것은 독이 있으니 만약 골절이나 쇄골(뼈가 부서짐)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도끼로 인해 힘줄이 끊어졌을 때는 서둘러 선복화(금불초)의 뿌리를 짓찧어 낸 즙을 창(瘡) 속에 발라주고 찌꺼기는 상처에 붙여준다. 15일이면 바로 이어진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독활산(獨活散) 풍사(風邪)〔風〕를 소멸시키고 담(痰)을 없애며, 머리와 눈이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세신(細辛)ㆍ방풍(防風)ㆍ고본(藁本)〔蒿本〕ㆍ선복화(旋覆花)ㆍ만형자(蔓荊子)ㆍ천궁(川芎)ㆍ독활(獨活) 【각각 1냥】, 석고(石膏)ㆍ감초(甘草) 【구운 것, 각각 반냥】. 위의 약에서 매번 5돈을 복용하되 물 1종지〔鍾〕, 생강〔薑〕 3쪽〔片〕에 넣고 6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여서, 식후에 뜨겁게 복용한다.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附餘〕에 나온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백부자환(白附子丸) 풍사(風邪)로 인해 생긴 담(痰)이 위로 올라가서 생긴 궐증(厥症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증상), 현기증〔眩運〕과 두통〔頭疼〕을 치료한다. 전갈(全蝎) 【볶은 것, 반냥】, 백부자(白附子) 【볶은 것】 ㆍ천남성〔南星〕 【볶은 것】 ㆍ반하(半夏)ㆍ선복화(旋覆花)ㆍ감국(甘菊)ㆍ천마(天麻)ㆍ천궁(川芎)ㆍ귤홍(橘紅)ㆍ강잠(殭蠶) 【볶은 것】 ㆍ건강(乾薑) 【날 것, 각각 1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서, 생강(生薑) 반근(斤)에서 뽑아낸 즙(汁)과 함께 넣고, 풀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50환을 형개탕(荊芥湯)과 함께 복용한다.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附餘〕에 나온다.】 약용 공개
    산림경제 구급_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졌을 때 도끼나 자귀에 찍혀 힘줄이 끊어졌을 때는 급히 선복화(旋覆花)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창중(瘡中)에 발라주고, 찌꺼기를 상처에 붙여주어 반달만 지나면 문득 이어진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28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1β-Hydroxyalantolactone,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Inula japonica, attenuates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duced by 2,4-dinitrochlorobenzene in the mouse. Guochao Lin,Shuang Gao,Jinli Cheng,Yinghua Li,Lei Shan,Zhenlin Hu Pharmaceutical biology 2015 조회
    Cytotoxic sesquiterpene lactone dimers isolated from Inula japonica. Xing-Yu Xu,Peng Sun,De-An Guo,Xuan Liu,Jun-Hua Liu,Li-Hong Hu Fitoterapia 2015 조회
    IVSE, isolated from Inula japonica,suppresses LPS-induced NO production via NF-κB and MAPK inactivation in RAW264.7 cells. Xi Chen,Sheng-An Tang,Eunkyung Lee,Yuling Qiu,Ran Wang,Hong-Quan Duan,Shingo Dan,Meihua Jin,Dexin Kong Life sciences 2015 조회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agetin 3,4-dimethyl ether purified from Inula japonica on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yo Hyun Yang,Haiyan Zhang,Jong-Keun Son,Jae-Ryong Kim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15 조회
    Japonicone A inhibits the growth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via mitochondria-mediated pathways. Yan Du,Jiannan Gong,Xinrui Tian,Xiaomei Yan,Tao Guo,Min Huang,Bingtai Zhang,Xiaoyun Hu,Hui Liu,Yinping Wang,Jianqiang Li,Maolan Li Tumour biology 2015 조회
    Transcriptome Analysis of the Carmine Spider Mite, Tetranychus cinnabarinus (Boisduval, 1867) (Acari: Tetranychidae), and Its Response to β-Sitosterol. Chunya Bu,Jinling Li,Xiao-Qin Wang,Guanglu Shi,Bo Peng,Jingyu Han,Pin Gao,Younian Wang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5 조회
    Anti-inflammatory effects of 81 chinese herb extract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ang-Liang Chen,Dan-Dan Zhang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4 조회
    Anti-inflammatory terpenes from flowers of Inula japonica. Sheng-An Tang,Hong Zhu,Nan Qin,Jing-Ya Zhou,Eunkyung Lee,De-Xin Kong,Mei-Hua Jin,Hong-Quan Duan Planta medica 2014 조회
    Britanin Suppresses IgE/Ag-Induced Mast Cell Activation by Inhibiting the Syk Pathway. Yue Lu,Xian Li,Young Na Park,Okyun Kwon,Donggen Piao,Young-Chae Chang,Cheorl-Ho Kim,Eunkyung Lee,Jong Keun Son,Hyeun Wook Chang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14 조회
    Inhibitory Effects of JEUD-38, a New Sesquiterpene Lactone from Inula japonica Thunb, on LPS-Induced iNOS Expression in RAW264.7 Cells. Xiaoqing Wang,Sheng-An Tang,Ran Wang,Yuling Qiu,Meihua Jin,Dexin Kong Inflammation 2014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의림촬요 풍사(風邪)에 상하여 기침〔嗽〕을 하면 남성(南星), 지각(枳殼), 방풍(防風), 형개(荊芥), 전호(前胡), 세신(細辛), 선복화(旋覆花)를 더해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계명환(雞鳴丸) 남녀노소의 78가지 해수(咳嗽), 토혈(吐血)과 여러 가지 허증(虛症) 등의 질병을 치료한다. 지모(知母) - 볶은 것, 4냥 -, 행인(杏仁)ㆍ반하(半夏)ㆍ정력자〔葶藶〕 - 종이에 펴서 불기운에 말린 것, 각 3돈 -, 관동화(款冬花)ㆍ오미자(五味子)ㆍ아교(阿膠) - 각 4돈 -, 선복화(旋覆花)ㆍ진피(陳皮)ㆍ마두령(馬兜鈴)ㆍ마황(麻黃)ㆍ감초(甘草) - 구운 것, 1냥 -, 길경(桔梗)ㆍ인삼(人參) - 각 5돈 -.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졸인 꿀로 반죽하여 탄자만한 크기의 환을 지은 다음 매번 1환씩 오경(五更 새벽녘)에 오매ㆍ생강ㆍ대추를 함께 달인 물〔烏梅薑棗湯〕로 넘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금불초산(金沸草散) 폐 경락〔肺經〕이 풍을 받아 머리와 눈이 어지럽고 아프며 기침〔咳嗽〕을 하며 목소리가 무겁고 가래와 침이 끈적한 것을 치료한다. 풍이 변하여 차가운 가래가 되고 머리 정수리가 아프며 한기와 열기가 번갈아 일어나고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형개수(荊芥穗) - 4냥 -, 전호(前胡)ㆍ마황(麻黃) - 마디를 제거한 것 - ㆍ선복화(旋覆花) - 각 3냥 -, 감초(甘草) - 구운 것 - ㆍ적작약(赤芍藥)ㆍ반하(半夏) - 각 1냥. 《득효방(得效方)》에서는 상피(桑皮) 7치〔寸〕, 오매(烏梅) 1개를 넣고 달인다고 하였다. - 위의 약들을 썰어 매번 3돈씩 물 1잔 반에 생강〔薑〕 3쪽, 대추〔棗〕 1알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 《옥기미의(玉機微義)》 〈풍문(風門)〉에 나오며, 《화제국방(和劑局方)》도 내용이 동일하다. 《활인서(活人書)》에는 마황(麻黃), 작약(芍藥)을 완전히 덜고, 세신(細辛), 적복령(赤茯苓)을 더했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힘줄이 끊어진 데 쓰는 처방. 백교향(白膠香) 가루를 바른다. 또는 금불초(金沸草) 뿌리를 찧은 즙을 바르고 힘줄을 싸매주면 이어질 수 있다. 【《득효방(得效方)》〔得效〕 〈금창과(金瘡科)〔金瘡〕〉에 나온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양혈거풍탕(養血祛風湯) 부인(婦人)이 두풍(頭風)을 앓아서 마치 배ㆍ수레 위에 서 있는 것처럼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당귀(當歸), 천궁(川芎), 생지황(生地黃), 방풍(防風), 형개(荊芥), 세신(細辛), 고본(藁本)〔蒿本〕, 석고(石膏), 만형자(蔓荊子), 반하(半夏), 선복화(旋覆花), 감초(甘草). 위의 약들을 잘라서 생강〔薑〕ㆍ대추〔棗〕와 함께 달여서 식후에 복용한다. ○다른 처방에서는 강활(羌活)을 첨가한다. 【《고금의감(古今醫鑑)》〔醫鑑〕에 나온다.】 약용 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약간 따뜻하다고도 하고 차다고도 한다) 독이 좀 있다. 기가 몰린 것, 옆구리가 그득한 것, 놀랜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등을 치료하고 수기를 빼며 오장에 있는 한열사를 없애고 비위를 보하며 기를 내린다. 가슴에 담이 있어 침이 아교나 옻같은 것, 명치 밑과 옆구리에 담수가 있는 것, 방광의 유음, 풍증, 습비, 궂은 살, 눈곱이 끼면서 잘 보이지 않는 것 등도 치료하고 대장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살색이 고와지게 한다. 일명 대심, 금비초, 성심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주로 풍습을 치료하는 데 쓴다. 개울가나 산골에서 자라며 음력 5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옆구리에 몰린 기를 헤치고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과 수종을 낫게 하며 방광부위나 배가 부은 것을 치료한다. 또한 위기를 도와주고 구역을 멈추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약성론)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두풍을 치료하며 혈맥을 잘 돌게 한다. 잎은 쇠붙이에 상하여 피가 나오는 것을 멈춘다. (일화자) 일부 지방에서만 나는데 음력 2월이 지나서 싹이 돋는다. 흔히 개울가에서 자란다. 크기는 홍화만하고 가시가 없으며 키는 1∼2자안이다. 잎은 유엽같고 줄기는 가늘며 음력 6월에 감국같은 노란 꽃이 피는데 크기가 작은 동전만하다. 상당지방의 농촌사람들은 이것을 금전화라고 한다. 음력 6∼8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지금 도시주변의 채소밭에 심은 금전화의 꽃과 잎이 앞에서 말한 것과 비슷하고 또 빨리 자라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금불초꽃인 것 같다. (도경) 약용-초부하품-상 공개
    고사십이집 뼈와 힘줄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骨筋斷] - 골절되었을 때, 자연동을 불에 달구어 7차례 식초에 담갔다가 곱게 갈아 수비(水飛)하여 당귀(當歸)와 몰약(沒藥) 가루 각각 반전(半錢)과 함께 따뜻한 술에 타서 먹인다. 뒤이어 손으로 문질러 이 약이 뼈가 손상된 곳에 직접 들어가게 한 다음에 싸매주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그러나 처음 구운 것은 독이 있으니 만약 골절이나 쇄골(뼈가 부서짐)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도끼로 인해 힘줄이 끊어졌을 때는 서둘러 선복화(금불초)의 뿌리를 짓찧어 낸 즙을 창(瘡) 속에 발라주고 찌꺼기는 상처에 붙여준다. 15일이면 바로 이어진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독활산(獨活散) 풍사(風邪)〔風〕를 소멸시키고 담(痰)을 없애며, 머리와 눈이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세신(細辛)ㆍ방풍(防風)ㆍ고본(藁本)〔蒿本〕ㆍ선복화(旋覆花)ㆍ만형자(蔓荊子)ㆍ천궁(川芎)ㆍ독활(獨活) 【각각 1냥】, 석고(石膏)ㆍ감초(甘草) 【구운 것, 각각 반냥】. 위의 약에서 매번 5돈을 복용하되 물 1종지〔鍾〕, 생강〔薑〕 3쪽〔片〕에 넣고 6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여서, 식후에 뜨겁게 복용한다.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附餘〕에 나온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백부자환(白附子丸) 풍사(風邪)로 인해 생긴 담(痰)이 위로 올라가서 생긴 궐증(厥症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증상), 현기증〔眩運〕과 두통〔頭疼〕을 치료한다. 전갈(全蝎) 【볶은 것, 반냥】, 백부자(白附子) 【볶은 것】 ㆍ천남성〔南星〕 【볶은 것】 ㆍ반하(半夏)ㆍ선복화(旋覆花)ㆍ감국(甘菊)ㆍ천마(天麻)ㆍ천궁(川芎)ㆍ귤홍(橘紅)ㆍ강잠(殭蠶) 【볶은 것】 ㆍ건강(乾薑) 【날 것, 각각 1냥】. 위의 약들을 가루 내서, 생강(生薑) 반근(斤)에서 뽑아낸 즙(汁)과 함께 넣고, 풀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50환을 형개탕(荊芥湯)과 함께 복용한다.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附餘〕에 나온다.】 약용 공개
    산림경제 구급_뼈가 부러지고 힘줄이 끊어졌을 때 도끼나 자귀에 찍혀 힘줄이 끊어졌을 때는 급히 선복화(旋覆花)뿌리를 캐어 짓찧어 즙을 내서 창중(瘡中)에 발라주고, 찌꺼기를 상처에 붙여주어 반달만 지나면 문득 이어진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36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21067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남도 합천... 미승산 / 2006-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69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남도 담양... / 2003-07-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7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남도 거창... / 2006-08-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76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충주... 부산 / 2005-08-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2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기도 양평군... 청계산 / 2004-08-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3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남도 여수... / 2003-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4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북도 상주... 남산 / 2004-08-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5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01-11-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6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북도 무주... / 2003-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7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 1999-06-1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3863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세화해수욕 / 2005-08-28 DNA 1건
    NIBRGR0000069444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매포읍 / 2009-09-03 조직 1건
    NIBRGR000008429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 2009-09-25 조직 1건
    NIBRGR000009158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 / 2010-09-24 조직 1건
    NIBRGR000009480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07-10-18 조직 1건
    NIBRGR000010249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강원도 정선군... 동강 / 2010-08-16 조직 1건
    NIBRGR0000103699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 2010-09-24 조직 1건
    NIBRGR0000106492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08 조직 1건
    NIBRGR000010662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30 조직 1건
    NIBRGR0000106648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10-02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